目次

들어가는 글: 한국어 퍼즐 게임 해석이론(GK99)의 구성: 3가지 원리와 4개의 구(句) 1. 명사구 1-2. 명사절 [GK 28] 명사절 [①THAT절] [GK 29] 명사절 [②WH절] → ⓐ의문문 [GK 30] 명사절 [②WH절] → ⓑ감탄문. [GK 31] 명사절 [②WH절] → ⓒ융합명사구. . [GK 32] 명사절 [②WH절] → 융합명사구 vs 관계사절 [GK 33] 명사절 이동(heavy NP shift) 1-3. 압축명사절 [GK 34] 압축명사절 [①TO절] → TO절[-s]. [GK 35] 압축명사절 [①TO절] → TO절[+s]. [GK 36] 압축명사절 [①TO절] → TO절[+s] → TO삭제. . [GK 37] 압축명사절 [①TO절] → TO절[+s] → TO-be삭제. [GK 38] 압축명사절 [①TO절] 이동(heavy NP shift). [GK 39] 압축명사절 [①TO절] 분리 → 주어상승[vt]. [GK 40] 압축명사절 [①TO절] 분리 → 주어상승[vi]. [GK 41] 압축명사절 [①TO절] 분리 → 목적어상승 [GK 42] 압축명사절 [①TO절] → TO절[+WH]. [GK 43] 압축명사절 [②ING절]. [GK 44] 압축명사절 [②ING절] → 병치. [GK 45] 압축명사절 [①TO절 vs ②ING절]. [GK 46] 명사화(nominalization). 1-4. 명사구 연합 [GK 47] 명사구 연합(NP union). [GK 48] 명사구 연합 [①직렬결합]. [GK 49] 명사구 연합 [②다중결합]. [GK 50] 명사구 연합 [③직렬다중결합] 문장기호 문법용어 참고문헌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