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추천사 증보판을 내면서 책을 내면서 제1부 문화정책이란 무엇인가 1. 문화정책의 범위와 전개 문화정책의 범위 문화정책의 전개방법 2. 문화정책 연구의 태동 3. 문화정책의 개념과 문화정책변동 문화정책의 개념 설정 문화와 문화국가 | 문화정책의 의의와 영역 | 문화정책의 발전단계 문화정책의 대상 영역 주요국의 문화정책 개관 한국 문화정책의 변동 개관 장기 계획의 한국 문화정책변동 제2부 정책분석이론과 문화정책변동 분석모델 4. 역사적 제도주의와 경로의존성 행정현상의 접근방법과 신제도주의의 등장 행정현상의 접근방법| 주류 사회과학 비판과 신제도주의 등장 신제도주의의 유형별 특징 역사적 제도주의 |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 | 사회학적 제도주의 제도 변화와 경로의존성 신제도주의와 제도 변화 | 경로의존성의 의미 5. 정책변동론과 정책조정 정책변동의 유발 요인 정책변동모델 사바티어의 정책지지연합모델 | 킹던의 정책흐름모델 네트워크 거버넌스 경로의존성과 정책변동모델의 연계 6. 문화정책의 변동과 분석 문화정책변동의 분석모델 문화정책의 체계 문화핵심정책 | 문화정책의 주체 |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 문화정책의 외부 환경 분석방법 문화정책 논제 제3부 시대별 문화정책 변동 I - 정부 수립부터 문민정부까지 7. 정부 수립 이후 제5공화국까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정치적 환경 | 법규와 사회규범 | 경제 및 기술발전 | 국제환경 | 홍보 및 언론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 관련 법·제도와 조직 및 인적자원의 변동 | 문화재정 문화정책의 주체 정책 공급자적 측면 | 이용자 측면 | 문화 거버넌스의 작동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정치적 사건과 환경적 급변 | 정치 환경의 변동과 정책의 창 문화 핵심정책변동 문화예술의 진흥 | 문화기반의 확증 | 민족문화의 창달 | 한국문화의 세계화 8. 제6공화국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정치적 환경 | 법규와 사회규범 | 경제 및 기술발전 | 국제환경 | 청와대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 관련 법·제도의 변천 | 문화행정조직 및 인적자원 | 문화재정 문화정책의 주체 정책 공급자적 측면 | 문화창조자 측면 | 이용자 측면 | 문화 거버넌스의 작동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정치적 사건과 환경적 급변 |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 | 정책의 창의 열림 문화 핵심정책변동 문화정책변동의 흐름 | 중요 문화정책의 변동 9. 문민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정치적 환경 | 법규와 사회규범 | 경제 및 기술발전 | 국제환경 | 청와대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 관련 법·제도의 변천 | 문화행정조직 및 인적자원 | 문화재정 문화정책의 주체 정책 공급자적 측면 | 이용자 측면 | 문화 거버넌스의 작동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정치적 사건과 환경적 급변 | 정책기조와의 인과관계 분석 | 정책의 창의 열림 문화 핵심정책변동 문화산업의 중시 | 문화복지 기본구상 마련 | 문화정책의 일부 조정 제4부 시대별 문화정책 변동 II -국민의 정부부터 박근혜정부까지 10. 국민의 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정치적 환경 | 법규와 사회규범 | 경제 및 기술발전 | 국제환경 | 과업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 관련 법·제도의 개정 | 문화행정조직 및 인적자원 | 문화재정 문화정책의 주체 정책 공급자적 측면 | 종사자 측면 | 이용자 측면 | 문화 거버넌스의 작동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정치적 사건과 환경적 급변 | 정책기조와의 관계 분석 문화 핵심정책변동 주요문화정책의 변동 | 문화정책의 조정 | 여타 분야 문화핵심정책 분석 11. 참여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정치적 환경 | 법규와 사회규범 | 경제 및 기술발전 | 국제환경 | 국회.시민단체.청와대 | 언론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 관련 법·제도의 정비 | 문화행정조직개편 및 인적자원 활용 | 문화재정 문화정책의 주체 정책 공급자적 측면 | 이용자 측면 | 문화 거버넌스의 작동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정치적 사건과 환경적 급변 | 정책기조와의 인과관계 분석 | 정책의 창의 열림 문화 핵심정책변동 문화예술 진흥 | 문화기반 확충 | 문화산업 육성 | 문화복지 | 민족문화의 창달과 세계화 |지역문화(문화도시) 12. 이명박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정치적 환경 | 법규와 사회규범 | 경제 및 기술발전 | 국제환경 | 청와대 | 언론과 시민단체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 관련 법·제도의 변천 | 문화행정조직 및 인적자원 | 문화재정 문화정책의 주체 정책 공급자적 측면 | 문화 종사자 측면 | 이용자 측면 | 문화 거버넌스의 작동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