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오늘날 우리 사회는 놀라운 속도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는 조직과 조직 행동에 새로운 도전을 던져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기술 혁신이 어우러져 새로운 조직 환경을 형성하며, 미래학자들은 앞으로 인공지능이 조직의 구성원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또한 구성원의 자율성, 역동성, 인간의 관계성, 지속성이 요구됨으로써 조직행동론은 새로운 맥락에서의 이해와 적응이 필요하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조직의 업무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기계학습, 자동화된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은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구성원에게 새로운 역량과 기술을 요구하며, 이로 인해 구성원은 기존의 개념과 모델을 재고해야 한다. 오늘날의 조직은 유연성이 필요하며, 지리적 제약을 넘어 재택근무, 유동적인 일정, 분산된 팀 등이 통상적인 업무 방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에서는 리더십의 새로운 모델과 팀 협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더욱 필요로 한다. 조직 내의 차별 없는 환경은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며, 이로써 조직에서의 다양성 관리와 조직 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기술 중심의 미래에는 인간성과 윤리적 가치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조직은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인간 중심의 가치를 고수해야 하고,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윤리적 책임과 신뢰의 개념이 필요할 것이다. 조직행동론을 다룬 수많은 교재 중에서 스티븐 P. 로빈스(Stephen P. Robbins)와 티머시 A. 저지(Timothy A. Judge)의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읽히고 있다. 거의 2년마다 개정되는 이 책은 독자가 조직행동론을 더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마다 다양한 사례, OB POLL, 윤리적 딜레마, 주요 논점에 대한 학자들의 찬반 이론 등을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집단과 조직 전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과 효과적인 구성원의 다양성, 동기부여 방법, 리더와 리더십 행동, 다른 사람과의 갈등을 다루는 방법, 권력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독자가 자신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의 사고, 태도,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함께 일하는 효과적인 방식을 배움으로써 더 좋은 직장인으로, 책임감 있는 경영인으로, 훌륭한 조직행동 연구자로 성장해나가길 기대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조직행동론 교재 19판은 조직행동 분야의 교육과 학습에서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차별화를 유지하고 있다. 조직행동론을 가르치는 강사들은 직장에서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발전과 혁신에 보조를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더욱이 학생들이 조직행동론을 배우고 관심을 가지며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모습이 중요하다. 많은 학생은 현재 직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혁적인 사건의 함의를 궁금해 한다. 예를 들어 COVID-19 위기로 인해 원격근무가 효과적인지,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할 것인지, 팬데믹이 어떻게 구성원의 정신적·육체적 웰빙에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팬데믹은 긱 경제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많은 윤리적·실용적인 이슈에 다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Black Lives Matter’, ‘#MeToo’와 같은 운동은 조직, 리더, 구성원이 평등과 공정성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다양성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어떻게 증진할 것인지, 포용적인 관행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촉발했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계학습, 소셜미디어 등의 기술 발전은 조직이 경영하는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따라서 구성원이 고객, 동료, 리더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19판에서는 조직행동의 핵심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이러한 주제를 시의적절하게 다루었다. 18판의 사례와 참고문헌을 절반 이상 업데이트했다. 최근의 학습과 강의의 필요성에 맞게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 의사소통, 문화와 변화, 스트레스와 건강에 관한 장은 전면 재검토하여 다시 저술했다. 특히 19판에서는 기업이 직면한 사회적 책임, 공정성, 윤리 등을 다루는 특별 섹션으로 ‘더 나은 세상을 향해’를 추가했다. 또한 교육과 학습 경험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보충 자료를 제공한다. 19판의 주요 변화 • 각 장의 도입 사례에서 최신 경영 트렌드와 이벤트를 소개했다. • 2장, 11장, 16장, 18장은 조직행동의 최신 관점을 반영하여 내용을 전면적으로 개정했다. • 다양성·공정성·포용성, COVID-19와 위기관리, 원격근무, 긱 경제, 인공지능·소셜미디어·기술 등에 관한 조직행동론의 최신 연구를 반영했다. • 개념 이해와 실전 적용에 도움이 되도록 실생활과 관련된 최근의 사진과 설명을 담았다. • 조직행동론과 관련된 상반된 관점을 ‘찬성 의견/반대 의견’에 제시했다. • 조직과 리더가 경험하는 새로운 이슈를 다루기 위해 ‘찬성 의견/반대 의견’, ‘윤리적 선택’, ‘OB POLL’, ‘미신인가, 과학인가’를 개정했다. • 최신 이슈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실전 연습’, ‘윤리적 딜레마’, ‘사례 삽화’를 개정했다. • 각 장의 ‘취업 스킬 매트릭스’, ‘입사 지원과 취업 역량’ 등을 업데이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