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신우승さん他2人 · 人文学
224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5(21人)
評価する
3.5
平均評価
(21人)
서양 철학 학문 공동체 ‘전기가오리’ 운영자인 신우승의 첫 저서. ‘의식의 경험의 학’ ‘직관의 잡다’? 철학 전공자들에게는 익숙한 용어겠지만 일반인은 도통 이해하기 힘든 철학 번역어다. 저자는 이 번역어들이 현대 한국어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을뿐더러 철학의 추상성을 모호함으로 오해하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한다. 어색하지 않은 한국어 문장으로 철학 개념을 번역하고, 일상 언어로 철학 개념을 다루는 시도가 그래서 더 필요한지 모른다. 이 책은 철학 개념의 한국어 번역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다. 저자는 총 14장에 걸쳐 metaphysics, epistemology, utilitarianism, aesthetics 등의 철학 개념을 검토하고 설명하면서 형이상학, 인식론, 공리주의, 미학 같은 번역어가 왜 문제인지 밝히고 대체 번역어를 제안한다. 공동 저자인 김은정과 이승택은 저자의 번역어 제안을 검토한 후 동의 또는 반박하며, 저자는 이들의 반박에 응답하면서 최종 입장을 내놓는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각 개념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대체 번역어를 둘러싼 논의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마치는 글에서 저자는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는 일과 관련한 몇 가지 일반론적 제안을 한다. ‘한국어로 철학하자’고 하면 한자어와 외래어 없이 고유어만을 쓰자는 제안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저자는 한자어와 외래어가 한국어의 일부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성(成) 같은 한자가 아닌 ‘되다’ ‘됨’ 같은 고유어나 ‘명석판명’이 아닌 ‘명료함과 또렷함’ 같은 일상어도 철학 개념으로 성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말한다.

#왓피캘린지 🗓️

6/1(금) ~ 6/3(일) 새로운 도전장 받습니다!

왓챠피디아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5(21人)

#왓피캘린지 🗓️

6/1(금) ~ 6/3(일) 새로운 도전장 받습니다!

왓챠피디아

著者/訳者

レビュー

5

目次

들어가며 1 논변이 타당하고 건전할 수 있을까?: validity and soundness 2 필요한 것과 필수적인 것의 차이: sufficient and necessary condition 3 ‘명석판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clear and distinct 4 ‘객관적’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objective validity 5 형식에 의미가 있다니요?: significant form 6 한 단어를 여러 철학자가 다르게 쓸 때: transcendental 7 현실적인 것의 반대말은?: potentiality/actuality 8 형이상학은 ‘형이상’을 다루지 않는다: metaphysics 9 ‘-이다’가 개념어로 그렇게 이상한가요?: be/ought 10 있는 것과 존재하는 것이 다를까?: be/exist 11 ‘인식하다’는 너무 많은 뜻으로 쓰인다: epistemology 12 ‘공리’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utilitarianism 13 철학에도 함수가 나온답니다: argument 14 추함이 미적 속성이라니: aesthetic 마치며 부록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미학, 공리주의, 인식론, 형이상학은 적절한 번역어인가? 서양 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번역하며, 후원 회원들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문 공동체 ‘전기가오리’의 운영자인 신우승의 첫 저서. ‘의식의 경험의 학’ ‘직관의 잡다’? 철학 전공자들에게는 익숙한 용어겠지만 일반인은 도통 이해하기 힘든 철학 번역어다. 저자는 이 번역어들이 현대 한국어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을뿐더러 철학의 추상성을 모호함으로 오해하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한다. 철학을 둘러싼 격차 문제 해소에 관심을 기울여온 저자는 대학을 나오지 않았더라도 철학서를 읽을 수 있고, 영어를 못해도 철학적 논의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색하지 않은 한국어 문장으로 철학 개념을 번역하고, 일상 언어로 철학 개념을 다루는 시도가 그래서 더 필요한지 모른다. 이 책은 철학 개념의 한국어 번역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다. 저자는 총 14장에 걸쳐 metaphysics, epistemology, utilitarianism, aesthetics 등의 철학 개념을 검토하고 설명하면서 형이상학, 인식론, 공리주의, 미학 같은 번역어가 왜 문제인지 밝히고 대체 번역어를 제안한다. 공동 저자인 김은정과 이승택은 저자의 번역어 제안을 검토한 후 동의 또는 반박하며, 이들의 반박에 응답하면서 저자가 최종 입장을 내놓는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각 개념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대체 번역어에 대한 논의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현대 한국어 현실을 반영한 철학 번역은 어떻게 가능할까? 마치는 글에서 저자는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는 일과 관련한 몇 가지 일반론적 제안을 한다. ‘한국어로 철학하자’고 하면 한자어와 외래어 없이 고유어만을 쓰자는 제안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저자는 이런 제안에 반대하며 한자어와 외래어가 한국어의 일부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에 의해’ ‘-에 다름 아니다’ 같은 영어식, 일본어식 표현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들 표현을 한국어의 일부로 수용해야 한국어 구문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고유어나 일상어도 철학 개념으로 성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본다. 헤겔 철학에서 ‘being, nothing, becoming’은 ‘존재, 무, 생성’ 또는 ‘유, 무, 성’으로 번역된다. 고유어가 철학 개념이 될 수 있다면, becoming은 성(成) 같은 한자가 아닌 ‘되다’ ‘됨’으로 쓸 수 있다. 데카르트가 진리의 기준으로 내세운 조건인 ‘clear and distinct’도 ‘명석판명’이 아닌 ‘명료함과 또렷함’ 같은 일상어로 번역할 수 있다. 칸트 철학의 핵심 개념인 ‘transcendental’은 한국 학계에서 ‘선험적’ ‘초월적’ ‘선가험적’ ‘전험적’ ‘정험적’ 등 다양한 번역어로 제안된 바 있다. 이렇듯 외국어로 된 철학 개념을 번역할 때마다 의미에 대응하는 새로운 번역어를 만들어야 할까? 저자는 ‘transcendental’의 번역어를 ‘초월적’으로 고정한 뒤, ‘초월적’을 철학자 A는 이렇게 쓰고, 철학자 B는 저렇게 쓴다는 식으로 해당 개념의 내포를 추가하자고 제안한다. ‘범주’로 공히 번역되는 ‘category’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칸트 철학에서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이듯이 말이다. 그 밖에도 저자는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철학 학술 서적 번역에서 출판사가 가져야 할 책임감 등도 언급한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3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