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머리말 1부. 몽골 시대 동서 교류와 접촉 1장. 이탈리아와 몽골 유라시아의 예술적 접촉: 학계의 연구 현황 2장. 이탈리아 상인들, 아시아로 진출하다 1.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교역로 2. 기록 속의 상인들 3. 상업 활동 3장. 비각 자료가 보여주는 원대 무슬림의 지위 1. 비각 자료 연구의 가치 2. 면세 성지 비각 자료와 무슬림 사제의 지위 3. 비각 자료의 한계: 문헌 사료와의 비교 4. ‘답실만’과 대원제국의 무슬림: 의의와 한계 2부. 여행기를 통해 본 몽골 평화시대 4장. ‘몽골의 평화’ 시대 여행기들을 통해서 본 『맨더빌 여행기』의 새로움 1. ‘몽골의 평화’ 2. 몽골을 찾아간 여행가들 3. 『맨더빌 여행기』의 새로움 4. 근대의 ‘맨더빌들’ 5장. 요르다누스 여행기에 나타난 새로운 정보의 서술 방법 1. 중세의 여행기란 2. 요르다누스 카탈라와 인도 여행기 3. 요르다누스 여행기의 내용 4. 요르다누스 여행기의 독자 5. 요르다누스 여행기의 의의 6장. 프라 마우로 지도에 나오는 마르코 폴로의 중국 지리 1. 프라 마우로 지도의 중요한 사료, 『동방견문록』 2. 프라 마우로 지도 제작의 역사적 배경 3. 프라 마우로 지도의 중국 묘사와 마르코 폴로 여행기 4. 몽골 시기 유라시아 지리 지식 탐구를 위한 향후 과제 3부. 고려와 몽골의 교류와 접촉 7장. 대몽골국 초기 카라코룸으로 간 고려 사신들 1. 고려-몽골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 2. 칭기스 칸 시기 몽골과 고려의 만남 3. 대몽골국 초기의 상황과 고려 사신의 카라코룸 사행 4. 유럽 측 사신이 카라코룸에서 본 고려 사절 5. 고려-몽골의 외교와 그 영향 8장. 몽골 공주 출신 고려 왕비의 정치적 위치와 고려-몽골 관계의 다층성 1. 몽골 공주 출신 고려 왕비들 2. 몽골 조정과 고려 사이에서 3. 공주와의 통혼과 고려 국왕의 정치력 4. 통혼을 통해서 본 고려-몽골 관계의 다층성 9장. 원제국의 법제와 고려의 수용 양상 1. 몽골의 제국 통치와 법 2. 원 전기의 법제와 법전 편찬 3. 원 중ㆍ후반기 법전 편찬 4. 고려에서의 원 법제 수용 양상 5. 원 법제의 특징과 영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