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세계의 지식인이 주목한 이 시대 가장 중요한 대화 주제 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하는 이들을 위한 필독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월스트리트저널》 《타임스》 《네이처》 《사이언스》 극찬! 『라이프3.0』은 인공지능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을 바로잡고 기본적인 용어와 핵심 논쟁을 명쾌하게 설명한다. _ 유발 하라리 이 책은 우리가 생명, 지능, 의식의 위대한 미래를 추구해나가는 과정에서 마주칠 도전과 선택할 상황에 대한 설득력 있는 길잡이다. _ 일론 머스크 (인공지능과 관련한 논의는)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대화 주제이고, 테그마크는 이 책에서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대화에 참여하도록 이끈다. _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시대 인류의 삶은 어떻게 변할까? 세계 리더들이 의견 충돌을 일으키다 2014년 7월 18일 미국 나파밸리에서 일론 머스크가 주최한 파티가 열렸다. 여러 명사가 참여한 그 자리에는 구글 창립자인 래리 페이지와 이 책의 저자인 맥스 테그마크도 있었는데, 그들은 한가롭게 아이들 배변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던 참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인공지능(AI)이 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대화가 옮겨가더니, 일론 머스크가 그 대화에 참여하면서 의견 충돌이 일어났다. 래리 페이지는 디지털 생활은 우주 진화에서 자연스러운 단계이기 때문에 어떤 이유에서건 인공지능의 발전을 막아서는 안 되며, 인공지능을 노예처럼 대하지만 않으면 좋은 결과에 이를 수 있다고 확신했다. 이때 일론 머스크는 래리 페이지에게, 왜 디지털 생활이 우리가 좋아하는 것들을 파괴하지 않을지 확신하느냐고 재차 물었다. 그러자 래리 페이지는 일론 머스크를 종차별주의자(speciesist)로 몰아붙였다. 탄소가 아니라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다는 이유로 어떤 생명체를 열등하게 본다는 주장이었다. 알파고의 직격탄을 맞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AI에 주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래리 페이지나 일론 머스크는 AI를 개발할 결정권을 가진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인사이다. 그런데 이들 사이에서도 AI가 미래에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일치된 의견이 나오지 않는다. 맥스 테그마크는 래리 페이지를 디지털 이상주의자로 분류한다. 디지털 이상주의자는 인공지능이 발달해 인간 수준에 이르는 것은 시간문제이며, 그것은 인류 번영을 보장한다는 입장이다. 『마음의 아이들』을 쓴 한스 모라벡이나 『특이점이 온다』의 레이 커즈와일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이 걱정하는 시나리오는, AI 피해망상 때문에 인공지능 발전이 저해되거나 거대한 정치권력이 고도로 발달한 AI를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만 사용하는 상황이다. 이와 정반대의 입장을 가진 사람들도 있다. 기술 회의론자들은 그렇게 고도로 발달한 AI는 등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바이두의 수석 과학자인 앤드루 응이나 MIT 교수로 여러 산업용 로봇을 개발한 로드니 브룩스가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은 인간 수준의 능력을 지닌 인공지능은 사실상 불가능하거나 수백 년이 지난 뒤에야 등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인공지능이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지만 얼마나 더 발전할지, 어떤 세상을 만들지 합의된 전망이 나오지 않은 것이다. 인간을 뛰어넘는 인공지능은 등장할까? 왜 라이프 3.0인가? 맥스 테그마크는 생명을 세 단계로 구분한다. 라이프 1.0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진화의 방식을 통해서만 발전하는 생명 형태이다. 박테리아는 어떤 상황에 대응하는 아주 기초적인 반응을 할 수는 있지만 무언가를 학습하지는 못 한다. 그래서 새로운 상황에 처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라이프 1.0 단계의 생명들은 진화를 통해서만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다. 쥐는 학습 능력이 있지만 그리 정교하지 않으며 그것을 세대에 걸쳐 전달하지도 못한다. 이러한 동물은 라이프 1.1 정도의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라이프 2.0은 하드웨어는 진화하지만 소프트웨어는 설계할 수 있는 생명 형태이다. 인간은 성장하고 학습하면서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수 있다. 이를테면 우리는 어릴 때 받은 교육에 따라 한국어를 말할 수도 있고 영어를 말할 수도 있으며 둘 다 할 수도 있다. 아니면 의사가 되는 교육을 받을 수도 있고 요리사가 되는 교육을 받을 수도 있다. 게다가 이렇게 설계한 소프트웨어를 다음 세대에 전달할 수도 있다. 라이프 2.0 시대에 이르러 지구상에는 진정한 문화가 등장했고 지식과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했다. 라이프 3.0은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물론 하드웨어도 설계할 수 있는 생명 형태다. 라이프 3.0 생명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한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된 하드웨어는 다시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이는 다시 하드웨어의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요새는 인간도 하드웨어의 일부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를 임플란트로 바꾸거나 심장박동기를 설치하는 식으로 하드웨어의 일부를 설계해 대체할 수 있다. 이를테면 현 세대 인간은 라이프 2.1 정도의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0배로 키를 늘리거나 1,000배로 뇌 용량을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라이프 3.0은 이런 것까지 가능한, 일종의 궁극적인 생명 형태다. 맥스 테그마크가 라이프 3.0을 언급하는 것은 미래에 개발될 인공지능이 라이프 3.0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몇 가지 개념을 정리해야 한다. 일단 라이프 3.0이 될 수 있는 인공지능은 인간 수준의 범용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이다. 현재 개발된 알파고나 왓슨 같은 인공지능은 바둑이나 퀴즈 풀기 같은 특정 분야에서는 뛰어난 능력을 보여줬지만 자신의 분야를 넘어가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범용인공지능은 인간처럼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뜻한다. 그리고 초지능(super intelligence)이어야 한다. 초지능은 인간 수준을 훨씬 능가하는 범용지능이다. 알파고는 이세돌에 이어 커제에게도 승리를 거둠으로써 인간 중에는 적수가 없음을 확인했는데 이런 정도의 능력을 지닌 범용인공지능이 나타난다면 초지능이라고 할 만한다. 이 같은 초지능이 탄생한다면 그것은 스스로를 끊임없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물리학의 한계가 허용하는 수준까지 자신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쯤에서 궁금증이 생긴다. 정말 그런 인공지능이 등장할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이 나오지 않았다. 디지털 이상주의자 중에는 20~100년 사이에 그런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이라고 보는 사람도 많다. 정반대로 원리상 그런 인공지능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기술 회의론자도 적지 않다. 그러니까 저 질문에 대한 솔직한 대답은 ‘모른다’라고 테그마크는 고백한다. 하지만 테그마크는 그런 인공지능이 등장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면, 그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가장 위대한 핵물리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어니스트 러더포드는 레오 실라르드가 핵연쇄반응을 발명하기 전까지 핵에너지는 헛소리라고 말했다. 이후에 일어난 일은 우리가 잘 알고 있다. 핵에너지는 인류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무기이자 기술이 되었다. 인공지능이 인종 청소에 사용된다면? 로봇 의사처럼 로봇 판사가 등장한다면? 인공지능은 어떤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까? 맥스 테그마크같이 미래의, 아직 실현되지도 않은 기술을 걱정하는 사람들을 한심하게 보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이 개발한 기술을 통제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핵에너지의 개발은 핵전쟁의 위협과 함께 방사능 유출의 가능성을 발생시켰다. 우리는 핵에너지가 일으킨 사고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준 지역을 여럿 알고 있다. 화석에너지의 활용도 마찬가지다. 처음에 사람들이 석탄이나 석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