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어차피 잘될 놈은 정해져 있어. 나머지는 들러리일 뿐.” 《1의 들러리》는 청소년의 가려진 문제를 조명하는 ‘소원라이트나우’ 시리즈의 세 번째 청소년 장편소설이다. 살림YA문학상과 사계절문학상을 수상한 김선희 작가의 신간으로, 5년이란 시간 동안 무수한 퇴고를 거쳐 완성된 작품이다. 금수저와 흙수저, 귀족과 노예, 갑을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 계급론 속에서 아이들은 신분을 상승시킬 사다리를 찾기보다 계급이 필연적으로 불러일으키는 차별에 반대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단 한 명의 주인공인 ‘박잉걸’을 견고하게 둘러싼 계급 문화에 묵직한 직구를 던진다. 더 나아가 아이들에게 ‘주체’로서 살기 위해 필요한 가치란 무엇일지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우리는 모두 1의 들러리였다.” 들러리가 아닌 나로 살아가기 위해 벌이는 들러리들의 반란! 대기업 상무와 유명 화가를 부모로 둔 잉걸은 H고에 다니는 학생 중 계급 피라미드 최상위에서 포식하며 온갖 수혜를 누리고 부정을 저지른다. 알코올중독자 아버지를 둔 동욱은 잉걸의 봉사활동을 대신하는 대가로 돈을 받으며 그것이 나름대로 괜찮은 거래라고 생각하지만, 어느 순간 누군가의 들러리로만 살아가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후에 동욱은 오롯이 나로서 살기 위해 스스로를 고발하는 피켓을 들고 교문 앞에 선다. 《1의 들러리》는 단 한 명의 1, 즉 잉걸을 위해 모두가 들러리를 서야 하는 상황을 폭로한다. 이를 통해 평등을 중요한 원칙으로 꼽는 학교에도 암암리에 계급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집안이나 성적이 좋은 학생은 갑 혹은 귀족, 가난하거나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을 혹은 노예. 교장을 비롯한 교사들은 자신의 편의를 위해 계급을 옹호하거나 외면한다. 동욱의 폭로로 인해 영원히 견고할 것만 같던 계급에 금이 가기 시작하고, 아이들은 잉걸이 그동안 누리던 혜택에 의문을 제기한다. 잉걸과 학교라는 거대한 계급에 맞서 싸우며 아이들은 계급이 곧 정체성이 되어 버리는 학교에서 벗어나 점점 진정한 ‘나’의 모습을 찾는다. 공평과 공정을 향한 투쟁을 통해 비로소 삶의 주인공으로 성장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사회가 아이들에게 물려줘야 하는 것이 계급이 아닌 ‘정의’라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 준다. 〈설공찬전〉에서 〈유령〉으로 이어지는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잉걸, 동욱과 같은 반에 다니는 기수는 《조선 시대의 금서》라는 책에서 조선 시대의 채수가 쓴 〈설공찬전〉을 발견한다. 뒷이야기가 끊어진 〈설공찬전〉은 중종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중종과 반정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비판한다는 이유로 오랜 시간 동안 ‘금서’로 지정된 작품이었다. 〈설공찬전〉을 읽을 때마다 기수는 이야기를 이어 쓰고 싶다는 욕구를 느꼈고, 소설을 통해 잘못된 시대를 풍자하는 일에 매료되었다. 박잉걸에게 이용당하고 버려진 동욱의 모습을 지켜보던 기수는 잉걸의 개로 지냈던 자신의 친구 호민을 떠올리고, 마침내 박잉걸이 그동안 저지른 만행을 〈유령〉이라는 소설로 쓰기로 결심한다. 〈설공찬전〉과 〈유령〉은 전혀 다른 두 개의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잘못된 상황을 비판했다는 점과 많은 사람이 읽었다는 공통점 때문에 하나의 작품처럼 읽힌다. “인간의 삶이란 건 유한할지 몰라도 그 속에 흐르는 정의감이나 저항 의식은 문학을 통해 몇백 년이 지나서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거지(《1의 들러리》 본문 58페이지).”라는 임꺽정의 대사처럼 권력의 부당함에 맞서는 저항 정신이 조선 시대부터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는 사실을 〈설공찬전〉과 〈유령〉을 통해 분명히 알 수 있다. 《1의 들러리》는 문학이 지치지 않는 저항 의식을 보여 주며, 문제의식을 담아내는 그릇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한 발짝 더 나아가 《1의 들러리》 역시 〈유령〉처럼 현실에 실제로 존재하는 계급을 무너뜨리는 데 필요한 작은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펼쳐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