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Prologue 제 1장 이제, 시작하는 서점 경주는 그대로였다 스물다섯, 시의 세계를 만나다 사진기사, 새마을금고 직원, 댄스 강사 그리고 현대차 협력 업체 직원까지 은화수 식당을 거쳐 어디에도 없는 서점으로 제 2장 무엇이든, 직접 만들어내는 서점 여기가 바로 종이 장사할 터 셀프 홈 인테리어에서 셀프 숍 인테리어까지 경주의 시간을 모아서 만든 공간 시작은 중고책이자, 나의 서재 대형 서점도 부럽지 않은 짱짱한 동네 책방 가장 중요한 이름 짓기 ‘어서어서’ 어서어서의 마스코트 읽는 약 책 봉투 제 3장 드디어, 수익을 내는 서점 매체의 놀라운 힘 SOLD OUT, 책 구해 오겠습니다! 사진만 찍고 가셔도 괜찮습니다 서점을 위해 지켜야 하는 영업 시간과 정기 휴무 자신을 위해 지켜야 하는 몇 가지 책방에서 발생 가능한 로스에 대하여 판매량 계산보다 중요한 것들 어서어서가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이유 작은 책방이라는 꿈, 동네 서점이라는 사업 아이템 코로나 시대의 자영업, 그리고 동네 서점 제 4장 더하여, 문화를 생산하는 서점 종이책의 감성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아날로그 읽는 약 책 봉투의 기쁨과 슬픔 서점의 본질은 ‘책을 파는 곳’ 읽는 약에 담긴 책의 의미 때로는 까칠함도 필요하다 제 5장 계속해서, 지역과 함께하는 서점 경주도 황리단길은 처음이라 모든 동네 책방을 응원합니다 두 번째 어서어서, 이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