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글을 시작하며_ 4 1. 출생과 성장 미리벌의 정기 받고 태어난 ‘작은 용’_ 14 소년기의 항일 의기 형성과 표출_ 20 학업과 혼인과 비밀결사 활동_ 23 2. 청년기의 선구적 항일투쟁 밀양의 독립만세 시위를 기획하고 이끌다_ 31 초보적 항일선전공작 경험을 갖다_ 36 만주로 나가서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다_ 39 국내 특공거사의 결사대원으로 나서다_ 43 법정과 감옥에서도 항일 기개를 떨치다_ 48 3. 재향 민족운동 참여와 항일언론의 봉화 돌아온 사자, 청년운동 참여로 첫발을 내딛다_ 55 밀양 신간회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다_ 58 언론 분야에서 맹렬 항일의 봉화를 올리다_ 64 중외일보와 ‘경남주식회사’ 경영 참여:절반의 수수께끼_ 67 4. 중국행 망명과 민족혁명 기반 구축에의 헌신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으로 복귀하다_ 74 민족혁명의 미래간부 육성에 전념하다_ 81 대일결전 대비 민중조직 공작을 지도하다_ 92 5. 민족혁명당에서의 맹활약 대일전선 통일을 추동하여 민족혁명당을 창립해내다_ 96 민족혁명당의 훈련책임자와 조직가·이론가로 활약하다_ 101 통일전선 논리와 운동현실 사이에서_ 109 6. 한중연합 항일운동과 조선의용대 활동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항일공작을 진두지휘하다_ 114 중국 군관학교에서 한인 청년투사들을 조련하다_ 122 조선의용대를 창설하여 한중연합 항일전선에 서다_ 127 포로 교도공작의 대성공과 전선 재통일운동의 실패_ 138 7. 화북전선에서의 분투와 장렬한 최후 무장화와 적후공작을 위해 의용대의 화북행을 추진하다_ 146 황하를 건너 태항산 항일근거지로 들어가다_ 156 화북전선에서의 석정과 조선의용대의 분투_ 162 태항산 항일전장에서의 장렬한 최후_ 174 8. 순국 희생 후의 일들 석정의 순국일 문제_ 181 추도와 장묘_ 184 두고 간 사람들_ 189 한·중 연대의 기념과 유산_ 194 9. 석정 윤세주, 불멸의 공적과 인간상 윤세주의 독립운동 발자취와 공적_ 199 윤세주의 인간상과 그 의미_ 206 그 이름, 불멸의 큰 별이 되다_ 210 부록_ 213 윤세주의 삶과 자취_ 228 참고문헌_ 234 찾아보기_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