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테마한국문화사>를 펴내며 Discovery of Korean Culture Preface 저자의 말 제1부 민화란 무엇인가 1. 민화의 개념 민화인가, 궁중회화인가 | 과거의 속화, 현대의 민화 | 서구에서 시작된 민화 개념 | 일본에서 정립된 민화 개념 | 민화, 서민화가가 그린 그림 2. 궁화, 사인화, 그리고 민화 전통회화의 분류로 본 민화 | 궁화에서 민화로 | 사인화의 영향을 받은 민화 3. 채색화로서의 민화 색채의 힘 | 청색과 적색의 조화 | 부분채색의 효과 | 무지개의 꿈 | 채색의 실제 예 |SB| 민화와 풍속화는 어떻게 다른가 제2부 민화의 주제 1. 민화, 어떻게 나누나 민화의 분류 | 민화의 특징 2. 화조화 화조화란 | 화훼도 | 영모도 | 어해도 | 초충도 | 소과도 3. 인물화 이야기하는 인간 | 고사인물화 | 풍속화 | 종교화 | 초상화 4. 문자화 그림 같은 글씨, 글씨 같은 그림 | 길상문자도 | 유교문자도 | 비백서? 5. 산수화 마음의 풍경 | 소상팔경도 | 금강산도 | 무이구곡도 6. 문방화와 누각화 문방화, 책과 문방구를 그린 그림 | 민화의 누각화, 감모여재도 |SB| 동음이어법, 박쥐가 행복을 뜻하는 이유 제3부 민화의 역사 1. 민화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민화의 원초적 이미지 | 민화의 실질적 시작, 처용문배 | 처용문배의 이미지 2. 고려시대의 민화 불화, 무화, 벽화 3. 조선 전기의 민화 조선시대의 문배와 세화 | 조선 전기의 민화 표현 | 분청사기에 담긴 민화의 표정 4. 조선 후기의 민화 권력을 풍자한 민화 이미지 등장 | 세화에서 민화로 발전 | 민화의 성행 |SB| 현대에 되살아난 민화의 열기 제4부 민화와 종교 1. 민화에 투영된 유교이념 민화와 유교문화 | 길상문자도에서 유교문자도로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 민화, 효자도 | 학문에서 길상의 상징으로 변한 책거리 | 누구를 위한 제사인가 | 매우 현실적인 유교 민화 2. 불화에 분 민화 바람 불화를 통해 본 민화의 유행 | 사찰 곳곳에서 만나는 민화들 | 명부전과 민화 | 민화로 장식된 위패형 진영 | 산신도의 두 얼굴 | 민화가 사찰에서 유행한 까닭은? 3. 무화의 휴머니즘 인간적인 신의 세계 | 조선의 또 다른 역사, 서울의 무화 | 서울의 마지막 신당, 금성당의 무화 | 밝고 명랑한 이미지의 황해도 무화 | 그로테스크한 제주도 무화 | 무화의 보존 문제 |SB| 광통교의 민화 파는 가게 제5부 동아시아의 민화 1. 한자문화권과 동아시아의 민화 동아시아 민화의 보편성 | 같으면서 다른 한자문화권의 민화 2. 중국의 민간연화 문신으로 시작된 중국 민화의 역사 | 천진의 양류청 | 유방의 양가부 | 소주의 도화오 3. 일본의 우키요에와 오쓰에 근심이 가득한 세상에서 즐거운 세상으로 | 조선통신사들이 본 에도시대의 풍경 | 먹빛의 강렬한 표현 | 서정적인 미인상 | 미인도의 이상형 |토슈사이 샤라쿠의 해학적인 캐릭터 | 제3의 주제로 떠오른 풍경화 | 길거리 민화 오쓰에 4. 베트남의 민화 베트남 민화와 한국 민화의 관계 | 세시풍속과 베트남 민화 | 항총회화 | 동호판화 | 신판화 |SB| 세계 속의 우리 민화 부록 주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