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프롤로그: 계속 우리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기 위해 1장 우리는 모두 처음이었다 : 첫 번째 애도의 밤 - 우리가 함께 모여 이야기하는 이유 - 나를 자살 사별자로 소개한다는 것은 - 그 사람이 떠난 그날에 대해 - 고인의 모습을 보는 것에 대해 - 우리 모두, 장례식은 처음이었다 - 그들이 보냈을 어떤 경고신호, 죽음의 이유를 찾는 추적자 - 첫 번째 모임을 마치며 2장 애도, ‘우리는 서로를 보고 있구나’ 깨닫는 시간 : 두 번째 애도의 밤 - 함께 나누는 것의 힘을 조금씩 체험해가다 - 그 사람이 살았다는 흔적 지우기: 법적, 행정적 기록 - 죽음 직후 나의 일상, 마주한 나의 슬픔 - 나의 애도와 너의 애도는 다르다: 가족의 애도 - 가족과 그 사람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까 - 고인이 자살했다는 것을 타인에게 알릴 것인가 - 타인의 위로에 대해 - 두 번째 모임을 마치며 3장 그 사람의 이름을 조금 더 편안하게 부르는 연습 : 세 번째 애도의 밤 - 나의 애도에서 ‘당신의 애도’로 시선이 조금씩 옮겨가다 - 여섯 번의 자조모임이 끝날 때쯤 나는 - 그날 이후 사람들이 ‘자살’을 말할 때 - ‘스스로 목숨을 끊는 마음’에 대해 - 그 사람의 물건을 정리하거나 쓰는 것에 대해 - 디지털 세상에 남아 있는 그 사람의 흔적에 대해 - 세 번째 모임을 마치며 4장 남은 삶에 대해 엄두를 내는 용기 : 네 번째 애도의 밤 - 무언가를 ‘하지 않을’ 여유가 스며들다 - 그 사람이 떠난 후 첫 1년, 기일을 맞이하는 것에 대해 - 유서에 담긴 것, 또는 담기지 않은 것 - 사별 직후의 감정을 ‘통과’하는 일 - 죄책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다루어야 할까 - 네 번째 모임을 마치며 5장 고인의 행복, 고뇌, 열정까지 온전히 기억하기 : 다섯 번째 애도의 밤 - 우리는 다시 만날 수 있다는 믿음 - 각자 몫의 애도가 있다 1: 부모와 자녀의 관계 - 각자 몫의 애도가 있다 2: 남편 사별 이후 시댁과의 관계 - 고인을 온전히 기억하는 것의 의미 - ‘박탈된 애도’를 겪는 사람들 - 삶의 의미와 가치의 변화 - 다섯 번째 모임을 마치며 6장 내 삶과 고인과의 건강한 연결 : 여섯 번째 애도의 밤 - 우리에게는 각자 만들어야 할 이야기가 있다 - 유품을 보며 고인의 삶을 기억하기 - 고인을 추모하는 방법: 글쓰기 - 여섯 번의 만남을 마치고 우리는 - 애도,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는 언제일까? 에필로그: 고인의 이야기 상자를 열어, 미뤄왔던 애도를 시작할 수 있기를… 부록: 자살 사별자 권리장전 / 자살 경고신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