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여는 말: 욕망의 억압에 관한 전설 1장 나도 폴리아모리일까? 1“이건 사랑이 아니야” 2“하나만 선택해” 3“아무도 사랑하지 않을래” 4“눈에 띄지 않는다면 바람 피워도 괜찮아” 5“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유일한 보편법칙이다” 6“이성은 자유를 이해하는데 감정은 그렇지 않아요” 7“나는 폴리아모리가 아니야” 2장 폴리아모리란 무엇인가? 1 Poly-Amory 2 비독점성: Non-mono 3 컴퍼션: Compersion 4 비독점성과 진지한 사랑의 문제 5 전체적 사랑 6 되기로서의 컴퍼션 7 다중 파트너 관계: Multi Partner Relationship 8 너무나 많이 사랑한 죄 9 폴리아모리는 문어발이 아니다 10 비이: Vee 11 트라이어드: Triad 12 쿼드: quad 13 폴리피델리티: Polyfidelity ps. 폴리아모리와 관련된 개념들의 한계 3장 사랑한다면 스피노자처럼 1 폴리아모리의 본질? 2 사랑을 회개하세요 3. ‘사랑’의 권력 4 헬렌 피셔, 폴리아모리는 가능한가 5 일부일처의 문제 6 통념적 사랑 7 스피노자의 사랑 8 사랑, 나를 기쁘게 하는 것들 9 강렬한 사랑의 인식 10 가면들의 사랑 11 성좌의 사랑 4장 폴리아모리와 사회적 질문들 1 국내에서 폴리아모리의 흐름 2 폴리아모리는 성소수자인가? 3 성소수자 운동에 있어서 폴리아모리의 친밀성 4 여성 운동에 있어서 폴리아모리의 친밀성 5 육아의 문제 6 폴리아모리, 모여서 수다를 떨다 7 국내에서 폴리아모리 운동의 전망 5장 충돌 없는 폴리아모리를 위한 몇 가지 방법 1 모노아모리도 폴리아모리를 할 수 있다!: 발견주의 2 사랑할 수 있는 권리: 생태주의 3 20세기 가장 똑똑한 커플: 합의주의 4 돈과 시간의 관리를 시작하라: 구성주의 5 자신을 완전한 존재로 만들어나가라: 실존주의 6 기존의 가족 구조를 잊어라: 해체주의 7 폴리아모리를 사랑하는 모노아모리: 포스트구조주의 맺는 말: 사랑은 언제나 옳다 폴리아모리 깊이 읽기 / 더불어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