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책머리에 | 카페라테 혹은 에스프레소? 신은 누구를 구원하는가? 괴테의 <파우스트> 1부 : '자기 체험'에 대하여 악마마저 이겨낸 남자 괴테의 <파우스트> 2부 : '자기실현'에 대하여 질풍노도를 잠재우는 법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 '성장'에 관하여 관계의 미학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 : '만남'의 의미 사랑과 질투의 함수관계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 '질투'에 관하여 가족에 관한 냉혹한 진실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 '가정'의 의미 참을 수 없는 일상과의 결별 사르트르의 <구토> : '일상'에 대하여 텅 빈 무대의 대본 없는 배우, 인간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 '권태'의 의미 나는 반항한다. 고로 존재한다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 '반항'의 의미 그 섬은 어디에 있을까? 최인훈의 <광장> : '유토피아'에 대하여 당신들의 유토피아, 우리들의 디스토피아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 '디스토피아'에 대하여 불행해질 권리를 요구합니다 올더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 '인간공학'에 관하여 빅브라더가 지켜보고 있다 조지 오웰의 <1984년> : '사회공학'에 관하여 나를 찾는 시간여행, 회상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회상'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