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1부 ‘희생’의 논리와 레토릭
1장 야스쿠니와 ‘홀로코스트’―무엇을 위한 ‘숭고한 희생’인가?
‘숭고한 희생’이라는 레토릭
전사戰死를 정당화하는 효과
‘희생’이라는 말의 기원
이삭을 봉헌한 이야기
부활한 홀로코스트
야스쿠니 참배에서 실험동물 위령제까지
2장 ‘영령’ 기리기의 과거.현재.미래
오사카?타이완 소송의 배경
식민지 획득 전쟁의 기록
‘타이완 리번’과 ‘숭고한 희생’
회귀하는 ‘야스쿠니 논리’
이라크 파병을 정당화하는 ‘논리’
‘국민정신’의 의미
자위대원의 사망자는 어떻게 추앙되는가?
3장 히로시마?나가사키와 ‘숭고한 희생’―말소되는 책임에 대한 물음
국가가 추모하는 원폭 사망자
원폭 사망자도 ‘숭고한 희생’인가?
우라카미의 성자
‘원폭은 신의 섭리’라는 설
‘번제’라는 은유 효과
말소되는 미국의 전쟁범죄
‘성단’ 신화에 대한 공헌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
4장 ‘전사자의 대제전을!’―국민 동원의 레토릭
<지지신보> 논설의 의의
‘전사자를 주목하라!’
슬픔에서 기쁨으로―성별 프로세스
현실화한 ‘대제전’
‘야스쿠니 논리’ 그 무대의 이면
전시는 물론 현대까지
2부 국민.희생.종교―‘조국을 위해 죽는다는 것’의 역사
5장 희생에 연루된 ‘국민’―피히테와 르낭
‘국민의 논리’로서의 희생의 논리
패전 국민에게 보내는 두 개의 강연
‘매일 매일 치르는 인민투표’인가 ‘언어’인가?―국민에 대한 대조적인 정의
조국애, ‘자기희생의 정신’
‘국민’ 개념의 오해
애도는 의무를 부과한다
공통 요소로서의 ‘희생의 논리’
6장 애도와 망각의 공동체
‘망각’은 왜 중요한가?
참회하기 때문에 등장한 국민
가토 노리히로, 《패전후론》의 주장
국민이 주장하는 ‘애도의 논리’
애도 공동체가 배제하는 것
7장 신화가 되는 전쟁 체험―근대 유럽의 ‘영령’ 추모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영령 현창
애도와 자존심의 뒤엉킴
‘야스쿠니 논리’와의 공통성
전쟁 체험의 신화화와 범용화
신화화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8장 ‘참된 희생’에서 ‘타락한 희생’으로―칸트로비츠의 경우
유대인 독일 내셔널리스트
영령 추모과 순교의 관계
‘숭고한 희생’의 연원
중세에 나타난 변화
‘조국’을 대신하는 것―봉건제도와 기독교
세속 국가가 종교적 가치를 띠게 된 배경
신비체로서의 국가
자기희생의 타락
9장 영령의 피와 그리스도의 피―‘순국은 곧 순교’라는 논리
불교도들이 주장하는 ‘야스쿠니 논리’
‘고귀한 피’의 의의
매개로서의 ‘피의 논리’
순국은 곧 순교
‘국가교’의 보편성
3부 ‘희생의 논리’는 초월 가능한가?
10장 ‘정전’과 희생―월처의 경우
정전론이 주목받은 배경
‘전쟁의 정의’와 ‘전쟁에서의 정의’
희생을 정당화하는 자위전쟁
상비군이란 무엇인가?
10퍼센트의 희생을 정당화하는 논리
11장 저항과 추모―한국의 영령
침략과 저항에 공통되는 논리
베트남 민간인 학살 문제
충열대와 정국교―기념의 정치학
‘5월의 영령’―광주민중항쟁의 기억
12장 자크 데리다와 ‘절대적 희생’
희생 없는 국가와 사회는 가능한가?
인간은 절대적 희생에서 벗어날 수 없다
전쟁―희생 패러독스의 극대화
희생의 폐기로 나아가려는 욕망
후기
옮긴이 후기
인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