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론 죽다

사뮈엘 베케트 · 小説
180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4.0(41人)
0.5
5
評価する
4.0
平均評価
(41人)

사뮈엘 베케트의 소설 『말론 죽다』가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베케트의 대표적인 소설 3부작 중 한 권으로, 앞선 『몰로이』와 뒤따르는 『이름 붙일 수 없는 자』 사이에서 전통적인 소설을 벗어나 베케트식 글쓰기로 본격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사뮈엘 베케트는 전후 1946년부터 영어 대신 프랑스어로도 글을 쓰기 시작해, 1947년 『몰로이』, 1948년 『말론 죽다』, 1949년 『이름 붙일 수 없는 자』를 썼다. 소설들은 1951년부터 프랑스 미뉘 출판사에서 출간되기 시작했다. 세 소설은 모두 1인칭 장편소설로, 작가 사뮈엘 베케트의 글쓰기가 지향하는 바를 단계별로 보여 준다. 글쓰기의 주체로 설정된 인물의 이름을 내세운 『몰로이』를 지나, 소설이 3분의 1 정도 진행된 다음에야 등장한 이름이 죽음으로 향하는 『말론 죽다』를 거쳐, 이름과 정체성을 아예 잃어 버리게 된 『이름 붙일 수 없는 자』까지.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4.0(41人)
0.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4

目次

말론 죽다 해설 작가 연보 작품 연표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글쓰기의 과정 사뮈엘 베케트는 전후 1946년부터 영어 대신 프랑스어로도 글을 쓰기 시작해, 1947년 『몰로이』, 1948년 『말론 죽다』, 1949년 『이름 붙일 수 없는 자』를 썼다. 소설들은 1951년부터 프랑스 미뉘 출판사에서 출간되기 시작했다. 세 소설은 모두 1인칭 장편소설로, 작가 사뮈엘 베케트의 글쓰기가 지향하는 바를 단계별로 보여 준다. 글쓰기의 주체로 설정된 인물의 이름을 내세운 『몰로이』를 지나, 소설이 3분의 1 정도 진행된 다음에야 등장한 이름이 죽음으로 향하는 『말론 죽다』를 거쳐, 이름과 정체성을 아예 잃어 버리게 된 『이름 붙일 수 없는 자』까지. (몰로이는 2008년 문학과지성사에서 대산세계문학총서 중 한 권으로 출간되었고[김경의 옮김], 2016년 워크룸 프레스에서 펴낸 이름 붙일 수 없는 자는 이름은 물론 팔다리도 없이 몸통과 머리만 남아 단지에 들어가 있는 '항아리-인간'이 쏟아내는 말들을 한국어로 선보인 바 있다[전승화 옮김].) 사뮈엘 베케트의 후기 단편들 『죽은-머리들 / 소멸자 / 다시 끝내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실패작들』과 베케트 후기 3부작으로 불리는 글 세 편을 포함한 단편집 『동반자 / 잘 못 보이고 잘 못 말해진 / 최악을 향하여 / 떨림』을 한국어로 옮긴 임수현은 이 책 『말론 죽다』를 옮기면서 베케트 소설 3부작의 흐름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이는 베케트가 전통적인 소설의 구성 요소들을 조금씩 비워 나가는 과정이며, 그의 글쓰기는 결국 소설가와 서술자의 경계마저 희미해진 채 오직 '말하는 주체'만 남겨지는 모습을 보여 준다."(임수현, 해설 '소설의 죽음, 글쓰기의 시작 - 사뮈엘 베케트의 말론 죽다', 144면) 또 다른 베케트 연구자 에디트 푸르니에에 따르면, 이 소설 3부작은 (베케트가 애독했다고 알려졌으며 자신의 작품에서 자주 인용하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속 3부인 「지옥」과 「연옥」과 「천국」에 해당한다. 즉 『말론 죽다』는 인물과 이야기를 불확실하나마 최소한 간직하고 있는 『몰로이』와 머릿속 말들만 쏟아져 나오는 『이름 붙일 수 없는 자』의 중간 단계인 연옥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말론 죽다』는 『몰로이』와 『이름 붙일 수 없는 자』 사이 어딘가에서, 자신의 죽음 외에 아무것도 확신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스로 만들어 낸 인물과 이야기의 파편들과 함께 그것들을 만들어 내는 자신의 생각까지 두서없이 내뱉는 서술자를 통해 글쓰기의 과정을 그대로 보여 주는 소설이다. 글쓰기에 대한 글쓰기 "난 어떻게든 결국 조만간 완전히 죽을 거다."(9면) 『말론 죽다』의 첫 문장. 말론은 자신의 죽음을 확신하고 예고하는 독백으로 입을 연다. 말론의 죽음을 유보하는 방법은 한 가지로 파악된다: 스스로(에게) 이야기하기. 말론은 이것을 '놀이'라고 칭하면서, 평범한 것처럼 보이는 알 수 없는 방에 갇힌 상태로 인물과 이야기를 만들며 놀기 시작한다. 좀처럼 이야기에 진입하지 못하던 말론은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는 듯한 소년 사포스캣의 가족과 삶에 짓눌려 보이는 루이 가족의 이야기를 조금씩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다지 관련 없어 보이는 두 이야기를 오가다가, 중간중간 불현듯 자신의 이야기를 내뱉고, 다시 맥먼이라는 새로운 피조물을 선보인다. 정신병원에서 생활하는 맥먼은 자신을 관리하는 르뮈엘 및 그 무리와 함께 섬으로 여행을 떠난다. 여행은 초반에 르뮈엘의 느닷없는 살인으로 끝나고, 르뮈엘과 맥먼을 포함한 남은 일행은 바다를 떠돈다. 이야기의 끝. "더 이상 아무것도."(138면) 마지막 문장과 함께 말론이 만든 이야기도, 말론의 독백도 끝난다. 『말론 죽다』에서는 이렇게 서술자와 피조물들의 이야기가 뒤섞여 전개된다. 그러면서 마치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글쓰기처럼, 서술자는 인물과 이야기와 표현을 찾는 과정을 투명하게 드러낸다. 임수현은 이러한 '과정의 글쓰기' 가운데 서술자(1인칭의 말론)와 피조물(3인칭의 사포, 맥먼)의 목소리 외에 텍스트를 맴도는 제3의 목소리를 지적하면서, 이 존재가 이후 베케트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된다고 말한다. "이 목소리는 분명 '나에 대해 얘기하는 내 목소리'일 것이지만, 때로 말론을 떠나 그의 이야기와 글쓰기에 개입하는 모습을 보인다. 마치 '나'를 평가하는 듯한 목소리는 이야기의 진행을 독려하기도 하지만('이 부분 괜찮네.' '진행이 된다.')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고('이렇게 지루할 수가.' '아니, 이게 아니지,' '끔찍하군.' '아니, 정말 내 얘기라고!' '갈피를 못 잡겠다. 단 한 마디도.'), 자신의 말을 뒤집거나('일주일 전에 나는 이렇게 말했지, 난 어떻게든 결국 조만간 완전히 죽을 거다. […] 내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고 맹세라도 할 수 있다.'), 스스로를 대상화하기도 한다('이봐, 말론, 또 이러지 말라고.'). 이러한 자기 성찰적인 내면의 소리들은 『말론 죽다』가 지닌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 또는 '소설에 대한 소설'로서의 면모를 드러내며, 결국 서술자인 말론의 권위를 흔들고 그 너머에 존재하는 어떤 존재, 즉 작가를 소환한다."(151-152면) 글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인 작가와 서술자와 인물과 독자가 서로를 끌어들이며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지우는 '자기 재현'은 이후 『이름 붙일 수 없는 자』와 『그게 어떤지』 등으로 거듭나며 베케트의 '글쓰기에 대한 글쓰기'를 여러 방식으로 증명한다. 글을 쓰는 동안에만 살 수 있는, 따라서 소설이 끝나면 죽음에 이르게 될 말론이 남기는 여러 파편에서 우리는 작가 사뮈엘 베케트를 보게 된다. "헐떡거리고, 무너지고, 다시 일어나고, 헐떡거리고, 추측하고, 부정하고, 단언하고, 부정"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거듭 실패하는 글쓰기를 실현하고 있는.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8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