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책을 내며 [1부. 현대미학의 몇 가지 주요 흐름] 제1강 존재론: 니체와 하이데거 - 프리드리히 니체 실존적·존재론적 미학 | 예술과 현실의 관계 | 아폴론형과 디오니소스형 | 비극의 탄생 | 예술의 힘: 생명력과 삶의 긍정 - 마르틴 하이데거 예술작품이란 무엇인가? | 사물과 작품 | 예술작품의 세계와 존재의 의미 | 예술작품과 진리 제2강 생철학: 베르그송, 딜타이, 짐멜 20세기 프랑스 철학의 전통 - 앙리 베르그송 생철학과 현상학의 흐름과 베르그송의 철학 | 정신의 창조적 활동으로서 직관의 미학 | 예술과 실재 - 빌헬름 딜타이 독일 생철학의 흐름 | 예술과 삶의 이해 - 게오르그 짐멜 삶과 형식 | 예술 형식과 삶의 총체성 제3강 현상학: 메를로퐁티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미학 | ‘몸’의 철학 | 현상학적 회화론 | 메를로퐁티의 세잔론 제4강 표현론: 크로체와 콜링우드 - 베네데토 크로체 크로체 미학의 특성 | 직관이란 무엇인가? | 직관과 표현 | 직관과 감각, 예술, 내용과 형식 - 로빈 콜링우드 예술과 재현 | 예술과 표현 | 표현의 효과 제5강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와 라캉 -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예술해석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회화에 대한 분석 | 미켈란젤로의 모세상 - 자크 라캉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재해석 | 주체와 재현 | 라캉의 시각예술이론 | 그림이란 무엇인가? 제6강 기호학: 퍼스, 모리스, 에코 미학의 문제와 기호학적 방법의 만남 | 소쉬르와 구조주의 언어학 | 찰스 퍼스의 기호학과 예술론 | 찰스 모리스의 행동주의 기호학과 미학 | 움베르토 에코의 기호와 현대예술 [2부. 미메시스와 현대예술론] 제7강 리얼리즘 예술론: 게오르크 루카치 미메시스론을 통해 본 예술과 현실의 관계 | 리얼리즘 예술론 | 리얼리즘 예술의 원리 | 리얼리즘의 시각에서 본 서구미술사 제8강 알레고리의 미학: 발터 벤야민 ‘아우라’의 상실과 예술의 지각현상의 변화 | 언어와 ‘비감각적 유사성’ | 알레고리의 미학 | 몽타주와 알레고리 | 알레고리와 현실의 의미 제9강 부정의 미학: 테오도르 아도르노 현대사회와 예술 | 현대예술과 미메시스 | 아도르노의 음악론 | 아도르노의 미술론 [3부. 후기구조주의 미학과 재현의 해체] 제10강 후기구조주의 미학과 재현의 문제 구조주의 | 후기구조주의 | 후기구조주의 미학에서 재현의 문제 | 모방에서 시뮤라크르로 | 예술적 실재의 자율성 제11강 재현의 해체와 ‘상사’의 미학: 미셸 푸코 후기구조주의와 미셸 푸코의 미학 | 푸코의 재현관과 미술작품 해석 | 마그리트의 캘리그램과 원본 없는 복제: ‘상사’ | 재현의 해체 제12강 포스트모더니즘과 숭고의 미학: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 재현의 부정과 숭고의 미학 | 숭고의 미학사 | 숭고의 미학과 리얼리티 제13강 해체론과 미학: 자크 데리다 데리다의 해체론과 형이상학비판 | 데리다의 미메시스론 | 경제의 관점에서 본 미메시스론 | 해체론과 예술철학 | 전통적 재현관의 해체: 회화에서의 진리 제14강 새로운 실재론을 위하여: 질 들뢰즈 들뢰즈 철학의 특징과 사유 여정 | 플라톤적 모방론의 전복과 시뮬라크르 | 회화와 감각의 논리 | 영화론 | 예술의 역할 제15강 모방에서 시뮬라크르로: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와 기호의 체계 | 모방에서 시뮬라크르로 | 시뮬라시옹과 팝아트 | 이미지의 폭력 | 재현의 위기와 시뮬라크르 이론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