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한국 독자들께 드리는 저자서문 역자서문 I. 서론 1. 문학-학문-이론 2. 오늘날의 문학이론 3. 역사적 전제 4. 이 책의 구성과 목표 II. 미학 1. 18세기 미학과 시학 2. 근대 미학의 정초: 칸트 3. 미학의 완성: 헤겔 4. 미학의 탈경계: 프리드리히 니체 5. 문학과 무의식: 지그문트 프로이트 6. 진리의 작품 안으로의 자기정립으로서의 예술: 마르틴 하이데거 7.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사이에서: 게오르크 루카치 8. 비평의 과제: 발터 벤야민 9. 예술과 사회: 테오도르 W. 아도르노 III. 해석학 1. 18세기의 미학과 해석학 2. 해석학적 전환: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3. 해석학과 역사: 빌헬름 딜타이 4. 해석학과 진리: 마르틴 하이데거 5. 해석학과 예술의 진리: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6. 문학해석학과 문헌학적 인식: 페터 손디 7. 수용미학: 독서의 해석학 8. 폭력성의 해석학: 니체, 프로이트, 하이데거 9. 오늘날 해석학의 가능성 IV. 구조주의 1. 문예학과 언어학 2. 현대 언어학의 정초: 페르디낭 드 소쉬르 3. 로만 야콥슨과 언어의 시적 기능 4. 구조주의와 정신분석: 자크 라캉 5. 구조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루이 알튀세르 6. 구조주의 문학이론: 롤랑 바르트 7. 구조주의와 문학 비평: 제라르 즈네트 8. 또 다른 구조주의: 앙리 메쇼닉 9. 구조에서 차이로: 질 들뢰즈와 텅 빈 장의 메타포 V. 해체주의 1. 포스트모던적 지식 2. 긍정 미학: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3. 의미의 논리학을 위하여: 질 들뢰즈 4. 문자와 차이: 자크 데리다 5. 글과 상호 텍스트성: 줄리아 크리스테바 6. 영향의 불안: 해럴드 블룸 7. 문학과 수사학: 폴 드 만 8. 페미니즘 해체주의와 젠더 연구 9. 메타포의 해체: 해체의 메타포 10. 해체주의 대 분석철학 VI. 담론분석 1. 텍스트에서 담론으로 2. 담론분석과 문학: 미셸 푸코 3. 상호담론과 문학에 대한 역사적 담론분석 4. 담론에서 문화로: 스티븐 그린블랫과 신역사주의 5. 문학장이론: 피에르 부르디외 6. 체계이론과 문학: 니클라스 루만 7. 담론분석과 매체이론 VII. 오늘날의 문학이론 1. 이론 이후? 2. 문헌학을 위하여 3. 문화와 자연 사이에서 4. 오늘날 문학이론의 문제들 [부록] 제5판까지의 「VII. 오늘날의 문학이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문명총서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