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1장 금융 개념 001 금융 : 금융이 불안하면 왜 경제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까? 002 금리 : 금리가 오르면 엄마는 왜 치킨을 덜 사주실까? 003 저축 : 저축을 많이 하면 왜 나라 경제가 성장할까? 004 투자와 투기 : 원금을 손해볼 수 있다는데 자금을 대도 될까? 005 신용과 신용 등급 : 빌린 돈을 잘 갚는 것은 왜 중요할까? 006 자산과 부채 : 자산이 많아도 부채가 많으면 위험한 이유는? 007 무역 : 우리나라에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이 많아진 이유는? 008 통화 : 현금이 아닌 계좌 속 숫자는 돈이 확실할까? 009 신용 창조 : 돈이 돈을 낳는다고? 010 신용 경색 : 돈을 빌리지 못하면 금융 시장이 꽁꽁 얼어붙는다? 011 지급 결제 : 물건값을 치르는 것뿐인데 뭐가 이리 복잡하죠? 012 금융 시장 : 돈 거래를 하려면 어디로 가야 하죠? 013 재테크 : 재테크를 잘하는 방법은? 014 회계 : 기업이나 정부도 가계부를 적는다고요? 금융으로 세상 읽기 Ⅰ 재무제표도 화장을 한다고?_ 분식 회계 2장 금융 상품 015 예금과 적금 : 저축으로 풍차를 돌린다고? 016 대출 : 빨리 많이 대출받을 수 있다면 좋은 것 아닌가요? 017 주식 : 기업의 가치를 돈으로 살 수 있다고요? 018 펀드 : 티끌 모아 태산을 만들어 주는 금융 상품이 있다? 019 채권 : 이자만 많이 준다면 아무에게나 돈을 빌려줘도 될까? 020 파생 상품 : 인기 많은 굿즈를 선점하고 싶은 마음이 투자와 만나면? 021 보험 : 갑자기 생길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려면? 022 신용 카드와 체크 카드 : 현금이 있어도 굳이 카드를 쓰는 이유는? 023 청약 통장 : 아파트를 살 수 있는 통장이 있다? 024 노후 연금 : 왜 나라에서는 의무적으로 국민 연금에 가입하게 할까? 금융으로 세상 읽기 Ⅱ 적극적인 주주의 기업 가치 올리기_ 행동주의 투자 3장 금융의 역사와 주요 사건 025 금융의 여명기 : 유대인 대금업자들이 악독한 이미지를 갖게 된 이유는? 026 십자군 원정 : 십자군은 어떻게 금융의 달인이 되었을까? 027 대항해 시대 : 유럽의 후추 사랑 때문에 은행이 생겼다고? 028 네덜란드 튤립 투기 : 역사상 최초의 거품 경제 사태를 일으킨 게 튤립이라고? 029 금 본위 제도 : 금 가격으로 화폐의 가치를 평가하던 시절이 있었다고? 030 브레턴우즈 체제 : 미국 달러화는 어떻게 세계 금융의 주인공이 되었을까? 031 1929년 대공황 : 1929년 미국 경제 위기는 왜 유럽까지 퍼졌을까? 032 1987년 블랙 먼데이 : 블랙 먼데이라는 표현은 왜 생겼을까? 033 1997년 경제 위기 : 우리나라 건국 이래 최대의 경제 위기는 언제였을까? 034 2002년 신용 카드 대란 : “여러분 부자되세요”라는 광고는 왜 인기였을까? 035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 : 미국 부동산 거품이 꺼졌을 때 세계 경제가 위기에 처한 이유는? 036 2020~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 갑작스런 전염병은 경제를 망가뜨린다? 금융으로 세상 읽기 Ⅲ 금융계에 유명한 백조 두 마리_ 블랙스완과 그린스완 4장 금융계의 전설 037 로스차일드가 : 유럽 금융계를 호령한 금융 자본주의의 시초 038 존 피어폰트 모건 : 인정사정없었던 미국 금융계의 거인 039 벤저민 그레이엄 : 가치 투자의 창시자이자 워런 버핏의 스승 040 필립 피셔 : 성장주 투자의 대가이자 워런 버핏의 투자 스승 041 워런 버핏 : 세계 5위 부자이자 기부왕인 가치 투자의 대명사 042 찰스 토마스 멍거 : 워런 버핏의 오른팔이자 현명한 억만장자 투자자 043 피터 린치 : ‘생활 속 투자 종목 발굴’로 유명한 전설적인 펀드 매니저 044 앙드레 코스톨라니 : 달걀 모형과 산책하는 개 이론으로 유명한 유럽의 투자 전설 045 존 템플턴 : 해외 투자의 개척자였던 바겐 헌팅의 달인 046 존 보글 : ‘월가의 성인’으로 추앙받은 인덱스 펀드의 창시자 047 조지 소로스 : 헤지 펀드계의 전설, 20세기 최고의 펀드 매니저 048 레이 달리오 : 사계절 포트폴리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