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추천사 물의 도시 인천을 말하는 생생한 기록 최중기
6 추천사 장정구가 전하는 인천 하천의 정언명령 박병상
9 서 문 해불양수와 산자분수, 인천의 하천이야기를 시작하며
장정구의 하천이야기 물은 낮은 데로 흐른다
21 관모산 물줄기 만나 하천을 이루다
소래산과 운연천 : 물고기와 보
26 도룡계곡만남은 1미터짜리 지방하천
만수천
30 과거와 현재의 인공물길
굴포천과 아라뱃길 그리고 잠관
34 부평, 김포 곡창지대 물대던 8백km 동·서부간선수로
금파통수제와 신곡양배수장
39 복원되는 하천과 복개되는 하천
심곡천과 목수천
43 이전하는 미군기지
복원해야 할 하천, 산곡천
48 두꺼비와 금개구리
다남천과 귤현천
53 계양과 부평 교육·역사의 중심
계산천
58 우리가 모르는 우리 동네
매천과 계양천
63 환경을 지키는 것이 나라를 지키는 일이다
청천천
67 '아직도' 도시개발과 하천복원
가정천과 심곡천
73 인주로 주간선으로 복개된 본류,
발원지 마저 유실된 승기천
78 시냇물이 시작되는 물길
인공 물길로 잘린 시천천
82 여전히 바다로 향한다
학익천
86 기러기 떼 장관을 이루고, 흰꼬리수리가 있는곳
검단천
91 수상도시를 꿈꾼 청라
공촌천
113 아파트 숲의 계곡이 되어 가다
평야를 적시던 나진포천
118 습지에서 농수로, 하천으로
인천 하천의 전형, 갈산천
108 공장지대에 갇힌 가좌천
석남유수지와 인천교유수지
113 고인돌을 벗삼아 흐르던 물길
가현산 기슭 대곡천
118 인천대공원, 소래습지 도는 물길
다양한 생태계 장수천
122 자동차와 라일락
세월천
126 최초의 운하, 그러나 배없는 뱃길
아라천 또는 경인아라뱃길
237 재두루미 겨울나고 아이들이 얼음놀이하는 곳
서부간선수로
135 농수로와 활주로
동부간선수로와 김포공항
140 굴포천이 품은 지류
대장들녘의 여월천
145 아랫물이 윗물 되는 곳
베르네천
150 가현산에서 김포와 인천 사이 외로이 흐르다
산업단지로 둘러싸일 대포천
155 인천의 가장 큰 하천, 굴포천
10개의 하천을 품다(굴포천1)
100 굴포천 상류, 만월산 계곡
굴포천의 옛과 지금(2) 묘지와 광산
165 부평 미래의 밑그림
굴포천(3) 생태축 연결의 중심 하천
171 포구와 갯골 그리고 갯벌습지보호지역
장수천(2) 보전해야할 소래갯골과 주변 습지
176 자연과 인공의 격투
송도북측수로와 습지보호지역
182 매립으로 남은 송도의 물길, 해안 친수공간 후보 0순위
송도 유수지와 아암도
187 해안선을 잇자, 수문과 갑문 위를 걷자
해양 친수공간과 아라뱃길
192 한반도 역사와 생태의 중심 물줄기, 한강
한강에서 인천경기만, 황해까지
196 뿌리이자 볕이며 바다인 강, 조강
강화와 김포의 한강이 만나는 바다
201 새우 반 비닐 반, 몸살 앓는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207 굴곡진 역사를 품고 흐르다
한강하구
212 한반도 역사의 중심지, 한강하구
화개산성과 오두산성
218 천험자의 거센 물살 역사를 낳다
염하와 다리
223 평화를 염원하는 한강하구, 그리고 섬.섬.섬
한강하구와 바다 그리고 은행나무
229 세 개의 국가하천, 두 개의 수로가 만나는 전호산
아라천과 굴포천, 한강
234 하수 처리해도 오염되는 한강과 굴포천
하천과 하수종말처리자
238 보를 열어야 한다, 물 흐르고 물고기가 오갈 수 있게
보와 문, 물길과 자연
242 역사문화·자연환경의 보고, 강화
14개의 하천이 흐른다
247 고려산, 국화저수지, 강화읍내까지
표 중심을 흐르는 동락천
252 강화에도 남산이 있다
동락천과 합류하여 염하로, 선행천
257 교동의 갈빗살 방조제가 말한다
청주뻘과 풀등 그리고 수제공
262 고려산 백련사 계곡에서 발원
강화 숭릉천
267 혈구산·덕정산 물줄기 모인 곳
강화 삼동암천
273 전등사 보호수 팥배나무 아래로 흐르다
정족산성과 온수천
278 선두포낚시터 거쳐 강화남단 갯벌까지
길정천, 저수지와 낚시터
283 마니산과 초피산 계곡, 세개의 물줄기가 모이다
덕교천
288봉천산 기슭에서 발원
양오리 농업용수로, 낚시터, 물새들 먹이터 다송천
293 봉천산에서 개풍 해창포 1.8km 앞까지
산이포와 덕하천
298 고인돌·첫교회·평화전망대 지나 돈대까지
역사로 흐르는 교산천
304 별립산 남쪽, 망월평야를 가르다
삼거천
309 고려산·혈구산의 정기를 머금고, 저수지와 평야를 잇다
내가천
315 농수로이자 물고기 잡던 물길
삼흥천
320 포도밭 지나 외포항까지
인산천
325 백운산 타고 철새 천국 송산유수지로 갯벌로
전소천 - 영종에도 하천 있다
331 백운산 용궁사 정기 받고 흐르다
흰발동게 갯벌로, 동강천
336 빗물관리, 하천관리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