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들어가며 1장 자숙 경찰과 신자유주의 재난과 함께 되풀이되는 정의의 폭주 총동원 체제를 위한 상호 감시 자기책임론과 신자유주의 개혁 동조 압력과 생존을 위한 압력 사이에서 강자에 대한 지향과 약자에 대한 배려 누가 약자인가 코로나 재앙의 경험을 기회로 2장 소셜 미디어의 논리와 신자유주의 정신 아르바이트 테러 소동을 둘러싼 플레이밍 비난하기 때문에 범죄가 된다 게시자, 고발자, 질책자 규범 형성의 의식 조우형에서 실연형으로 자기 연출 시장 반감을 통한 공감 저지르는 유형에서 해설하는 유형으로 도덕적 기업가의 시대 평가를 위한 경쟁, 감시하에서의 제재 3장 해시태그 운동의 명과 암 검찰청법 개정안 항의 운동과 BLM(Black Lives Matter) 운동 인덱스에서 프레임으로 콜렉티브에서 커넥티브로 비익명성에 따르는 책임성 발언력의 불균형과 정보 캐스케이드 깨어 있는 자로서의 자기 연출과 집단 극화 사회 운동인가 군중 행동인가 4장 차별과 반차별과 반 · 반차별 나이키 광고를 둘러싼 플레이밍 반차별 마케팅의 수법과 의도 우파의 공격과 좌파의 비판 차별의 상 반차별의 상 반·반차별의 상 전술로 사용되는 혐오 발언 전술로 사용되는 가짜 뉴스 소박한 차별주의와 과격한 반·반차별주의 포스트모던 현상으로서의 반·반차별주의 자유주의 이념과 상업주의의 편리 5장 악성 게시물과 공감시장주의 왜 노력하는 자가 두들겨 맞는가 인터넷 악성 비방의 간단한 역사 투과성과 익명성의 불균형 무례한 팬이 ‘최애’를 공격한다 공감과 반감의 모순 공감지상주의 풍조 공감 개념의 전후 민주주의적 전환 공감 개념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6장 캔슬 컬처의 논리와 모순 올림픽 직전의 사임·해임 운동 미투 운동과 오바마의 집념 BLM 운동과 하퍼스 레터 자유주의 규범, 불관용성, 과거 행위의 문제화 최초의 수단인가, 최후의 수단인가 다양성과 다의성, 사회 변혁과 인간 변화 축제와 피의 축제 취소된 사람들에게로 저자 후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