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머리말
-박근혜 인문정치론의 총체적 의의
제1부 인문정치와 새 만남
1 '인문'과 '정치'의 합성어, '인문정치'
1) 고대 동양의 '인문'세계와 박근혜
2) 고대 서양의 '인문'세계와 현대 인문학
3)『노자』인문학의 의미체계
⑴ 노자와 그 철학
⑵ 노자, 장자의 인문학
4) 도가의 정치이해와 그 평등관
⑴ 도가정치의 이해
⑵ 규범과 자율
2 인문정치론의 형성과 전개
1) 인문정치론의 형성
2) 인문정치론의 전개
⑴『노자』, 박근혜의 '인문열정'
⑵ 인문정치의 공리론
① 인문정치의 개인적 성취론
② 인문정치의 소극적 공리론
③ '인문열정'과 '심리소통'
3) '한류'정치론
⑴ '한류'의 인문학적 의미
⑵ 박근혜 '국정원리'
3 노자의 통치관념
1) '가치중립'관
2) 무위정치관
3) '사소(事小)'·'삼보'·'계약' 정치
4) 소위 '음모론'
제2부 박근혜 인문정치론
4 박근혜 통치철학의 인문학적 배경
1) 박근혜 통치철학의 대의
2) 박근혜 '바른'정치론
3) "박근혜 현상"으로 본 통치철학
4) 박근혜의 '진정성 정치'
5 박근혜의 감성적 대중정치론
1) 감성정치론의 의의
2) 노자 감성정치의 의미
3) 박근혜의 감성정치
4) 감성적 통치철학의 4특성
⑴ 내용의 간결
⑵ 사고의 경건
⑶ 표현의 진솔
⑷ 실천의 용이
6 박근혜의 생활정치론
1) 인문정치의 생활화
⑴ 생활정치론의 역사
⑵ 박근혜 생활정치론
2) 박근혜 생활교육관
? 박근혜의 지식학습관
1) 노자의 '무지'관
2) 박근혜 지식학습관
⑴ '참된 지'
⑵ '참된 나'
⑶ 자기성찰론
① 박근혜 '마음'
② 노자의 '명(明)'
③ 노자 "무지무욕"과 박근혜 '질박'정치
4) 지식학습사회와 평생학습
7 박근혜의 통일·통합론
1) 사회통합과 정치권력
2) 3단계 평화통일론
3) '대립적 통일'론
4) 복합적 상대주의론
5) 통일문화론
6) 민족주의와 민족공동체 논의
7) '통일문화공동체'론
8 박근혜의 인문정치와 대선공약
1) 정치는 '전략'이 아니다
2) 철학이 있는 박근혜 정치
3) 정치인물론
4) 복지론
⑴ 인문복지론
⑵ 복지국가론
맺음말
-박근혜의 삶과 정치에 깃들어있는 '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책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