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호랑이의 집은 어디일까?

한라경さん他1人 · キッズ
44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する
2.8
平均評価
(2人)
신나는 새싹 128권. 시베리아 호랑이 금강이와 금송이는 2011년에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작은 동물원 우리에서 살게 된 두 호랑이는 새끼 미호를 낳았다. 창살 밖으로 낯선 사람들을 구경하고, 넓은 초원을 꿈꾸던 금강이와 금송이 그리고 미호. 하지만 금송이와 미호는 결국 수목원이 지어지기 전에 죽고 말았고, 금강이도 2년 뒤 수목원으로 옮겨졌지만 9일 만에 금송이와 미호의 곁으로 갔다. 백두산 호랑이의 국내 번식을 위해 우리에게 왔던 호랑이, 칼바람이 불어도 눈 한 번 깜빡이지 않고 당당하게 걷는 용맹하고 날쌔고 커다란 호랑이 이야기를 들려 준다.

著者/訳者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동물 친구들은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생명이 아니에요. 우리처럼 자유롭게 살기를 원해요! 여러분은 동물원에 가 본 적이 있나요? 세계 곳곳에서 온 다양한 동물 친구들이 한데 모여 살고 있어요. 동물 친구들의 애교와 재롱은 우리 모두를 즐겁게 해 준답니다. 하지만 모든 동물 친구들이 스스로 원해서 동물원에서 지내는 건 아니에요. 그 동물들은 좁은 동물원 우리가 낯설고 무섭기만 하대요. 예전에 같이 살던 가족과 친구들이 보고 싶고, 고향에서 볼 수 있던 아름다운 풍경이 그립다고 해요. 동물 친구들은 자연의 집으로 돌아가 자유롭게 살고 싶대요. 하지만 아무도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 주지 않는다고 해요. 여러분은 동물 친구들의 목소리가 들리나요? 늘 약자의 이야기를 쓰는 한라경 작가의 글과 문명예 작가의 색연필 그림이 만나다 2011년, 금강이와 금송이는 그 옛날 백두산을 당당하게 누비던 토종 호랑이를 되살리려고 머나먼 북녘땅의 드넓은 벌판과 숲에서 살다가 우리나라에 오게 되었어요. 사람들은 고향에 돌아온 걸 환영한다며 금강이와 금송이를 축하해 줬지만, 수목원 공사가 늦어져 두 호랑이는 작은 동물원 우리에 살게 되었어요. 어린 새끼 미호 역시 그곳에서 낳고 길렀지요.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의 입김에 길든 호랑이는 뛰놀거나 포효하는 대신 우리 밖 사람들을 구경하며 하루를 보냈어요. 슬퍼하는 호랑이의 눈동자와 털 결 하나까지 모두 색연필로 담아낸 그림은 보는 이가 책장을 쓰다듬게 합니다. 작은 위로라도 호랑이에게 건네고 싶어서지요.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사는 세상을 향한 두 작가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됩니다. ‘너의 집은 어떤 곳이야?“ 누구나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집’이 필요해요 동물 친구들이 말을 할 수 없다고 해서 우리의 생각과 기준으로 그들의 행복을 결정지을 수는 없어요. 우리에게 가족과 함께 편하고 따뜻하게 사는 집이 필요하듯, 동물들도 똑같아요. 금강이와 미송이 뿐만 아니라 동물원에서 사는 여러 동물, 우리 동네 펫샵에서 사는 작은 동물, 어딘가의 사육장에서 누군가를 위해 길러지는 다른 동물도 모두 마찬가지예요. 그 동물들은 지금 그들의 집을 찾고 있지 않을까요? 우리가 동물 친구들을 이해하는 반듯한 마음씨를 간직한다면 언젠가는 동물들을 도울 기회가 찾아올 거예요. 그들의 진정한 집을 찾아 줄 수 있는 사람은 다름 아닌 여러분들이랍니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