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1권 책을 내며 - 역사는 사랑이다 머리말 - 순간 포착의 스케치, 역사를 말하다 1. 한반도의 첫 사람들 과거를 향한 지적 호기심 | 우리의 직접 조상을 찾아서 | 집도 짓고 마을을 이루니 | 구석기는 힘이 세다 | 그들도 우리처럼 2. 신석기인들, 바라를 건너다 '자 떠나자, 고래 잡으러' | 낚싯바늘과 작살을 발명하다 | 어떻게 배를 만들었을까? | 통나무배로 대한해협을 건너 | 시원한 조개탕을 끓일 수 있는 진보 3. 난공불락의 요새, 송국리는 말한다 삼엄한 경비, 팽팽한 긴장감 | 농경의 발달이 세상을 바꾸다 | 고인돌은 말한다 | 네모 집터 사람들의 비극 4. 첫 나라 고조선, 수도는 어디였나 신화와 역사 사이 | 고인돌에서 고조선을 찾다 | 첫 도읍지, 험독은 어디인가? | 중원의 풍운과 새로운 도약 | 평양 시대를 열다 5. 고대의 아이언 로드, 삼한으로 통하다 철기 시대, 눈을 뜨다 | 화폐처럼 쓰인 덩이쇠 | 2000년 전 국제 무역의 중심 | 낙동강은 동북아의 제철 공장 | 커다란 변화의 쇳바람 불다 6. 신라 건국의 수수께끼, 나정은 알고 있다 역사는 우물에서 시작된다 | 팔각건물에서 시조에게 제를 올리다 |나정에 살던 사람들은 | 박혁거세는 말을 타고 왔다 | 6촌 그리고 사로국의 성장 7. 위성으로 본 국내성, 그곳에 고구려가 있다 새의 눈으로 내려다보다 | 건국의 비밀을 간직한 돌무지무덤 | 동북공정의 최대 표적, 고구려 | 두 개의 도성 | 떠오르는 새로운 강자 | 믿기 어려운 장군총의 위용 8. 고구려 고분벽화, 세계를 그리다 벽화 속에 어제가 있다 | 코 큰 이방인들의 정체 | 저글링과 서커스의 현란한 묘기 | 춤추는 고구려인들 | 활동적인 멋의 주인공들 | 열린 고구려, 글로벌 고구려 9. 고구려, 천하의 중심을 선포하다 "대왕께서 생전에 친히 말씀하시기를" | 광활한 영토는 몽골까지 | 삼천리 방방곡곡에 대왕의 힘 미치다 | 세계 최강의 정예 부대 | 서해를 호령한 고구려 수군 | 위대한 왕의 위대한 꿈 10. 잃어버린 백제의 왕성, 풍납토성 1500년의 베일을 벗은 위례성 | 백제 말머리뼈, 오사카에도 있다 | 목조우물은 백제의 타임캡슐 | 동북아의 허브 항구로 바닷길이 통하다 | 하이테크 성곽 풍납토성은 말한다 11. 금동신발 속의 백제인, 그는 누구인가 최초 발굴! 금동신발 속의 뼈 | 왕인가 아닌가? | 보이지 않는 세력가 | 살포를 하사하심은 경제권을 주심이라 | 웅진의 백가, 왕을 베다 2권 머리말 - 역사, 교류하고 경쟁하는 열린 공간 1. 고대 한일 관계의 열쇠, 칠지도 일본의 국보가 된 백제의 칼 | 근초고왕이 칠지도를 왜왕에게 보낸 까닭은 | 앞선 기술이 명품을 만든다 | 절대 우위의 국가 경쟁력 | 동북아 네트워크, 자신감의 원동력 2. 장수왕의 승부수, 고구려 남진 프로젝트 고구려 말 800필 황해를 건너다 | 남으로 눈길을돌린 장수왕 | 수도도 경제도, 남으로 남으로 | 해상 진출의 전초 기지, 보루를 세우다 | 한강을 지배하는 자 한반도를 얻으리라 3. 한일 역사 전쟁, 영산강 장고형 무덤 무덤은 시대를 증언한다 | 고대 일본 문화가 한반도에 전해졌다는 오해 | 일본 칼과 백제 금동관의 주인은 누구? | 사통팔달의 바닷길, 영산강 | 일본 왕의 무덤은 영산간에서 왔다 4. 가야에 여전사가 있었다 가야의 비밀, 여전사의 발견 | 김해의 아마조네스, 역사에 나타나다 | 무기는 더 강력하게, 전쟁은 더 격렬하게 | 철의 왕국, 군사가 부족하다 | 그들은 부활을 꿈꾼다 5. 대가야, 백두대간을 넘다 백제 땅에 진출한 가야 | 성장과 팽창 그리고 서진 | 죽막동 가는 길을 잃다 | 새로운 활로, 섬진강 루트 | 조금 먼저 퇴장한 왕국 6. 이차돈 순교사건의 진실 기적은 없었다 | "왕이시여! 제 목을 치시옵소서!" | 귀족들의 나라에서 왕의 나라로 | 왕은 곧 부처 개혁을 향한 발돋움 7. 진흥왕의 선택, 천년을 삼키다 추사, 진흥왕순수비를 만나다 | 한반도 중심에 우뚝 세운 신라의 긍지 | "나는 두 얼굴의 군주도 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