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의외성에서 가능성을 발견한다 미의식이 만드는 미래 지금 일본은 역사적 전환점에 서 있다. 하라 켄야는 이 중대한 시점에 장차 이 나라의 가능성과 긍지를 지켜나가기 위한 효과적인 길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잠재된 가능성과 미래의 행로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 혹은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비전을 명쾌하게 그려내는 것.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미래를 선명하게 그려가는 디자인의 본질이 아닐까. [편집자 노트] 욕망의 에듀케이션 이 책은 이와나미쇼텐 출판사에서 발행하는 잡지 《도쇼(圖書)》에 2009년 9월부터 2년 동안 연재한 「욕망의 에듀케이션」을 한데 묶은 것이다. 일본어판에서는 처음 이 책의 제목으로 ‘디자인 입국’이라는 제목안을 내놓기도 했다. 연재 제목이었던 ‘욕망의 에듀케이션’이라는 에두른 표현보다 ‘디자인 입국’이 단연 명쾌했으나, 대나무를 쪼개놓은 것처럼 담백한 이 제목에 하라 켄야는 멈칫했다. ‘입국’이라는 씩씩한 어감에 조금 주눅이 들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일본어판에서는 ‘일본의 디자인’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고, 이 책이 오랜 전통문화를 논한 책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성분표시와 같다는 의미에서 ‘미의식이 만드는 미래’라는 부제가 붙었다. 내일을 위한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 하라 켄야는 이 책에 ‘일본이라는 나라의 비전’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이야기 너머에는 디자이너라 불리는 이들이 앞으로의 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극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다. 그래서 이 책의 한국어판은 현 사회가 맞이한 향방과, 이 사회의 모든 것들이 디자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디자인을 통해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아 ‘내일의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채택했다. 하라 켄야는 말한다.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꾀하는 것이 디자인이고, 그 모습을 떠올리고 구상하는 것이 디자인의 역할이다.” 이 책은 디자인의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 대한 이야기다. 현재에 안이한 작업에 머무르지 않고 디자인으로 미래를 가상하고 구상하는 작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보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