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정이현 & 알랭 드 보통 공동기획 장편소설 “한국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 그 독보적 선두”라는 수식으로 요약되는 사랑스럽고 매혹적인 작가 정이현. 위트와 지적 성찰이 결합된 우아하고 예민한 글쓰기로 현대를 살아가는 도시인의 일상과 감성을 정밀하게 포착해내는 작가 알랭 드 보통. 이들 두 작가는 ‘사랑, 결혼, 가족’이라는 공통의 주제 아래, 각각 젊은 연인들의 싱그러운 사랑과 긴 시간을 함께한 부부의 애틋한 사랑을 그린 장편소설을 집필하기로 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2년 4월까지 꼬박 2년 동안, 작가들은 함께 고민하고, 메일을 주고받고, 상대 작가의 원고를 읽고, 서울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원고를 수정하여 마침내 두 권의 장편소설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출간과 동시에 큰 관심과 사랑을 받아온 『사랑의 기초』, 2013년 가을, 새 옷 새 느낌으로 문학동네에서 다시 선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우리가 결혼해서 잘사는 법을 굳이 배우지 않아도 터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알랭 드 보통 17년 만의 신작 소설 『사랑의 기초_한 남자』는 알랭 드 보통이 『키스&텔』(1995) 이후 17년 만에 쓴 소설로, 서로를 열렬히 사랑하여 결혼에 성공한 부부인 벤과 엘로이즈를 중심으로 그들의 가정생활, 자녀양육, 사랑과 섹스 등에 관한 고민을 그린 작품이다. 저자는 지금껏 우리가 섣불리 입 밖에 꺼내놓지 못했던 결혼의 일상성과 그 그늘을 밀도 깊게 탐구하고, 행복한 부부로 사는 법은 우리 자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것, 그리고 사랑하는 연습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에서 출발한다고 말한다. “이 소설은 ‘오래된 관계’에 관한 이야기다. 최초의 행복감이 자취를 감춘 뒤에, 내가 그토록 매혹되었던 낭만적 사랑의 시기가 지나고 나면, 사랑에는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질까. 낡은 사랑의 초상이 독자들에겐 암울하게 비쳐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작가인 나는 이것이 진지하고 성숙한, 조심스럽지만 보다 희망적인 답이 되길 바랄 뿐이다.” -작가의 말 중에서 “그곳엔 사랑이 있었다. 하지만 긴 시간을 지나오면서 아무런 느낌이 없었던 때도 많았다.” 낭만적 사랑의 시기가 지나고 나면, 사랑에는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질까 『사랑의 기초_한 남자』는 알랭 드 보통이 기혼남성으로서 경험하고 느끼고 고민했던 사랑과 결혼에 관한 문제들을 솔직하고 진지하게 털어놓은 작품이다. 실은 너무나 솔직해서 전복적으로 보일 정도다. 우리가 지금껏 마음속에 은밀히 숨기려 애썼던 고민을 모두 끄집어내어 이성이라는 냉정하고 차가운 조명 아래 진열해놓은 듯한 그의 문장들은 위험하기까지 하다. 그의 예리한 시선이 닿는 순간 핑크빛 포장지로 감싸였던 낭만적 판타지는 찢겨나가고, 매일의 일상 속에 흘려보내고 망각하려 애썼던 우리 자신의 ‘진심’과 마주친 순간, 그 서늘함에 소스라치게 된다. 알랭 드 보통에 의하면 ‘낭만적 사랑 이후, 결혼으로 완성되는 남녀관계’라는 개념은 상당 부분 허구일지 모른다. 결혼은 그 기원에서부터 하나의 제도였고, 사회를 유지하고 인간 종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었다. 하지만 현대인은 더이상 단지 ‘제도’에 불과한 결혼이라는 아이디어를 침착하게 받아들일 수가 없다. 우리는 ‘사랑’을 필요로 하고, 제도로서의 결혼 속에서도 사랑을 느끼지 않으면 살 수 없게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뿐이다. 사랑하는 방법을 연습하기. “어떻게 사랑하고 사랑받을지 아는 사람이 된다는 건 타고나는 것이지 노력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믿었다. 하프시코드나 고대 그리스어를 연습하듯이 사랑도 연습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그가 속한 문화는 현실에 있는 나와 매우 맞지 않는 인간을 사랑하는 방법을 알아내기보단, ‘알맞은’ 사람을 찾아내는 것을 관계 맺기의 결정적 관건으로 파악했다.” (「사랑하는 법 배우기」155~156쪽) 그러나 거듭 연습하고 배우지 않으면 사랑 또한 제대로 할 수 없다고 알랭 드 보통은 주장한다. 작지만 매우 단단한 이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알랭 드 보통은 메시지를 요약하면 이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하루하루를 무탈하게 살아내는 일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그리고 그 평범한 일을 어쨌든 끝까지 해내고 있는 우리들은 저마다 자기 삶의 영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