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

가스파르 코에닉 · 小説
23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4(34人)
0.5
3.5
5
評価する
3.4
平均評価
(34人)
프랑스의 젊은 지성, 가스파르 코에닉이 그려낸 이 시대의 서늘한 초상. 머리에 심은 마이크로 칩으로 비행기 티켓을 사고 갖고 싶은 물건을 떠올리기만 해도 쇼핑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초효율 시스템이 구축된 사후 세계에서 한 남자가 벌이는 사투를 그린 《지옥》이 시프에서 출간되었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성실하고 평범하게 살아온 한 남자가 평범한 병을 앓다가 늦지도 이르지도 않은 나이에 죽었다. 무빙워크를 타고 어딘지 모를 곳으로 이동하던 그의 앞에 드디어 게이트의 문이 열렸다. 공항이었다! 5분마다 비행기가 이륙하는 널찍하고 세련된 최첨단 공항. 면세점과 상점이 즐비하고 사람들은 새로 사들인 물건을 캐리어에 잔뜩 싣고 바쁘게 움직인다. 무언가를 살 수 있는 자유는 거대하고, 세계 어느 도시든 마음대로 갈 수 있으며, 한도 없는 신용카드 그리고 지친 몸을 달래줄 디저트와 오락, 특별한 마사지까지 무한 제공된다. 고통스럽고 치명적인 병마와 싸우며 온갖 괴로움을 겪었으니 천국에서 그 보상으로 휴가를 얻는 것은 지극히 합당한 결과라고 남자는 생각했다. 그러나 카사네 공항에 도착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남자는 결코 공항 밖을 나갈 수 없다는 현실을 깨닫는다. 쉼 없이 이륙하는 비행기를 타고 세계 어디든 날아갈 수 있지만 미로같이 연결된 거대한 공항에서 단 한 발짝도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인 것이다. 남자는 자기가 도착한 곳이 천국이 아니라 지옥이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지옥은 이글거리는 불구덩이가 아니라 등받이가 조절되는 안락한 의자가 즐비한 공항 대기실이었다. 이 거대한 공항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 남자는 출구를 찾을 수 있을까?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4(34人)
0.5
3.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5

目次

1장 _ 7 2장 _ 16 3장 _ 25 4장 _ 70 5장 _ 93 6장 _ 137 7장 _ 162 8장 _ 184 9장 _ 227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공쿠르상 최종 후보 노미네이트 ★★★2016 제릴리 마리모 문학상 수상 ★★★ 프랑스 유력 일간지 《르피가로》《르프엥》추천 “죽음에 관한 온갖 진부한 통념은 모두 산 자들이 퍼트린 것이었다.” 프랑스의 젊은 지성, 가스파르 코에닉이 그려낸 이 시대의 서늘한 초상 머리에 심은 마이크로 칩으로 비행기 티켓을 사고 갖고 싶은 물건을 떠올리기만 해도 쇼핑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초효율 시스템이 구축된 사후 세계에서 한 남자가 벌이는 사투를 그린 《지옥》이 시프에서 출간되었다. 저자 가스파르 코에닉은 교수, 과학자, 고위공무원을 양성하는 엘리트 대학원인 리옹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2004년 스물두 살의 나이로 철학 교수 자격증을 취득했다. 같은 해 출간한 첫 소설 《옥타브는 스무 살이었다(Octave avait vingt ans)》로 공쿠르상 최종 후보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2016년 자발적 복종에 문제의식을 제기한 또 다른 소설로 정신과학·정치학 아카데미에서 수여하는 제릴리 마리모 문학상을 수상했다. 소설과 에세이, 비평 등 장르를 넘나들며 십여 편의 작품을 써온 그는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학자로 활동하며 프랑스 내 유력 일간지에 고정 칼럼을 쓰고 있다. 《지옥》은 늘 새로운 물음을 던지며 현실의 부조리를 섬세하고 집요하게 포착해온 작가의 세계관이 응축된 짧은 소설이다. “드디어 사후 세계가 어떤 곳인지 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는 확실하다. 천국과 지옥, 그리고 그에 관한 온갖 미스터리를 묘사했던 작가들은 우리를 완전히 기만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저승은 생각보다 훨씬 더 익숙하고 훨씬 더 불가해한 곳이었다.” 소설 속 한 구절 처럼, 가스파르 코에닉은 죽음과 조우한 한 노교수의 여정을 따라 기묘하고 독창적인 세계를 펼쳐내 보인다. 죽음에 관한 진부한 통념들을 매 장면마다 깨버리는 이 책을 통해 가스파르 코에닉이 시도하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 우리가 발 디딘 이 세계의 반사판이다. “지옥은 유황불과 쇠꼬챙이가 아니라 즐비한 상점, 안락한 의자가 있는 공항 대기실이었다.” 기발한 상상력과 블랙코미디, 통찰이 벼려진 지극히 현실적인 디스토피아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성실하고 평범하게 살아온 한 남자가 평범한 병을 앓다가 늦지도 이르지도 않은 나이에 죽었다. 무빙워크를 타고 어딘지 모를 곳으로 이동하던 그의 앞에 드디어 게이트의 문이 열렸다. 공항이었다! 5분마다 비행기가 이륙하는 널찍하고 세련된 초현대식 공항. 면세점과 상점이 즐비하고 사람들은 새로 사들인 물건을 캐리어에 잔뜩 싣고 바쁘게 움직인다. 무언가를 살 수 있는 자유는 거대하고, 세계 어느 도시든 마음대로 갈 수 있으며, 한도 없는 신용카드에 지친 몸을 달래줄 디저트와 오락, 특별한 마사지까지 제공된다. 「이승에서는 부자가 아니셨죠? 돈 쓰는 게 얼마나 재밌는지 곧 알게 되실 거예요. 여기서는 모두 평등하니까요. 부의 평등이라니, 정말 기발하죠!(본문 30쪽)」 고통스럽고 치명적인 병마와 싸우며 온갖 괴로움을 겪었으니 천국에서 그 보상으로 휴가를 얻는 것은 지극히 합당한 결과라고 남자는 생각했다. 남자는 고급 맞춤 양복을 구입해 입고 천국에서의 첫 번째 여행지를 선택한다. 보츠와나의 카사네. 그러나 카사네 공항에 도착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남자는 결코 공항 밖을 나갈 수 없다는 현실을 깨닫는다. 쉼 없이 이륙하는 비행기를 타고 세계 어디든 날아갈 수 있지만 미로같이 연결된 거대한 공항에서 단 한 발짝도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인 것이다. 「저희는 어떤 출구도 완전히 쓸모없게 만들었어요. 선생님은 아무런 부족함도 느끼지 못하실 거예요. 몇백 년, 아니 몇천 년 후면 곧 알게 되실 거예요. 형편없고 예측할 수 없는 바깥에서 뭘 찾으시려고요? 이 초현대식 공항에서 영원히, 완벽한 안전을 보장받으며 모든 것을 할 수 있잖아요. 가상현실로 보츠와나 코끼리들 틈에 들어가볼 수도 있고요.(본문 68쪽)」 남자는 자기가 도착한 곳이 천국이 아니라 지옥이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지옥은 이글거리는 불구덩이가 아니라 등받이가 조절되는 안락한 의자가 즐비한 공항 대기실이었다. 이 공항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 붉은 옷을 입은 관리인들은 누굴까? 남자는 출구를 찾을 수 있을까? “우리는 미래를 깡그리 빼앗겼으면서도 쉼 없이 미래를 대비해야 했다.” 그토록 꿈꿔온 이상향의 민낯은 지옥 그 자체였다 《지옥》은 실험적이면서 동시에 고도로 문학적이다. 각 장의 도입부에는 단테의 신곡에서 따온 구절들이 실려 있다. 소설로 구축된 탄탄한 사후 세계는 환상적이면서도 섬ㅤㅉㅣㅅ하고 곳곳에 예상 못한 반전과 유머가 깃들어 있으며, 이에 더해 물질주의, 실용주의, 소비사회, 신자유주의에 대한 심오한 철학적 질문이 숨어 있다. 그래서 환상문학처럼 흥미진진하게 시작된 책은 루이 16세, 밀턴 프리드먼, 아들 테오, 구척장신 관리인, 코드명 ‘BEATRX666’의 구식화장실 관리자, 노파 등 여러 인물을 만나 전개되면서 어느 순간 철학 우화로 장르를 탈바꿈한다. 무엇보다 《지옥》 속 세계는 표면적으로는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지만 철저히 계급 지향적이고, 극도의 효율을 추구하지만 완벽하게 비효율적인 곳이다. 시스템에 순응하지 않을 때마다 하향 조정되는 등급과 각 등급에 맞는 권리가 뚜렷이 구별되는 세상, 다음 날 쓸 것을 마련하느라 오늘 하루를 쇼핑하는 데 다 써버려야 하는 삶…… 거대한 공항으로 구현된 지옥에서 사람들은 미래를 깡그리 빼앗겼으면서도 쉼 없이 미래를 대비한다. 「이곳에서 우리는 꿈을 꿀 수 없다. 우리는 자신의 상념이라는 감옥에서 영원히 나올 수 없는 종신형을 받은 죄인들이었다.(본문 81쪽)」 더욱이 이곳에 구축된 시스템은 지난날, 그러니까 살아생전 남자가 숱한 논문으로 주장해온 것이었다. 남자는 의도적으로 단명하게끔 제작된 제품의 장점을 내세우며 한시적으로 소비되는 상품을 통해 더 치열한 소비 경쟁을 유발해야 한다고 썼다. 어떤 오류도 일어나지 않는 촘촘한 시스템 사회를 이론화하려 했고, 이런 냉정한 공리주의를 학생들에게, 연구 논문에, 결국에는 다른 이들의 삶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사람들의 의식 속에 전파했다. 지옥은 곧 남자 자신이 그토록 꿈꿔온 현실이 그대로 이루어진 복사판이자 이상향 그 자체였다. 그리하여 공항 구석의 망자들이 찾지 않는 구식화장실에서 나이 지긋한 관리자가 “왜 영원히 살고 싶지도 않은 세상을 만들려고 했나요?”라고 물었을 때, 남자는 외면하려고 애썼던 끔찍한 결론과 대면한다. 「극에 달한 효율성의 원칙은 모든 것을 완벽하게 기능적이고 완전하게 쓸모없는 거대한 공항으로 만들어버렸다. 죽음을 맞이한 이후, 내가 꿈꿔온 세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죽음을 맞고서야 나는 나의 위선을 마주했고 내 스스로가 만들어놓은 독배의 찌꺼기까지 모조리 다 들이켤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고 말았다. 그것은 심지어 형벌이 아닌 그저 당연한 결말이었다.(본문 209쪽)」 《지옥》이 현실이 되게 놔두지 말라! 강요된 욕망을 넘어 삶의 본질을 회복해가는 첫걸음 가스파르 코에닉은 프랑스에서도 손꼽히는 반(反)권력적인 작가로, 오랜 시간 자유와 행복의 문제, 시스템과 과학기술, 물질주의의 문제에 천착했다. 《지옥》은 남자가 조금의 오류도 없어 보이는 공항의 시스템에서 작은 구멍을 발견해내고 탈출을 감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끝을 맺는다. 소설을 통해 ‘거울’ 앞으로 독자를 데려가며 작가 가스파르 코에닉은 묻는다. 우리에게 강요된 욕망을 거부하고 우리를 통제하는 온갖 시스템에 정당하게 맞설 수 있는가. 돈과 소비, 물질의 가치만이 세상의 룰이라는 전도된 가치관을 바로잡고 삶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가.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2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