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톰 로젠스틸さん他1人 · 社会科学
600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する
3.2
平均評価
(3人)
미국 언론계에서 100여 년에 걸쳐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저널리즘의 원칙 10개를 정리한 책이다. 미국뿐 아니라 세계 20여 개 국가에서 중요한 저널리즘 교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 혁명이 뉴스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혼란기가 계속되면서 이 책의 가치는 역설적으로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우리 기자와 시민이 공유하는 저널리즘의 가치들을 세계적 윤리 기준, 기사 품질 기준과 견줘 생각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개정 4판에서는 세계 각국 정치 지도자들의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 위협, 플랫폼 기업들의 부정적 역할 강화, 양극화와 의식의 극단화 추세 강화 등 저널리즘 환경과 관련해 특히 3개의 흐름을 강조한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著者/訳者

目次

옮긴이 서문 네 번째 개정판에 부쳐 서문 01 저널리즘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알고자 하는 본능 저널리즘의 탄생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대의 자유 언론 조직된 협력적 지성으로서의 저널리즘 기자의 민주주의 이론 공중연동의 이론 새로운 도전 02 진실: 첫 번째 그리고 가장 혼란스러운 원칙 저널리즘의 진실 진실에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실 검증 진실에 도전하는 새로운 저널리즘 규범들 오늘의 저널리즘적 진실 03 기자는 누구를 위해 일하는가? 독립에서 고립으로 거리 두기의 반작용 시민은 고객인가? 벽 독립을 위한 5개의 핵심요소 04 사실 확인의 저널리즘 객관성의 의미 상실 객관성 아니면 도덕적 명료성? 현실에서 사용되는 객관적 방법 주장 저널리즘 대 사실 확인 저널리즘 “나를 믿어 주세요” 시대가 아니다 “나에게 보여 주세요” 뉴스 시대다 객관적 방법을 사용한 저널리즘의 실제 사례 추가하지 마라 속이지 마라 투명하라 취재원을 오도하지 마라: 투명성의 다른 측면 오도하는 취재원들을 부지런히 드러내라 위장취재: 특별한 경우에 한해, 수용자에게는 설명돼야 자신만의 보도: 자기 스스로 하는 취재에 의지하라 겸허한 자세로 보도하라 디지털 시대의 사실 확인에 대한 도전 오보에 대응하기: 몇 가지 도구들 진실의 샌드위치 거짓 정보에 대한 제목 쓰기 편견 사실 확인의 기법들 서사적 기사: 갈등을 흥미롭게 전하기 모순을 더 자세히 드러내라 상대방의 동기를 물어라 더 많이 더 잘 들어라 이것은 듣기다. 인터뷰가 아니다 인터뷰 주제를 정직하게 접근하라 진실의 다원적 뿌리들 05 정파로부터의 독립 마음의 독립 독립의 진화 현실에서의 독립 독립의 재평가 투명성, 독립, 그리고 속이기 독립과 계급 혹은 경제적 지위 다원성과 저널리즘의 독립 독립의 의미 선입견을 가려내는 기법들 팀으로 일하라 이름 붙이기를 피하라 ?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06 권력을 감시하고 목소리 없는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제공하라 원래적 의미의 탐사보도 해석적 탐사보도 수사에 관한 보도 제한된 감시견 역할 감시견 역할의 약화 기소로서의 탐사보도 07 공공 포럼으로서의 저널리즘 최초의 소셜미디어 지역에서 공공포럼을 다시 요구하고 다시 만들기 08 기사 흡인력과 독자 관련성 인포테인먼트와 선정주의 유혹 몇 가지 혁신적인 접근 방식 인터넷의 힘을 펼쳐 보여라 진실에 봉사하는 서사적 이야기 09 뉴스를 포괄적이면서도 비중에 맞게 만들어라 표적 인구집단의 오류 은유의 한계 과장하라는 압력 방문자 통계 분석 저널리즘을 위한 새로운 시장조사법 새로운 뉴스 소비자 10 저널리즘을 실천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양심을 따라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 양심을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정직의 문화 진정한 목표는 ‘지적 다양성’이다 개인의 양심에 대한 압력 양심과 다양성이 잘 자라는 편집국 만들기 시민의 역할 11 시민의 권리와 책임 집단 지성으로서 뉴스의 미래 시민의 권리장전과 책임 감사의 글 미주 찾아보기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100년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저널리즘 10대 기본 원칙 20년 만에 개정 4판 발간 … 세계 20개국 저널리즘 필수 교재, 기자와 시민의 필독서 “저널리즘의 첫 번째 의무는 진실에 대한 것이다.” “저널리즘이 가장 충성을 바쳐야 할 대상은 시민들이다.” “저널리즘의 본질은 사실 확인의 규율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저널리즘의 10대 기본 원칙 가운데 앞의 세 개 내용이다. 나머지 일곱 개의 내용도 이들과 동등한 비중을 갖는 중요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언론의 자유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게 보장되고 있는 미국 언론계에서 지난 100여 년에 걸쳐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저널리즘의 원칙을 10개로 집약해 정리했기 때문이다. 2001년 초판을 출간한 이후 20년 만에 4판을 출간했다. 새 판본이 나올 때마다 책은 매번 많은 내용이 바뀌었다. 급속하게 진화하는 디지털 생태계가 뉴스의 생산과 배포 체제를 혁명적으로 흔들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칙들의 큰 골격은 바뀐 적이 없다. 저널리즘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진실 추구는 왜 저널리즘의 첫 번째 원칙인지, 저널리즘은 왜 권력이 아니라 시민에게 충성해야 하는지 등은 아무리 기술적 변화가 극심해도 저널리즘의 생태계를 지탱하는 든든한 기둥으로 이 책의 중심 내용을 이뤄왔다. 이 책의 역자인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이재경 교수는 이번 4판의 특징으로 저널리즘 환경과 관련해 저자들이 특히 3개의 흐름을 강조한다고 말한다. 첫째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독재적 정치 지도자들이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를 겁박하는 현실이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 필리핀의 두테르테, 러시아의 푸틴, 중국의 시진핑, 브라질의 볼소나로 등 정치 지도자들은 독단적 권력을 휘두르며 취재를 방해하고, 언론사와 기자를 협박하거나 가짜뉴스 생산자로 몰아붙인다. 이들은 광범위하게 보급된 SNS를 활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 권력의 이익을 위해 저널리즘을 압박해 왔다는 것이 저자들의 판단이다. 저자들이 강조하는 두 번째 흐름은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들의 부정적 역할이 강화되는 추세다. 저자들은 특히 플랫폼 기업들이 디지털 생태계의 정보유통 네트워크를 장악한 상태에서 이익 극대화를 위해 사람들을 끊임없이 소집단으로 쪼개는 행태를 걱정한다. 이는 각 개인의 특성과 집단의 성격에 맞춰서 광고를 팔기 위한 표적 마케팅 전략의 산물이고, 플랫폼 기업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엄청난 수익을 챙겨 왔다는 것이 그들의 판단이다. 문제는 이러한 플랫폼 기업의 영업 전략이 공동체를 분리하고, 공중들 간의 대화를 단절시켜 결국 민주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저자들이 주목하는 세 번째 흐름은 사회의 양극화, 의식의 극단화 추세가 계속 강화되는 현상이다. 이는 특히 미국 사회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진단이다. 부족화라고도 표현되는 이 현상은 인종과 성별, 진보와 보수, 부자와 가난한 사람, 늙은이와 젊은이 등으로 사회가 쪼개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또한 민주주의의 기본 전제인 깨어 있는 시민들의 모임인 공중의 형성을 구조적으로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동한다. 이재경 교수는 “우리 기자와 시민이 공유하는 저널리즘의 가치들을 세계적 윤리 기준, 기사 품질 기준과 견줘 생각할 기회를 주는 것이 이 책의 가장 중요한 가치”라면서 “특히 디지털 혁명이 뉴스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혼란기가 계속되며, 이 책의 가치는 역설적으로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이 책은 미국뿐 아니라 세계 20여 개 국가에서 중요한 저널리즘 교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