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책머리에 9 서문 19 1부. 광기 1장 정신장애운동과 인정에 대한 요구 37 1. 들어가며 37 | 2. 정신장애운동의 간략한 역사 42 | 3. 광기의 의미 61 | 4. 매드 프라이드 69 | 5. 매드 프라이드 담론에 대한 철학적 관여 88 | 6. 나가며: 다음으로 다룰 문제들 91 2장 정신적 고난과 장애의 문제 93 1. 들어가며 93 | 2. 장애 97 | 3. 정신적 고난 128 | 4. 나가며 132 2부. 인정 3장 인정의 개념과 자유의 문제 137 1. 들어가며 137 | 2. 자유로운 행위주체란 무엇인가?: 도덕적 의무 vs 인륜성 142 | 3. 《정신현상학》에서 나타나는 인정의 개념적 구조 148 | 4. 인정은 어떤 종류의 개념인가? 166 | 5. 인정 개념을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76 | 6. 나가며 187 4장 정체성, 그리고 인정의 심리적 결과 190 1. 들어가며 190 | 2. 정체성 193 | 3. 인정투쟁 217 | 4. 인정의 심리적 영향 227 | 5. 나가며 241 5장 무시: 정치적 개혁 혹은 화해? 243 1. 들어가며 243 | 2. 사회적 해악으로서의 무시 245 | 3. 무시와 정치적 개혁 249 | 4. 무시와 화해 264 | 5. 무시에 대한 대응: 정치적 개혁과 화해의 역할 274 | 6. 나가며 278 3부. 인정으로 가는 경로 6장 매드문화 283 1. 들어가며 283 | 2. 문화란 무엇인가? 285 | 3. 광기가 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까? 288 | 4. 문화적 권리로 가는 경로 295 | 5. 나가며 307 7장 매드 정체성 Ⅰ: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체성과 실패한 정체성 308 1. 들어가며 308 | 2.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체성과 실패한 정체성의 구별 314 | 3. 망상적 정체성 323 | 4.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체성과 실패한 정체성을 구분하는 방법론 357 | 5. 나가며 363 8장 매드 정체성 Ⅱ: 자아의 통합성과 연속성 365 1. 들어가며 365 | 2. 자아의 통합성과 분열 367 | 3. 자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387 | 4. 나가며 405 9장 광기와 인정 범위의 경계 407 1. 들어가며 407 | 2. 인정의 경계 408 | 3. 광기에 대한 서사들 417 | 4.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의 손상을 극복하기 429 | 5. 주관적 서사와 매드 서사의 차이 436 | 6. 나가며 440 4부. 매드운동에 접근하는 방식 10장 매드 정체성과 인정에 대한 요구 445 1. 들어가며 445 | 2. 인정에 대한 요구의 규범적 정당성 448 | 3. 매드 정체성 인정에 대한 요구는 규범적 효력을 갖는가? 451 | 4. 무시에 대응하기 471 | 5. 매드 서사와 문화적 레퍼토리 477 | 6. 나가며 483 11장 결론: 화해로 나아가는 길 485 1. 회의론자와 지지론자의 화해 485 | 2. 광기와 사회를 화해시키기 490 감사의 말 495 자료 출처에 대한 안내 499 주 500 참고문헌 538 옮긴이의 말 554 찾아보기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