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UX 업계의 현실지도 커리어 플랫폼 <잇다> UX 전문 명예멘토가 말하는 UX 커리어 로드맵 UX 분야를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UX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데 어떤 준비부터 해야 하나요? 면접에서 계속 탈락하는데, 제 포트폴리오에 어떤 문제가 있는 걸까요? UX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어떤 학과, 전공이 더 유리한가요? “UX 분야를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간단해 보이지만 쉽게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현직 UX 디자이너나 멘토에게 이 질문을 통해 본인이 필요한 답을 얻을 확률은 과연 얼마나 될까? 나는 거의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이 질문은 마치 지문 없이 출제된 언어영역 문제와 다름없기 때문이다. 맞출 수 없는 문제, 제대로 된 답변을 할 수 없는 질문인 것이다. 물론 준비생들의 입장에서 UX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무엇이 중요하고 필요한 것인지 알아내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관련 분야가 워낙 방대하기 때문이다. 또 그만큼 다양한 양상이 곳곳에 펼쳐지다 보니 일반화가 불가능하기도 하다. 결국 개별 사례나 부분적인 모습을 통해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추는 것처럼 조금씩 분야를 이해해 나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렇게 준비를 하다 보면 자칫 심각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내가 기대한 UX 분야와 막상 접하게 될 현업에서의 업무가 많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때로는 별 소득도 없고 비효율적인 준비를 해왔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후회할 수도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접근해 가다 보니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많은 준비생들이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을 분야가 아닌 본인에게서 찾는 모습을 수없이 봐왔다. 어쩔 수 없으면서도 안타까운 점이었다. 다행스러운 것은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길이 있는데 나만 몰라서 헤매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사실이다. 어떻게 해야 UXer가 되는지 정해진 방법도 따로 없고, 어쩌다 보니 UXer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 보니 실제로 현업에서는 매우 다양한 전공을 가진 UXer를 쉽게 만날 수 있다. 이렇듯 ‘어떻게’도 ‘어쩌다’도 모두 UXer가 될 수 있는 유효한 길이다. 이 책은 UX 분야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현업의 모습을 최대한 크고 넓게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수년간의 멘토링 활동과 다채로운 업계 경험은 책의 기틀을 잡는 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업계의 현황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되면 현재 나의 위치를 조금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UX 분야가 정말 내가 몸담고 싶은 분야가 맞는지부터 어떤 직무와 역할을 목표로 삼아야 할지 좀 더 구체적인 구상이 가능해질 것이다. 대기업 현직 UXer가 들려주는 UX 디자인 커리어 가이드 UX/UI 개념의 이해부터 상황별 맞춤형 현실 조언까지~ 가장 현실적인 UX 커리어 로드맵 이 책은 UX 분야로 진출을 원하거나 전향을 꿈꾸는 준비생들이 UX를 쉽게 이해하고 나아가 실제로 UX 디자이너가 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 3가지에 주안점을 두었다. 1) 방법론보다는 경험담 UX는 어려운 말로 다학제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이는 분야이다. 이는 특정 전공이나 전문가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시너지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깊이 있는 이론이나 방법론보다는 UX 분야에 관심 있는 대학생, 일반 직장인, 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경험담을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UX와 UX 디자인에 대한 좋은 정보는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정보와 함께 곁들여 보기에 적절한 참고서이자 실용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상황별 맞춤형 현실 조언 회사마다 UX 조직의 상황은 천차만별이다 보니 각자의 목표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전략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일반적인 준비 노하우나 절대적으로 우월한 스펙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상황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의 독자가 될 수 있는 대학생, 일반 직장인, 개발자 등은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고민도 다를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그들이 처한 상황에 맞춰 필요한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려고 각별히 신경 썼다. 멘토링을 통해 연결된 수많은 멘티들과 실제로 주고받았던 밀도 있는 질의응답을 참고해 독자가 원하는 이야기를 최대한 그들의 언어로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3) 다양한 업계의 현실 소개 맞춤형 조언과 더불어 다양한 경험을 녹여 업계의 여러 가지 양상을 입체감 있게 설명하고자 했다. 어쩌다 보니 스타트업에서 중소기업을 거쳐 대기업까지 경험해 봤고, 비즈니스에서는 소위 ‘갑’ ‘을’ ‘병’의 위치도 모두 겪어보았다. 업무적으로는 서비스 기획과 온라인 마케팅 그리고 UT와 FGI 같은 사용자 조사와 UI, UX 기획 등 양산과 선행을 두루 경험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다양한 도메인 지식도 습득했다. 대학원 UX 연구실에서 업계와 학계 간 커리어 균형의 중요성도 깨달을 수 있었다. 아무래도 가장 오래 몸담고 있었던 대기업 제조사의 UX 경험을 중심으로 업계의 현실을 비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