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들어가며 1부 발달을 자극하라 지금 태어나면 아이는 살 수 있나요? “앞으로 발달이 잘 이루어지는지 지켜봐야 해요.” 발달 자극을 위해 뭔가 더 해야 하는데…… 놀이인 듯 놀이 아닌 ‘꾸안꾸’ 놀이법 ‘흔들린 아이 증후군’ 방지를 위해 비싼 유아차가 필요하다고? 전지전능해지는 건 부모가 아니라 전문가 *인터뷰—서리의 이야기: “애들이 제 노력을 배반함으로써 제가 해방되었죠.” 2부 공감하는 엄마가 되어라 안녕하십니까, (나의 아이) 고객님! 절대 화내지 마라 “그랬구나”라는 마법의 언어 자연주의 육아라는 환상 치료에 매진해도, 치료를 게을리해도 죄책감이 드는 이유 *인터뷰—울림의 이야기: “염색에 이상을 어떻게 고쳐요?” 3부 자신의 어린 시절을 돌아보라 치료가 필요한 ‘주요 우울군’입니다 상담사의 질문 죄책감의 뿌리를 찾아서 자아의 근원에는 원가족과 내면아이가 있다? 육아문화가 치유문화와 결합할 때 *인터뷰—달리기의 이야기: “엄마 양육습관을 돌아보라는 거야. 그럼 아빠는요? 사회는요?” 4부 다 엄마 탓이다 내가 나를 못난 엄마로 만들고 있다고? 나는 알고 있다, 비난받는 느낌을 이래도 비난, 저래도 비난 엄마에게 죄책감 권하는 사회 자녀의 자존감이라는 또 다른 종교 *인터뷰—기빙트리의 이야기: “상담 이론, 코칭 이론, 이거 개빡세고 불가능하네?” 5부 그러다 몬스터가 될 것이다 언제는 마음 읽어주라더니 이제 와서 왜 이래? ‘진상 부모 체크리스트’가 드러내는 것들 오은영 가고 조선미, 하정훈 오나? 나쁜 부모의 계보학 나도 괴물이 되어가는 건 아닐까 나가며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