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백석
36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9(14人)
0.5
4
5
評価する
3.9
平均評価
(14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백석 시전집. 백석이 사용했던 평안도 사투리 및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낯선 우리의 고유어에 대한 주석 뿐만 아니라 한자로 표기된 제목에 대해서도 각주에 덧붙였다. 낯선 지명에 관한 경우에는 독자들이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설명해 주었다. '팔원'이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에 나오는 영변에 위치한 지역이라는 것도 표기해 독자들의 이해를 높였다. 한국전쟁 이후 북한에서 발표한 시들도 별도의 장을 구성했으며, 백석의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에 나오는 동화시 전편을 수록했다. 특히 백석이 처음으로 창작했던 동화시지만 <집게네 헤 형제> 출간 당시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까치와 물까치'는 단행본 시집에서는 처음 소개하는 것이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9(14人)
0.5
4
5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著者/訳者

目次

제1부 외롭고 높고 쓸쓸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14 바다 ………… 16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 18 수라(修羅) ………… 19 흰 바람벽이 있어 ………… 21 여승(女僧) ………… 24 남신의주(南新義州)유동(柳洞)박시봉방(朴時逢方) ………… 26 모닥불 ………… 29 여우난골 ………… 30 여우난골족(族) ………… 32 가즈랑집 ………… 35 외갓집 ………… 38 고야(古夜) ………… 39 넘언집 범 같은 노큰마니 ………… 42 통영(統營) 1 ………… 46 통영(統營) 2 ………… 47 내가 생각하는 것은 ………… 50 흰밤 ………… 52 ‘호박꽃 초롱’ 서시(序詩) ………… 53 북방(北方)에서 ………… 55 ‘나 취했노라’ ………… 58 이주하 이곳에 눕다 ………… 59 제2부 우리들은 가난해도 서럽지 않다 고향(故鄕) ………… 62 두보(杜甫)나 이백(李白)같이 ………… 64 절망(絶望) ………… 67 귀농(歸農) ………… 68 조당(?塘)에서 ………… 72 허준(許俊) ………… 75 창원도(昌原道) ………… 78 통영(統營) ………… 79 고성가도(固城街道) ………… 80 삼천포(三千浦) ………… 81 북관(北關) ………… 82 노루 ………… 83 고사(古寺) ………… 85 선우사(膳友辭) ………… 87 산곡(山谷) ………… 89 구장로(球場路) ………… 91 북신(北新) ………… 93 팔원(八院) ………… 94 월림(月林)장 ………… 96 제3부 산에 오면 산 소리 벌로 오면 벌 소리 적막강산 ………… 100 산(山) ………… 102 비 ………… 104 산지(山地) ………… 105 정주성(定州城) ………… 107 추일산조(秋日山朝) ………… 108 청시(靑?) ………… 109 산비 ………… 110 쓸쓸한 길 ………… 111 석류(?榴) ………… 112 머루밤 ………… 113 단풍(丹楓) ………… 114 추야일경(秋夜一景) ………… 115 석양(夕陽) ………… 116 안동(安東) ………… 118 함남도안(咸南道安) ………… 120 제4부 자작나무 삼호(三湖) ………… 124 물계리(物界里) ………… 125 대산동(大山洞) ………… 126 남향(南鄕) ………… 128 야우소회(夜雨小懷) ………… 129 꼴두기 ………… 130 머리카락 ………… 132 가무래기의 락(樂) ………… 134 멧새 소리 ………… 135 박각시 오는 저녁 ………… 136 가키사키(?崎)의 바다 ………… 137 산숙(山宿) ………… 138 향악(饗樂) ………… 139 야반(夜半) ………… 140 백화(白樺) ………… 141 제5부 절간의 소 이야기 동뇨부(童尿賦) ………… 144 마을은 맨천 귀신이 돼서 ………… 146 나와 지렝이 ………… 148 하답(夏畓) ………… 149 연자간 ………… 150 절간의 소 이야기 ………… 152 오리 ………… 153 노루 ………… 156 개 ………… 157 오리 망아지 토끼 ………… 158 오금덩이라는 곳 ………… 160 수박씨, 호박씨 ………… 162 황일(黃日) ………… 164 제6부 촌에서 온 아이 창의문외(彰義門外) ………… 168 삼방(三防) ………… 169 정문촌(旌門村) ………… 170 탕약(湯藥) ………… 172 이두국주가도(伊豆國湊街道) ………… 174 국수 ………… 175 주막(酒幕) ………… 178 촌에서 온 아이 ………… 179 목구(木具) ………… 182 고 방 ………… 184 초동일(初冬日) ………… 186 적경(寂境) ………… 187 미명계(未明界) ………… 188 성외(城外) ………… 189 광원(曠原) ………… 190 칠월(七月) 백중 ………… 191 늙은 갈대의 독백(獨白) ………… 194 제7부 전 별 이른 봄 ………… 198 하늘 아래 첫 종축 기지에서 ………… 200 눈 ………… 203 전별 ………… 206 공무려인숙 ………… 208 갓나물 ………… 210 동식당 ………… 212 축복 ………… 214 돈사의 불 ………… 216 손뼉을 침은 ………… 219 탑이 서는 거리 ………… 222 돌아온 사람 ………… 225 제3 인공위성 ………… 228 『집게네 네 형제』 집게네 네 형제 ………… 232 ?i기달래 ………… 237 오징어와 검복 ………… 241 개구리네 한솥밥 ………… 248 귀머거리 너구리 ………… 258 산골 총각 ………… 265 어리석은 메기 ………… 274 가재미와 넙치 ………… 279 나무 동무 일곱 동무 ………… 283 말똥굴이 ………… 298 배꾼과 새 세 마리 ………… 301 준치가시 ………… 305 까치와 물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분단에 의해 묻혀진 시인’에서 ‘분단을 극복한 시인’으로 20년 전만 해도 백석 시인을 소개할 때는 ‘분단에 의해 묻혀진 시인’으로 소개했다. 1987년 민주화항쟁 이후 월북시인 및 월북작가들이 해금되어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할 때였다. 2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백석은 누구나 인정하는 한국시문학사에서 가장 훌륭한 시를 창작한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제 백석은 분단에 의해 묻혀진 시인을 넘어 분단 자체를 극복한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백석 시에 대한 많은 연구와 자료를 통하여 그동안 애매모호했던 백석이 사용한 시어들의 정확한 뜻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 시집은 그동안 출판된 백석 시집 중에서 가장 정확한 주석을 달고 있다. 백석이 사용했던 평안도 사투리 및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낯선 우리의 고유어에 대한 주석 뿐만 아니라 한자로 표기된 제목에 대해서도 각주에 덧붙였다. 낯선 지명에 관한 경우에는 독자들이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설명해 주었다. <팔원>이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에 나오는 영변에 위치한 지역이라는 것도 표기해 독자들의 이해를 높였다. 한국전쟁 이후 북한에서 발표한 시들도 별도의 장을 구성했으며, 백석의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에 나오는 동화시 전편을 수록했다. 특히 백석이 처음으로 창작했던 동화시지만 『집게네 헤 형제』 출간 당시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까치와 물까치>는 단행본 시집에서는 처음 소개하는 것이다. 이 시집이 백석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선물이 되기를 바란다. 조선에서 가장 모던했지만 가장 조선적이었던 시인 백석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시 의 주인공 윤동주 시인이 가장 존경했던 시인이 백석이다. 윤동주는 동경 유학 시절 내내 백석의 첫시집 『사슴』의 필사본을 지니고 다녔다.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과 백석의 시 <흰 바람벽이 있어>와 <모닥불>을 읽으면 윤동주가 백석을 얼마나 좋아했는지 알 것이다. 백석은 자타가 공인하는 당시 최고의 모던니스트였다. 백석의 머리 스타일이며, 화려한 외모는 늘 화제가 되었다. 가장 모던했다는 것은 가장 개방적이었다는 것인데 백석의 시는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조선적인 언어로 가득 차 있다. 일본 유학 시절 백석은 ‘가장 모던한 것’과 ‘가장 조선적’인 것을 고민했다고 한다. 그 결과 백석은 누구보다 먼저 모더니즘을 받아들였지만. 민족의 언어를 잃지 않았다. 가장 모던한 것과 가장 조선적인 것이라는 극과 극을 완벽하게 구현해낸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시에는 가난했던 민중들의 모습이 많이 나온다. 일제 강점기의 특징은 조선 사회에서 상류사회를 형성했던 사대부(양반계급)들이 대부분 친일부역자들이 되었다는 것이다. 보통 나라가 망하면 지배계급들이 제일 타격이 크지만, 조선의 사대부들 대부분은 일본제국주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면서 상위계급을 여전히 형성하고 있었다. 어쩌면 조선의 멸망은 사대부들의 약속된 지위를 바탕으로 한 투항이었는지도 모른다. 나라는 망했지만 사대부들의 부와 권력이 망한 것은 아니었다. 이후 일제에 협력했던 사대부들은 해방이 되고나서도 친일 부역의 대가를 치르지 않고 그대로 대한민국의 메인스트림이 되었다. 그래서 백석의 시가 일제에 대한 저항정신이 약하다는 말은 억지스럽다. 백석의 시에 나오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가장 가난했던 민중들이다. 백석은 그들 민중들의 아픈 삶을 그리면서 일제 강점기 지배계급들의 횡포를 보여주고 있다. 민중들에게 중요한 것은 일본제국주의의 횡포만이 아니었다. 나라를 팔아먹은 사대부들에 의한 가혹한 착취도 문제였다. 몇 백 년 전에 일본이 왜란을 일으켰을 때 왕이며 사대부들은 궁궐을 버리고 도망갔다. 도망간 궁궐을 불태운 것도 조선의 민중이었지만, 의병을 일으켜서 목숨을 바쳐 나라를 찾은 자들 역시 가난한 민중이었다. 나라가 망하고 일본제국주의가 들어왔지만 그들을 몰아내려고 싸운 자들은 그들에게 핍박받고 수탈당하던 민중들이었다. 물론 사대부 출신의 독립 운동가들도 많았다. 하지만 최익현, 안중근처럼 그들이 꿈꾸던 나라는 자유대한이 아니라, 여전히 엄격한 신분제를 바탕으로 한 사대부가 이끌어가는 대한제국의 부활이었다. <팔원>이라는 작품에서 시인은 평안북도 영변군의 팔원면을 지나가다 보게 된 승합차 안과 바깥의 풍경을 그리고 있다. 팔원은 김소월 시 <진달래꽃>에 나오는 평안북도 영변에 있는 마을이다. 지금은 북한의 핵 실험 기지가 있는 곳이다. 손잔등이 밭고랑처럼 터질 만큼 몹시 힘들게 살아왔을 어린 소녀는 내지인 주재소장(일본 경찰) 집에서 식모살이를 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 그 소녀는 자성이란 곳으로 팔려 가고 있다. 묘향산에 삼촌이 산다고 했으니 묘향산에 도착 하면 아마 자성까지 이 소녀를 데리고 갈 삼촌을 만날 것이다. 아마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삼촌에 의지해 살아야 하지만, 삼촌 역시 가난해서 어린 조카를 남의 집에 식모살이로 팔아넘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차 안에서 같이 우는 사람은 시인 자신일 수도 있고, 이를 지켜보는 사연을 알고 있는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 백석은 구체적인 관찰, 절제된 표현을 통해서 어린 소녀의 모습은 아름답고도 슬프게 표현했다. 백석은 이렇게 지나치는 풍경 속에서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상황을 깊이 있게 포착하는 시선을 가지고 일제 강점기의 우리 민중의 처연한 모습을 표현했다. 이 시집 후반부에 실린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시를 보면 마음이 아프다. 사회주의 건설에 동원되어야 했던 뛰어난 시인의 재주는 사라지고, 그저 그런 평범한 시만 보인다. 작가의 상상력을 제약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얼마나 문학성을 떨어뜨리게 하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백석 시집을 많은 곳에서 출판하지만 그런 이유에서인지 북한에서 발표한 시들은 누락시키는 경우가 많다. 아마 나처럼 마음이 아팠을 것이다. 전혀 백석답지 않은 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도 우리가 분단으로 인한 상실이기에 이 시집에 담았다. 하지만 어린이는 조국의 미래라고 하지 않았던가. 백석의 동시집 『집게네 네 형제』의 감동은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시와사회’ 출판사를 하던 때는 『집게네 네 형제』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시집을 낸 이후 발견된 시집이라 따로 단행본 시집으로 냈다. 그러나 이번에는 북한에서 발표한 시를 함께 묶기로 결심했기에 모두 모아서 백석 시전집으로 만들었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2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