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몸

박선영さん他2人
37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7(26人)
評価する
3.7
平均評価
(26人)
다양한 삶의 이력을 지닌 여성 88인의 몸 이야기와 이를 기록한 두 여성 제작자의 에세이 『말하는 몸』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질병, 우울, 출산, 직업병, 성폭력, 성정체성, 다이어트, 운동, 탈코르셋, 연대 등 여성의 삶을 말하는 수많은 주제들이 몸의 고백에서부터 시작된다. 총 두 권으로 출간된 『말하는 몸』 1권은 ‘몸의 기억과 마주하는 여성들’, 2권은 ‘몸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여성들’에 초점을 맞춘다. 여성들이 자신의 몸과 삶에 대해 말하는 오디오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로 한 유지영 기자와 박선영 피디는 다양한 환경에서 분투하고 있는 여성들을 만나 질문을 건넸다.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은 무엇인가요?” “당신의 몸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말하는 몸』에 참여한 여성들은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부터 자신의 몸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느낀 순간, 월경이나 임신, 투병, 운동 등 몸의 변화가 일어난 순간, 타인에게 몸에 대한 피드백을 들었던 순간 등 몸을 구석구석 회고하며 자신의 언어로 몸의 역사를 말했다. 피디 정혜윤, 작가 이슬아,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국회의원 장혜영, 노동운동가 김진숙, 아나운서 임현주, 뮤지션 요조 등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들이 대거 참여하여 주목받기도 한 오디오 다큐멘터리 <말하는 몸>은 2019 제21회 양성평등미디어상 최우수상, 2020 제241회 이달의피디상을 수상했다. 여성들의 말을 글로 옮기면서 오디오 다큐멘터리에서는 편집된 부분들을 추가로 정리하여 공개하였으며, 각 출연자 에피소드에 박선영 피디와 유지영 기자의 에세이를 더했다. 그들이 여성들을 만나며 느낀 것들, 콘텐츠 제작자이자 한 여성으로서 공감하고 배워나가는 지점들까지 촘촘히 기록하여 여성 출연자들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깊이를 더했다. 각계각층 여성들의 목소리가 수록된 이 책은 한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의 생생한 ‘지금’이 담긴 논픽션으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이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7(26人)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3

目次

책머리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장 멀고 깊은 곳으로 5 1부 몸의 가능성을 확장하다 _박선영 엮고 쓰다 이 세계가 내 몸의 이동을 언제나 허용해주지는 않거든요 _염운옥의 몸 14 모두 열심히 감추시고, 열심히 피우십시오 _권김현영의 몸 22 운동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불안함에 대한 이야기예요 _한가람의 몸, 최희서의 몸 31 말랑말랑하게 늙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_요조의 몸 40 장혜정과 나는 같은 인간이다 _장혜영의 몸 48 제 꿈은 어디서든 정치하는 엄마로 사는 거예요 _조성실의 몸 57 제일 밑바닥엔 사람들이 있는 거예요 _김영미의 몸 66 몸에 대한 폭력이 유머가 된다는 게 불쾌해요 _이라영의 몸 75 벗어나려고 애를 쓴다는 것 자체가 그것을 의식한다는 거겠죠 _반향기의 몸 83 생리를 하던 때로 절대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 _임의 몸, 제의 몸 91 이 타투는 나와 같이 늙어가는 존재가 돼요 _황도의 몸 102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관계의 중요성을 알아가요 _리조의 몸 109 ‘연애 대상이 아닌 여성’으로 머무는 것이죠 _이진송의 몸 117 제 투병은 인식과의 투쟁이에요 _정지혜의 몸 126 각자의 ‘우리들’이 서로를 경험할 기회가 필요해요 _윤나리의 몸 134 동료를 찾아서 이 시스템을 움직여나가고 싶어요 _김윤하의 몸 142 다음 세대 여성들에게 책임감을 느껴요 _윤이나의 몸, 황효진의 몸 150 바이크가 페미니즘적 수행처럼 느껴질 때가 많아요 _김꽃비의 몸 159 어머니의 몸을 들여다보는 것이 힘들었어요 _마민지의 몸 167 사소한 벽이 무너지는 시점을 눈여겨봐야 해요 _방혜린의 몸 175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정의롭지 못한 상황이에요 _이보라의 몸 183 아픈 사람을 대하는 시선이 저를 더 힘들게 해요 _김유빈의 몸 192 2부 몸의 연결을 꿈꾸다 _유지영 엮고 쓰다 저는 모르는 걸 제일 싫어하는 사람이에요 _이수정의 몸 202 제 몸에 불편한 옷은 입지 않으려 해요 _임현주의 몸 210 피사체가 저를 허락하는 순간이 있어요 _황예지의 몸 217 상대의 몸에 대해 예의를 갖추면 좋겠어요 _김보람의 몸 226 남성과 여성의 신체는 정말 그렇게도 차이가 큰가요? _허주영의 몸 235 바꿀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기로 해요 _박다솜의 몸 244 아이가 없기 때문에 옛날의 나로 돌아갈 수 없어요 _정유은의 몸 252 여자가 투쟁에만 전념하기에는 힘든 세상이에요 _도명화의 몸 261 음악은 고칠 수가 없어요 _이윤아의 몸 270 승무원들은 구두를 신고 태평양을 걸어서 건너요 _편선화의 몸 279 내 몸은 곧 내 집이에요 _강혜영의 몸 288 ‘자위’를 거부감 없이 전할 방법을 고민했어요 _박연진의 몸 297 여러분,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저지르세요! _심윤미의 몸 304 할머니 무용수로 무대에 서는 상상을 해요 _서경선의 몸 314 저는 한 번도 남자인 적이 없었거든요 _김겨울의 몸 322 결혼해서 좋냐고 물어보면 “너무 좋아!”라고 대답해요 _정지민의 몸 330 배달 라이더도 인격체라는 걸 알아줬으면 좋겠어요 _양지선의 몸 340 내 손길이 닿은 건물을 보는 순간, 세상은 내 것이 돼요 _조은채의 몸 349 다시 태어나도 노동운동을 하고 싶습니다 _김진숙의 몸 358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몸은 내가 살아온 날들의 역사이고 살아갈 날들의 가능성이다” 함부로 말해졌던 몸에 대해 스스로 말하기로 한 여성들 “<말하는 몸>은 여성의 몸을 통해 무수한 갈래로 뻗어나가는 세계를 접할 수 있는 위대한 프로젝트이다.” _요조(작가, 뮤지션) #여성의몸 #몸에세이 #여성서사 #여성인터뷰 #페미니즘 #에세이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국회의원 장혜영, 노동운동가 김진숙, 사진가 황예지… 한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의 몸 이야기 2019 제21회 양성평등미디어상 최우수상, 2020 제241회 이달의피디상 수상작 <말하는 몸> “여기 이렇게 말하는 몸들이 있다.” 다양한 삶의 이력을 지닌 여성 88인의 몸 이야기와 이를 기록한 두 여성 제작자의 에세이 『말하는 몸』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질병, 우울, 출산, 직업병, 성폭력, 성정체성, 다이어트, 운동, 탈코르셋, 연대 등 여성의 삶을 말하는 수많은 주제들이 몸의 고백에서부터 시작된다. 총 두 권으로 출간된 『말하는 몸』 1권은 ‘몸의 기억과 마주하는 여성들’, 2권은 ‘몸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여성들’에 초점을 맞춘다. 여성들이 자신의 몸과 삶에 대해 말하는 오디오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로 한 유지영 기자와 박선영 피디는 다양한 환경에서 분투하고 있는 여성들을 만나 질문을 건넸다.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은 무엇인가요?” “당신의 몸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말하는 몸』에 참여한 여성들은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부터 자신의 몸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느낀 순간, 월경이나 임신, 투병, 운동 등 몸의 변화가 일어난 순간, 타인에게 몸에 대한 피드백을 들었던 순간 등 몸을 구석구석 회고하며 자신의 언어로 몸의 역사를 말했다. 피디 정혜윤, 작가 이슬아,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국회의원 장혜영, 노동운동가 김진숙, 아나운서 임현주, 뮤지션 요조 등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들이 대거 참여하여 주목받기도 한 오디오 다큐멘터리 <말하는 몸>은 2019 제21회 양성평등미디어상 최우수상, 2020 제241회 이달의피디상을 수상했다. 여성들의 말을 글로 옮기면서 오디오 다큐멘터리에서는 편집된 부분들을 추가로 정리하여 공개하였으며, 각 출연자 에피소드에 박선영 피디와 유지영 기자의 에세이를 더했다. 그들이 여성들을 만나며 느낀 것들, 콘텐츠 제작자이자 한 여성으로서 공감하고 배워나가는 지점들까지 촘촘히 기록하여 여성 출연자들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깊이를 더했다. 각계각층 여성들의 목소리가 수록된 이 책은 한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의 생생한 ‘지금’이 담긴 논픽션으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이다. 친족 성폭력, 거식증, 비만, 논바이너리, 탈코르셋, 생리, 자위, 낙태… 여성의 몸에 대해 할 수 있는 모든 이야기 “사람들은 비만인 사람을 보면 자기들이 추측한 이야기를 늘어놓잖아요. 다들 게으를 것이고 잘 걸어다니지도 않고 잠도 많이 잘 것이라고요. 그런데 저는 걷는 것도 좋아하고 잠을 많이 자지도 않아요.” (『대학생 이나연의 몸) “공부를 열심히 해서 모범생이 되면 아무도 몸에 대해서 뭐라고 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실제로 똑같이 꾸미고 화장해도 공부를 못하면 ‘노는 애’로 바라보잖아요.” (학교 밖 청소년 정김의 몸) “콜센터 노동은 보통 감정노동이라고들 하잖아요. 맞는 말이긴 한데 절반만 반영하는 말인 것 같아요. 분명 육체노동의 측면이 있거든요. 귀는 계속 불특정 다수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고 입은 말해야 하고 손은 바쁘고 허리는 아프고 계속 앉아서 오랫동안 일하니까 가끔 화장실 문제가 있을 때는 방광이 터질 것 같고요. 강성 민원을 응대할 때는 심장이 벌렁거리기도 해요.” (콜센터 노동자 오희진의 몸) “내가 이렇게까지 해서 담배를 피워야 하나, 라는 식의 ‘현타’가 올 때가 있거든요. 그런데 그렇게까지 좋아하는 것이 있다는 얘기이기도 한 거예요. 저는 금연을 한 입장에서 담배를 끊는 게 좋다고는 생각하지만, 담배에 대한 사랑이 어쨌든 내 인생에서 중요했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러니 모두 열심히 감추시고, 열심히 피우십시오.” (여성학자 권김현영의 몸) “스물한 살 때 처음으로, 어딘가에 부딪히는 우연 따위 없이 적극적으로 클리토리스를 자극해봤어요. 혼자 침대에 누워 있다가 자연스럽게 만지기 시작했는데, 어느 순간 오르가슴을 느꼈어요. 평소에 쓰지 않던 단어였지만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오르가슴’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더라고요. 그때 그 방안의 온도나 기분이 생생하게 기억나요.” (섹스토이샵 대표 강혜영의 몸) “저는 다시 태어나도 노동운동을 할 것이고, 선택할 수 있다면 청소하는 노동자, 식당에서 일하는 노동자로 살아보고 싶어요. 또 한번 빡세게 살아보고 싶어요. 그때는 몸에게 원망 듣지 않고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노동운동가 김진숙의 몸) 몸에 관한 구호들은 넘쳐나지만, 현실적으로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게 바로 ‘몸’이다. 우리는 ‘몸’을?주제로 대화할 때 자연스럽게 콤플렉스라 생각하는 신체 부위를 먼저 떠올리곤 한다.?사회가 말하는 이상적인 몸의 기준에 맞춰?‘되고 싶은 몸’ ‘되어야 하는 몸’을 생각하느라 좋았던 기억과 아팠던 기억, 수많은 서사와 관계를 품고 있는 몸을 돌아볼 기회는 부족했다.?내 몸은 어떤 기억을 지니고 있을까. 내 몸은 어떤 신호를 보내고 있을까. 내?몸에 대해 마음껏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 과연 어떤 이야기부터 나올 것이며 마침내 어떤 이야기까지 터져나오게 될까. 유지영 기자와 박선영 피디는?여성들이 분명 내내 몸에 품고 있었지만 발화될 기회가 없었을 뿐인 말들을 직접 찾아나서기로 했다. 처음 <말하는 몸>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주변에서 “비슷한 이야기들이 중복되지 않겠어?” “여자들은 다이어트 얘기만 하잖아”라는 걱정을 사기도 했지만, 실제로 마주한 여성들의 몸은 하나하나 달랐다. 평생 육체노동자로 일하며 세 아이를 키운 미싱사 김명선에게 몸은 “유일한 재산”이다. 작은 키로 소극적이게 살아왔던?번역가 노지양에게는 “나를 더 먼 세상으로 데려다주는 수단”이고,?여성을 위한 섹스토이숍을 운영하는 강혜영에게는 “누구도 함부로 어지럽혀서는 안 될 내 집”이다. 또 아일랜드 교민 봄이에게는 “작고 인종이 다른 몸”이고, 장애여성공감 전 대표 배복주에게는 “연애관계에서 ‘하자가 있다’고 여겨지던 몸”이다.?그 밖에도 날씬하지 않고 식욕이 왕성한 요가 강사, 미인대회 출신 중학교 음악 교사, 하루 300킬로칼로리씩 섭취했던 섭식장애 경험자, 여름이 끔찍하게 싫은 다모多毛인, ‘똥꼬에서 피 날 때까지’ 일하던 방송작가, 구두를 신고 태평양을 걸어서 건너는 승무원, 위험상황에서 ‘인간 방패’가 되는 활동가, 담배를 사랑하는 여성학자, “생리 해방 세상!”을 외치는 생리중단시술 경험자 등 다양한 직업군, 다양한 경험, 다양한 관점의 몸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몸이 겪었던 폭력과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는 여성도 있었고,?몸의 기능과 잠재력을 발견하는 기쁨에 대해 이야기하는 여성도 있었다. 한편 같은 주제에 관해서도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는 글들을 함께 읽을 수 있다는 것도 『말하는 몸』의 묘미다. 예를 들어, 운동하면서 느낀 해방감을 말하는 여성도 있지만, ‘누구나 평등하게 운동할 수 없는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시선으로 말하는 여성도 있다. 또 성범죄 피해 당사자인 여성들의 목소리와 이들을 변호하고 조력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여성들의 목소리도 함께 실려 있다. 이렇듯 여성들이 말하기로 결심한 몸의 서사는 저마다 다르나 ‘오늘 이 자리에서 이 말을 하겠다’는 의지, ‘이 이야기를 다른 이에게 들려주겠다’는 의지만은 하나같이 닮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질문하는 몸과 대답하는 몸이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2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