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백의 비명

정이담 · SF/小説
276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7(7人)
評価する
3.7
平均評価
(7人)
데뷔작 퀴어 로맨스 《괴물 장미》로 뜨거운 사랑을 받은 정이담 작가의 세 번째 장편소설. 거리 곳곳에 얼굴 없는 여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만 어떤 기계에도 촬영은 되지 않는 기묘한 존재들. 처음에는 괴담 취급을 받았지만 이제 얼굴 없는 여자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 도시는 공포에 휩싸인다. 만질 수도 없고, 대화를 할 수도 없는 이 존재들을 두고 사람들은 “유령이다” “반물질이다” 설왕설래하지만, 얼굴 없는 여자들은 사실 태어난 곳이 따로 있었으니 그곳은 바로 ‘선우원’이라는 보육원의 양곡창고. 평화롭기만 해야 할 보육원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7(7人)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著者/訳者

目次

1장_선량한 친구들의 초봄_7 2장_우물을 찾아 헤매는 늦봄_43 3장_떠밀린 운명들의 초여름_79 4장_비명이 탄생하는 한여름_107 5장_얼굴 없는 여자들의 가을_137 6장_침묵의 계절은 미완성_169 7장_폐허 속에서도 인어는_197 8장_순백의 마음을 듣는 겨울_223 9장_다시, 봄_245 작가의 말_269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내가 네 엄마였으면 좋겠다. 아니면 네가 내 엄마 하든가.” 데뷔작 퀴어 로맨스 《괴물 장미》로 뜨거운 사랑을 받은 정이담 작가의 성장 사변 소설 엄마에게 상처받고 버려진 두 소녀의 모성 콤플렉스 극복기 거리 곳곳에 얼굴 없는 여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만 어떤 기계에도 촬영은 되지 않는 기묘한 존재들. 처음에는 괴담 취급을 받았지만 이제 얼굴 없는 여자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 도시는 공포에 휩싸인다. 만질 수도 없고, 대화를 할 수도 없는 이 존재들을 두고 사람들은 “유령이다” “반물질이다” 설왕설래하지만, 얼굴 없는 여자들은 사실 태어난 곳이 따로 있었으니 그곳은 바로 ‘선우원’이라는 보육원의 양곡창고. 평화롭기만 해야 할 보육원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로맨스릴러 공모전에서 《괴물 장미》로 우수상을 받으며 데뷔한 정이담 작가의 세 번째 장편소설. 이제 ‘자립준비청년’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지만 아주 오랫동안 ‘보호종료아동’이라는 호칭으로 불리웠던, 두 소녀의 모성 콤플렉스 극복 이야기. 엄마로부터 칼로 찔리거나, 물에 빠뜨림을 당해 죽을 뻔했던 두 소녀는 엄마라는 존재를 늘 부정하면서도 또 꿈꾼다. 부재가 남긴 치유할 길 없는 이 콤플렉스를 극복하려 애쓰는 두 소녀는 보육원이 존폐를 위협받고 보육교사들마저 해고당하며 파국으로 치닫게 되는데…. 두 소녀는 과연 진짜 어른이 될 수 있을까. “내가 네 엄마였으면 좋겠다.” “징그러운 소리.” “아니면 네가 내 엄마 하든가.” 진짜 어른이 된다는 것 이렇게 숨도 못 쉬고, 숨죽여 읽은 소설은 오랜만이다. 게다가 ‘엄마’라는 단어가 이처럼 많이 나오는 작품을 근래 또 읽었는가도 싶다. 리뷰를 위해 파일로 작품을 먼저 받은 터라 검색해보니 이 소설에는 ‘엄마’라는 단어가 184번 나온다. 수많은 작품 속에서 때로는 그리움의 대상이고, 때로는 애증의 대상이며, 때로는 극복해야 할 대상인 엄마. 하지만 정이담 작가의 소설 속에서 이 ‘엄마’는 자식을 죽이려 했고 끝내 버린 엄마다. 2019년, 정이담 작가는 가부장의 폭력 속에서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삶을 지탱하고 성장해 나가는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 퀴어 ‘로맨스릴러’ 《괴물 장미》로 데뷔했다. 그리고 불과 한 해 만에, 사고로 가족을 잃은 두 주인공이 서로의 상실을 치유하는 감각적인 SF 《불온한 파랑》으로 독자를 놀라게 하는가 싶더니, 자신의 진짜 삶을 기록하려는 욕망 속에서 성장한 소녀 선과, 인어증후군을 가진 동갑내기 룸메이트 율의 이야기를 다룬 SF 《순백의 비명》으로 돌아왔다. 《순백의 비명》을 SF라고 소개했지만, 여기서 SF는 과학소설(Science Fiction)이라기보다는 사변소설(Speculative Fiction)의 약어에 가깝다. 하지만 작가가 말한 대로 과학소설이면 어떻고 사변소설이면 무슨 상관이며 하다못해 소설이 아니면 또 어떻겠는가. “버림받았다”는 공통의 기억 속에서 성장한 두 소녀의 이야기는, 순백색의 심상 속에서 지독하게 맵고 쓴 맛을 낸다. 금빛 장미, 불온한 파랑, 그리고 순백의 이팝나무 이제 고등학교 3학년이 된 선은 갓난아기 때 베이비 박스에 담겨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줄곧 선우원에서자랐다. 보호 종료를 1년 앞둔 고등학교 3학년의 봄을 맞이한 선은, 보육교사 이모 두 사람과 로봇 이모 세 대가 분주하게 아이들을 돌보는 선우원에서 자기보다 어린 아이들을 통솔하고, 선천적인 장애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동갑내기 룸메이트 율의 일상을 돌봐야 한다. 그런 선우원에서의 일상이 그려지는 도입부는 마치 《키다리 아저씨》의 도입부, 우울한 수요일을 연상하게 한다. 하지만 선과 율에게는 나이 든 아이를 입양해 가겠다는 양부모도, 웃는 얼굴이 더 예쁘다고 말해주는 동산 위의 왕자님도, 부유한 키다리 아저씨도, 갑자기 대학에 가게 되는 기적도 없다. 그나마 율은 공부를 잘해서 대학 졸업 때까지 기한을 미룰 수 있지만, 선은 지금까지 다른 언니들이 그랬던 것처럼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선우원을 떠나야 한다. 선은 선우원을 떠날 날에 대비해 다섯 번이나 은행에 방문해 겨우 통장을 만들고, 어렵게 독립 자금을 모은다. 선은 갓난아기 때 엄마가 옆구리를 칼로 찔러서 자상을 입은 채 발견되었고, 장애를 안고 태어난 율은 이곳에 오기 전 엄마가 물에 빠뜨려 죽이려 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옛 가족을 잊고 새로운 사람들과 가족을 이루어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며 자라난 아이들, “무엇을 가족이라 부를지 재설정”해야 하는 이 아이들에게 있어, 가족이란 혈연이 아니라 눈물로 이어진 인연이고, “열 명의 이모와 사십 명의 친구들, 로봇 이모, 그리고 이팝나무”다. 선우원에 와서, 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지나 더 이상 가족들이 자신을 찾지 않음을 인정할 무렵, 아이들은 화단 구석에 제 이름을 단 식물, 주로 이팝나무 가지를 하나씩 심어 키우며 이곳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괴물 장미》를 지배하는 심상이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는 화려한 금빛 장미고, 《불온한 파랑》을 지배하는 심상이 지구의, 바다의, 혹등고래의 푸른 빛이라면, 《순백의 비명》을 지배하는 심상은 선우원 마당에 뿌리를 내린 커다란 이팝나무 같은 흰 빛이다. 아이들이 엄마처럼 의지하는 이팝나무의 하얀 꽃, 마치 베이비박스처럼 하얀 양곡 창고와, 쌀알처럼 매끈한 얼굴을 한, 얼굴 없는 여자들의 새하얀 유령들까지. 얼굴 없는 여자들은 어디에서 왔는가 고단한 삶 속에서 아이를 버린 엄마들, 계약직으로 들어와 고된 노동을 감당하는 보육사들, 나이가 들어 이곳을 떠난 뒤 힘들고 가난하게 살다가 보증금 사기를 당하고 옥상에서 뛰어내린 언니, 그리고 이곳의 아이들. 그들은 서로를 가족으로 생각했지만, 이곳의 남성들은 그렇지 않았다. 과거 어떤 남자직원은 아이들을 성추행하다가 쫓겨나기도 했고, 지금 있는 남자직원은 재단 측과 손을 잡은 채 자신이 노조 위원장을 하겠다고 나선다. 아이들을 학대하고 보호사들에게 횡포를 부렸던 원장은 임기가 남아 있다는 이유로 선우원에 눌러앉아 권력을 휘두른다. 그리고 국가는 권력을 쥔 쪽의 폭력을 방임하고, 여성과 약자 그리고 미성년자의 생존 투쟁을 아주 손쉽게 죄로 규정한다. 권력과 손잡은 국가가 미성년자인 선과 율에게도 거침없이 폭력을 휘두르던 날, 양곡 창고에 떨어진 선은 마치 자신의 관념 속 어머니처럼 칼을 든, 얼굴 없는 여자를 본다. 그리고 그날 이후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만 어떤 기계에도 찍히지 않는, 얼굴 없는 여자들이 세상에 나타난다. 정이담 작가는 《괴물 장미》에서 뱀파이어 바네사의 입을 빌려 말했다. “백 명의 여자가 죽으면 한 명의 괴물이 탄생해. 천 명의 여자가 살면 한 명의 삶이 돌아온단다.” 그리고 이 책 《순백의 비명》에서 ‘얼굴 없는 여자들’은 기억되지 못하고 이 세상에서 밀려난 여자들의 다른 이름이다. 그들은 이모들이 끌려가고 아이들이 방치된 선우원의 흰 양곡 창고 안, “부서진 로봇 이모와 쌀, 꽃, 이모들의 빈자리, 우리의 비명 속”에서 태어났다. 선우원의 아이들과 이모들, 봉사자, 후원자, 선우원 졸업생, 도배 아저씨와 떡볶이집 아주머니 같은 사람들의 연대가 선우원을 지탱하고, 돈과 권력으로 그들을 찢어놓으려는 세상에 균열을 내듯이, 얼굴 없는 여자들은 연대자들의 표정을 비추고, 산 사람들에게 여자들이 본래 가졌어야 할 얼굴과 역사를 떠올리게 하며 세상에 균열을 낸다. 유령으로도, 반물질로도 불리는 그들은 살아 있는 이들의 거울이다. 마치 선과 율이 서로가 서로를 비추는 거울이듯이. 기록하고 기억하는 사람 그 시간 속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