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서문 제1부 자크 라캉, 대타자의 향락이라는 비신학 제1장 무엇을 위한 난해함인가 제1절 라캉학파에서 주체의 형성 제2절 개념의 혼성성과 불균질성 제3절 보로메오 매듭, 1974~1975년 판본 제2장 <거울>이라는 장치: 나르키소스에게 속삭이는 에코 제4절 거울 단계: <인판스>의 단절 제5절 “전체상”의 출현과 그 응결, “죽음의 필촉” 제6절 증오·질투·사취: “상상계의 막다른 골목” 제7절 “법의 일격”과 실정법 제8절 첫 번째 상징계: 파롤의 상징계, 약속의 상징계 제9절 베르붐, 로고스, 다발: 은밀한 전회, 두 번째 상징계로 제10절 두 번째 상징계: 기계의 상징계 제11절 부유하는 시니피앙, 유동하는 시니피에, 응시하는 환유 제12절 은유의 “광휘” 제13절 대타자라는 죽음의 메아리, 시니피앙의 연쇄 끝에 제14절 트레 위네르란 무엇인가 제15절 두 가지 동일화, 두 가지 변증법, 두 가지 죽음의 모습: 상상계와 상징계, 그 동요 제16절 <거울>이라는 장치 제17절 상상계와 상징계 사이, <의미>의 영역: 시의 섬광 제3장 향락의 레귤레이터: 팔루스와 대상 a 제18절 실재계란 무엇인가: 작은 소리, 삐걱거림 제19절 향락이란 무엇인가: 마리 알라코크의 삼킴 제20절 두 가지 팔루스의 향락, 기관과 왕의 지팡이: 향락의 레귤레이터 (1) 제21절 대상 a의 잉여 향락: 향락의 레귤레이터 (2) 제22절 향락의 레귤레이터, 그 너머로 제4장 여성의 향락, 대타자의 향락: 정신분석의 임계점 제23절 “다른” 향락 제24절 신의 사랑: 신비주의란 무엇이었나 제25절 글 쓰는 향락: 과감한 파탄, 라랑그 제26절 “성관계는 있다”: 개념·임신·투쟁 제27절 정신분석의 역사적 임계: “과도기의 형상” 괄호-표상과 시체: 하이데거 · 블랑쇼 · 긴츠부르그 제28절 죽음, 죽음, 죽음: 하이데거와 라캉, 죽음의 진리 제29절 죽음의 비-진리, <바깥>과 <밤> 제30절 시체·표상·인형 제2부 피에르 르장드르, 신화의 주방 냄새 제1장 “그들은 돌아온다. 칼을 쥐고”: 르장드르는 누구인가 제31절 <소격>의 인간, 르장드르 제2장 <거울>의 책략: 정치적 사랑과 “도그마”의 의미 제32절 르장드르의 정신분석 “비판” 제33절 <거울>의 몽타주: 텍스트·이미지·제3자 제34절 “거울을 지닌 신”, 그 광기 제35절 “도그마”의 의미: 몽타주로서의 엠블럼, <사회적 거울> 제3장 근거율과 분할 원리: “왜”라는 물음 제36절 근거율이란 무엇인가 제37절 근거율의 제조와 “준거”: “여기에 왜가 있다” 제38절 분할 원리: “하나라고 세기”와 “증거가 되는 텍스트” 제4장 계보 원리와 <아버지>: 누군가의 아이라는 것, 누군가의 부모라는 것 제39절 누군가의 아이라는 것, 누군가의 부모라는 것: 계보의 “수상함” 제40절 “초월하는 신화적 대상”으로서의 팔루스 제41절 아버지란 무엇인가: 법인으로서의 아버지, 유배의 아버지 제42절 “닮은 자”의 제조와 인과율의 상연: 텍스트·이미지·엠블럼 제43절 도박자로서의 심판자: 근친상간·살인·원리주의 제5장 세속화를 상대화한다: <중세 해석자 혁명>과 “국가의 기한” 제44절 의례·조련·텍스트: “더는 춤을 근본적인 정치적 조작 바깥에 있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 제45절 <중세 해석자 혁명>이란 무엇인가: 텍스트의 “정보혁명”과 “국가” 제46절 세속화, 유럽의 “전략무기” 제47절 <국가>의 기한, 계보 권력의 행방 제48절 이슬람, 표상의 전쟁: 페티 벤슬라마의 방도 제49절 매니지먼트 원리주의와 국가의 종언: “아무것도 끝나지 않는다” 제50절 역사의 도박장: “트리보니아누스의 장소”와 제3자의 “돌연” 제51절 안트로포스의 <영겁>: 안트로포스와 후마니타스에 대해 제52절 신화의 주방 냄새 제3부 미셸 푸코, 생존의 미학 너머에서 제1장 “권력과 전략” 제53절 어느 비판 제2장 푸코의 “전회”: 「아티카 형무소에 대해」와 「진리와 재판 형태」 제54절 배제에서 생산으로, 규율 권력 쪽으로 제3장 규율 권력의 전략 (1): 『감시와 처벌』 제55절 세 가지 광경 제56절 신체형, 이는 주권의 의례다 제57절 개혁자들의 “기호 기술” 제58절 감옥의 탄생: 권력은 미세한 것에 깃든다 제59절 규율 권력의 네 가지 기법 제60절 규율은 의례가 아니다: 감시와 시선 제61절 규율은 법이 아니다: 규격화 제62절 가시성과 에크리튀르 제63절 일망 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