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한국어판 서문 4 감사의 말 14 서문 _ 이름과 대상의 분리 19 1장 _ 두 개의 아메리카, 기독교의 팽창, 그리고 인종주의의 근대적/식민적 토대 35 근대성의 식민적 지평 위로 솟아오른 ‘두 개의 아메리카’ 37 최초의 ‘야만인들’은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이 아니었다: 근대/식민 세계에서의 인종주의의 발명 55 옥시덴탈리즘과 아메리카의 ‘아메리카성’ 65 옥시덴탈리즘의 역사적 토대와 그것의 인식적·정치적·윤리적 결과 82 아메리카의 ‘아메리카성’ 97 2장 _ 라틴아메리카와 근대/식민 세계의 첫번째 재편 105 되돌아갈 수 없는 지점: 파차쿠티에서 혁명으로 107 라틴성: ‘식민지 크리올 바로크 에토스’에서 ‘국민적 크리올 라틴아메리카 에토스’로 114 종족-인종 오각형의 다섯번째 변: 남부 유럽의 라티노와 남아메리카·카리브 지역의 라티노 134 식민주의, 은폐된 근대성 이데올로기, 그리고 라틴아메리카: 식민성 논리의 재구성 149 라틴성의 여러 가지 얼굴들 159 3장 _ 라틴아메리카 이후 : 식민적 상처와 인식론의 지정학적/몸 정치적 이동 167 위로부터 주어진 라틴아메리카: 편의점 169 아프로-안데스인과 아프로-카리브인은 반드시 ‘라틴’ 인종은 아니다 176 원주민은 반드시 ‘라틴’ 인종은 아니며 순전히 ‘아메리카’ 인종도 아니다 195 라틴아메리카는 실체 없는 ‘문명’인가? 216 볼리바르와 제퍼슨 사이: 라티노와 치카노는 라틴아메리카인인가? 225 전 지구적 아메리카: 사파티스타, 세계사회포럼, 원주민회의, 아메리카사회포럼 235 맺으며 241 후기 _ ‘아메리카’ 이후 245 스페인어판 후기 _ 다시 한번 라틴아메리카 이후를 생각한다 263 옮긴이 해제 286│찾아보기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