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한국어판 서문 역사를 반성하는 주체의 구도(構圖) 서문 냉전, 동아시아 국민국가 시스템의 ‘고향’을 생각한다 옮긴이 서문 동아시아의 지평에서 ‘냉전/열전’을 바라보다 1장 다케우치 요시미와 ‘적대’사상 전제 1 일본의 ‘독립’? 전제 2 국민문학? ‘적대’의 사고 결단의 실패를 참고 견디는 일 2장 그 전쟁, 이 전쟁 전쟁과 ‘현실’의 생산 ‘바다’라는 메타포 ‘육지’의 침식 중국혁명의 글로벌화 ‘기아’의 리얼리즘 3장 육체의 자장 냉전의 포지션, 혹은 ‘육체’의 과오 60년대의 잠재적 방향 : 스즈키 세이준의 양의성 전후와 ‘타락한 여인’ 동아시아 냉전에서의 ‘육체’의 행방 4장 회귀하는 아시아, 여백의 아시아 ‘아시아’ 회귀? 60년대 혹은 다케우치 요시미 냉전, 기억, 고도성장 냉전, 노스탤지어, 신식민주의 ‘일본의 장소’란 무엇인가? 5장 한국전쟁이라는 겁화 한국전쟁에 대한 대응 한국전쟁을 둘러싼 투쟁 한국전쟁과 ‘일본’ 두 개의 공간 두 개의 시간 6장 불타는 오키나와 ‘류큐제도’의 일체성 미국과 오키나와 아시아와 오키나와 위기에 처한 현재 7장 포로/귀환의 자장 부두의 어머니 전후의 ‘이야기’ ‘억류자’의 ‘이야기’와 반(反)스탈린주의 종교적으로 체험된 ‘억류’ 8장 대척공간으로서의 아시아 전쟁중의 에너지, 혹은 50년대 한국전쟁하의 서클운동 55년이라는 분수령 토지와 인간의 자유 방법으로서의 ‘고향’ 참고문헌 저자 후기 냉전기 연표(1945-1975)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