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들어가는 말: 아우라의 현실성 / 5 제1부 감성학과 아우라 1장 감성학과 감성적 지각에 대한 재평가 / 21 1. 감성학에 대한 시대적 요청 / 21 2. 미학 이후 / 25 3. 미학의 확장으로서의 감성학 / 30 4. 감성적 지각에 대한 재평가 / 36 2장 감성학으로서의 매체 미학 / 44 1. 매체에 의해 매개된 지각 / 44 2. 확장된 예술 / 50 3. 이미지 대한 재평가 / 54 4. 이미지 수용의 문제 / 59 3장 감성학자로서의 벤야민 재해석 / 67 1. 일상에서 사소한 것들을 지각하기 / 67 2. 파편화된 도시를 충격 체험을 통해 지각하기 / 73 3. 복제된 예술을 아우라의 몰락으로 지각하기 / 79 4장 감성적 지각으로서의 아우라 / 85 1. 진품성으로서의 아우라 / 85 2. 거리감으로서의 아우라 / 93 3. 시선의 응답으로서의 아우라 / 97 제2부 또 다른 감성적 지각들 1장 프로이트의 두려운 낯섦 / 107 1. 감성학적 관점에서 본 프로이트의 예술 이론 / 107 2. 두려운 낯섦의 의미들 / 116 3. 두렵고 낯선 예술들 / 122 2장 바르트의 푼크툼 / 130 1. 주관적 느끼기의 대상 / 130 2. 푼크툼의 의미 / 136 3. 날카롭게 나를 찌르는 사진들 / 140 3장 리오타르의 숭고 / 144 1. 포스트모던 무대에 다시 등장한 숭고 / 144 2.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표현하기 / 147 3. 감성적 지각으로서의 숭고 / 152 4장 감성적 지각들 간의 가족 유사성 / 156 1. 아우라와 두려운 낯섦 / 156 2. 아우라와 푼크툼 / 162 3. 아우라와 숭고 / 166 4. 두려운 낯섦, 푼크툼 그리고 숭고의 유사성 / 168 5. 감성학에서의 아우라의 변형 / 172 제3부 아우라의 귀환과 복원 1장 아우라의 몰락 이후 아우라를 둘러싼 논쟁들 / 181 1. 아우라의 몰락이 가져온 후폭풍 / 181 2. 재아우라화의 여러 전략 / 187 2장 흔적과 아우라 / 195 1.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으로서의 흔적 읽기 / 195 2. 흔적 대 아우라 / 204 3. 도시 공간에서의 흔적들 / 207 4. 흔적의 아우라화 / 211 3장 장소와 아우라 / 217 1. 흔적 그리고 장소와 비장소 / 217 2. 기억 장소에서의 아우라적 경험 / 223 3. 특정 장소에서의 아우라의 지속 / 226 4. 제도적 장소에서의 아우라의 변신 / 234 4장 사건과 아우라 / 240 1. 사건과 반복의 충돌 / 240 2. 사건에서의 행위와 현존 / 246 3. 일회적 현존재로서의 사건과 아우라의 귀환 / 252 4. 사건의 반복과 아우라의 몰락 / 256 5장 매체와 아우라 / 262 1. 복제 예술에서의 아우라의 잔존과 몰락 / 262 2. 복제 예술에서의 아우라의 의도적 복원 / 270 3. 영화를 둘러싼 가상의 아우라 / 274 4. 디지털 매체에서의 아우라 없는 아우라 / 279 5. 아우라의 아바타들 / 285 6장 상품과 아우라 / 289 1. 과시적 소비의 대중화 / 289 2. 과시적 소비에 대한 노출증과 관음증 / 293 3. 상품의 과시적 아우라 / 297 4. 예술의 상품화와 아우라의 복원 / 300 참고 문헌 / 309 찾아보기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