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 나에게 ADHD라는 이름을 주었다

신지수 · エッセイ/社会科学/人文学
28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5(110人)
評価する
3.5
平均評価
(110人)
임상심리학자로서 다시는 자신과 같은 환자를 놓치지 않겠다고 결심한 저자는 여자아이와 여성이 ADHD 진단에서 배제되어온 원인을 탐구한다. 과잉행동/충동형, 부주의형, 복합형으로 다양한 ADHD의 유형 중 과잉행동/충동형만 강조된 심리학·정신의학적 배경, 발견되기 어려운 부주의형의 특성, 진단 기준과 진단 도구에서의 문제, 정신건강 전문가와 양육자·교육자의 성 고정관념과 사회가 강요하는 성역할, 대중매체가 ‘ADHD=천방지축 남자아이’만 조명한 이유, 젠더 편향 이슈가 지속되는 정신건강계의 구조적 문제를 살핀다. 또한 ADHD 여자아이가 성인이 되어 겪는 일상적·정신적 문제를 전하며 조기 진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임상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ADHD 치료 과정, 일상관리법, 직접 쓴 약물 일기 등을 소개함으로써 여성 환자의 일상 회복을 기원한다. 이 책은 ADHD 증상을 의심하고 있거나 이미 진단받은 이, 자신 외의 ADHD 여성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지 알고 싶은 여성, 자녀에게서 ADHD 증상을 발견하고 걱정하는 부모 들은 물론 의료계 젠더 편향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5(110人)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10+

目次

머리말 4 1장 임상심리학자, 몰래 ADHD 검사를 시행하다 10 도대체 ADHD가 뭐길래 16 교무실에 드나들지 않은 학생이 어디 있다고 19 병원에 가는 일은 쉽지 않았지만 27 2장 우리가 잃어버린 조용한 소녀들 36 ADHD 진단에서 여성은 배제되어왔다 45 조용한 ADHD 51 여성 ADHD는 어떻게 발견되었나 56 3장 진료실에 여자아이와 여성은 없었다 62 질병의 특성 68 진단 기준과 진단 도구의 문제 73 공병 80 진료실 안에서 발생하는 문제 88 4장 진료실 밖에서도 여성 ADHD는 지워졌다 94 가정과 교실에서의 문제 98 대중매체가 전하는 고정된 질병 이미지 103 성역할 106 심리학·정신의학에서의 여성 혐오 123 5장 우리가 잃어버린 소녀들의 미래 130 심리학·정신의학계는 왜 변화하지 않았을까 134 ADHD 여자아이는 어떤 여성으로 자랄까 136 6장 ADHD로 인해 잃어버린 나를 되찾기 154 약물치료 159 인지행동치료 163 7장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168 일상관리 172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것들 215 에필로그 232 부록 : 약물 일기 236 : 주석 272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ADHD를 진단받은 임상심리학자, 여자아이와 여성이 진단에서 소외된 배경을 추적하다 대학병원의 평범한 점심시간, 임상심리학자 신지수는 빈 검사실에 들어가 충동적으로 주의력 검사를 실시한다. 컴퓨터 화면에 뜬 결과는 “저하”. ADHD 의심 결과를 확인한 후 정신과에 내원해ADHD 진단을 받는다. 그는 서른에야 진단받을 수 있던 원인을 찾고자 책과 논문을 뒤졌지만, 관련 도서 대부분이 ADHD가 있는 유아기와 아동기 남자아이, 성인의 증상만을 다루고 있었다. 여자아이와 여성 환자에 대한 의학적 정보를 찾아 고군분투하던 그때, 그의 인생을 바꾸는 중요한 사실을 마주한다. 지금까지 여러 이유로 여자아이들이 ADHD 진단에서 배제되어왔으며, 치료받지 못한 채 성인이 된 그들이 제 발로 병원과 센터를 찾아오고 있다는 것이다. 임상심리학자로서 다시는 자신과 같은 환자를 놓치지 않겠다고 결심한 저자는 여자아이와 여성이 ADHD 진단에서 배제되어온 원인을 탐구한다. 과잉행동/충동형, 부주의형, 복합형으로 다양한 ADHD의 유형 중 과잉행동/충동형만 강조된 심리학·정신의학적 배경, 발견되기 어려운 부주의형의 특성, 진단 기준과 진단 도구에서의 문제, 정신건강 전문가와 양육자·교육자의 성 고정관념과 사회가 강요하는 성역할, 대중매체가 ‘ADHD=천방지축 남자아이’만 조명한 이유, 젠더 편향 이슈가 지속되는 정신건강계의 구조적 문제를 살핀다. 또한 ADHD 여자아이가 성인이 되어 겪는 일상적·정신적 문제를 전하며 조기 진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임상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ADHD 치료 과정, 일상관리법, 직접 쓴 약물 일기 등을 소개함으로써 여성 환자의 일상 회복을 기원한다. 이 책은 ADHD 증상을 의심하고 있거나 이미 진단받은 이, 자신 외의 ADHD 여성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지 알고 싶은 여성, 자녀에게서 ADHD 증상을 발견하고 걱정하는 부모 들은 물론 의료계 젠더 편향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자기 행동의 원인을 모르고 산다는 건 얼마나 불공평한 일인가?” 지난 고통에 이름을 주고 잃어버린 나를 되찾기 위한 임상심리학자의 여성 ADHD 탐구기 임상심리학자는 심리 평가와 상담을 통해 환자의 고통에 병명을 찾아주는 일을 한다. 모든 정신장애와 심리 치료의 시작은 증상에 대한 올바른 명명과 인정에서부터 시작하기에,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임상심리학자로 정신과 병원에서 일하면서 서른이 되어서야 ADHD를 진단받았다. ADHD 환자를 검사하고 치료하면서도 그는 왜 자신을 ADHD 환자로 의심하지 않았을까? 좀 더 이른 나이에 진단받을 수는 없었을까? ADHD는 신경발달장애로, 발병 초기에 증상을 발견하면 치료를 통한 병세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약물을 장기적으로 복용해야 하지만, 부작용이 적고 복용 시 증상 호전의 가능성이 높다. 조기 발견 후 지속적인 치료가 중요한 것이다. 저자는 ADHD를 진단받은 후 고통의 원인을 찾았다는 안도감을 느낀다. 그러나 너무 늦은 진단이었다는 억울함과 아쉬움으로 ADHD를 공부하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한 외국 저널에 실린 인터뷰를 통해 그동안 여러 이유로 여자아이들이 ADHD 진단에서 배제되어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미국의 임상심리학자이자 30년 넘게 ADHD 환자를 만나온 앨런 리트먼 박사는 위의 인터뷰에서 “여성 ADHD는 남성 ADHD와 극적으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이는 “여성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기대가 증상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이를 계기로 저자는 여성 ADHD를 탐구하기 시작한다. ADHD가 여성 환자에게서 어떤 증상으로 발현되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ADHD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증상 완화를 위한 대처 방법을 고민한다. 이전까지 그는 “게으른 사람, 미성숙한 사람, 산만한 사람, 못 미더운 사람, 덜렁이……”로 불려왔다. 자신을 주기적인 고통으로 몰아갔던 것이 병명이라는 실체로 드러나자, 비로서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 그는 말한다, 병명을 모른 채 살 수도 있지만 “이는 다른 사람들의 편견이나 고정관념, 정보의 불균형 따위가 아닌 어디까지나 자의에 의한 것이어야 한다”라고. 자신과 같은 어려움에 처한 여성들을 떠올리며, 그는 “여성 ADHD의 세계의 문”으로 성큼 걸어 들어간다. 진단을 받기 전까지 나는 다른 이름들로 불려왔다. 게으른 사람, 미성숙한 사람, 산만한 사람, 못 미더운 사람, 덜렁이……. 하지만 이제는 아니다. 나를 따라다녔던 것들이 이제는 ‘신지수’가 아닌 ADHD를 가리키고 있었다. 나를 주기적인 고통으로 몰아갔던 게 ADHD였구나, 드디어 그 원인을 제대로 찾았다는 생각이 나를 안도하게 했다. 불확실성보다 확실하게 인간을 불안으로 몰아넣는 것이 있을까? 대체 뭐가 문제이길래 인생이 자꾸 꼬여만 가는지 그동안은 정말 몰랐다. 지치고 힘들었다. 그럴 때마다 눈물을 펑펑 쏟은 뒤 겨우 차린 기운으로 똑같은 문제를 반복하며 살아왔지만, 이제는 아니다. 안갯속을 허우적거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아냈기 때문이다. 의외로 많은 사람이 증상에 대해 진단을 받고 병명을 알고 나면 크게 안심한다. 말로 표현하기 모호했던 어려움이 실존하는 병명으로 정체를 드러내는 순간, 비로소 시야가 명료하게 밝아지는 기분이 든다. 실체를 알았으니 나아질 방법이 있을 거라는 희망이 생긴다. 나와 같은 사람이 어딘가에 존재한다고 상상하면 연대감을 느끼고 위로를 받는다. - 1장 <임상심리학자, 몰래 ADHD를 검사받다> 중에서(35쪽) 우리가 잃어버린 조용한 소녀들을 찾아서 진료실 안과 밖, 여자아이와 여성이 ADHD 진단에서 배제된 원인을 추적하다 ADHD는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한 병인을 공유한다. 질병 그 자체는 젠더 편향적인 장애가 결코 아니며, 진단에서부터 심리 평가와 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ADHD 앞에 남성, 여성을 구분하는 일은 없다. 과잉행동/충동형, 부주의형, 복합형과 같은 증상 유형은 성별 차보다 개인차가 훨씬 크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여러 연구자들은 여성 ADHD를 구분해 연구하고 설명하고 있다.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오래된 젠더 편향 이슈는 현재 진행형이며, ADHD도 예외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심리학·정신의학계는 “남성 환자의 ADHD 특성을 일반화하고 여성 환자에게 적용하려고 시도”해왔다. 이러한 반쪽짜리 ADHD는 여성의 삶에 큰 공백을 남겼다. 미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정신과에 의뢰된 ADHD 아동의 성비가 남자아이 10명당 여자아이 1명 수준의 결과를 보인 반면, 일반 지역사회의 아동을 대상으로 ADHD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남자아이 3명당 여자아이 1명으로 성차가 현저히 적었다. 이는 ADHD 증상에도 정신과 의뢰를 받지 못한 여자아이의 수가 많음을 입증한다. 이렇듯 소아·청소년기에 진단, 치료받지 못한 채 성인이 된 여성들은 뒤늦게 병원과 센터를 찾아왔고, 그 결과 성인 ADHD에서는 성차가 감소하면서 진단과 치료에서의 성차가 급격하게 줄었다. 그동안 ADHD를 겪는 “여성들의 증상은 무엇으로도 설명되지도 발견되지도 못했고, 진단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저자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바탕으로 진료실과 가정, 학교, 사회에서 지워진 여자아이와 여성의 존재를 세상에 드러냄으로써 ADHD의 젠더 편향 문제를 알리고, 정신의학계의 부주의형 연구와 진단 기준, 도구의 발전을 요구한다. 그동안 ADHD는 과잉행동/충동 우세형의 증상이 주로 알려져 왔다. 환자군 또한 남자아이와 남성으로 인식되었고 관련 연구마저 그들을 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부주의 우세형 증상을 보이는 여성은 ADHD 진단에서 배제되거나 다른 질병으로 오진을 받아왔다. 심지어 과잉행동/충동 우세형의 증상을 보이더라도 남성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성은 ADHD와 관계없는 것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높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5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