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서장: 사회사상이란 무엇인가 1. 사회사상의 역사란 무엇인가 2. 사회사상사의 방법 3. ‘시대’와 ‘사상’의 문맥 4. 사회사상의 기본 문제: ‘자유’와 ‘공공’의 관계 제1장 마키아벨리의 사회사상 1. ‘시대’의 문맥: 시장경제의 부활과 근대국가의 태동 2. ‘사상’의 문맥: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인문주의 3. 마키아벨리의 ‘문제’ 4. 『군주론』의 인간관 5. 『로마사 논고』의 공화제론 6. 마키아벨리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2장 종교개혁의 사회사상 1. ‘시대’의 문맥: 근대국가의 출현과 시장경제의 발전 2. ‘사상’의 문맥: 르네상스에서 종교개혁으로 3. 종교개혁 사상의 ‘문제’ 4. 루터의 신앙의인론과 만인사제주의 5. 칼뱅의 예정설과 자본주의의 정신 6. 종교개혁 사상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3장 고전적 ‘사회계약’ 사상의 전개 1. ‘시대’의 문맥: 국제 상업 전쟁의 개막 2. ‘사상’의 문맥: 과학혁명에서 자연법학으로 3. 사회계약 사상의 ‘문제’ 4. 홉스의 기계론적 인간관과 절대주권 이론 5. 로크의 이성적 인간관과 정치사회론 6. 사회계약 사상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4장 계몽사상과 문명사회론의 전개 1.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발전 2. ‘사상’의 문맥: 프랑스와 스코틀랜드 3. 계몽사상의 ‘문제’ 4. 프랑스 계몽의 문명사회상: 볼테르에서 중농주의까지 5. 스코틀랜드 계몽의 문명사회상: 허치슨과 흄 6. 계몽사상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5장 루소의 문명비판과 인민주권론 1.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위기 2. ‘사상’의 문맥: 계몽에서 문명비판으로 3. 루소의 ‘문제’ 4. 『사회계약론』에서의 일반의지와 인민주권 5. 루소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6장 스미스에게서의 경제학의 성립 1.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위기를 넘어 2. ‘사상’의 문맥: 계몽에서 사회과학으로 3. 스미스의 ‘문제’ 4. 『도덕감정론』에서의 공감과 도덕질서 5. 『국부론』에서의 분업·시장·부 6. 스미스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7장 ‘철학적 급진주의’의 사회사상: 보수에서 개혁으로 1. ‘시대’의 문맥: 이중혁명의 시작 2. ‘사상’의 문맥: 버크와 맬서스 3. 철학적 급진주의의 ‘문제’ 4. 공리주의 사상: 벤담과 제임스 밀 5. 고전파 경제학의 사상: 리카도의 『경제학 원리』 6. 철학적 급진주의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8장 근대 자유주의의 비판과 계승: 후진국에서의 ‘자유’ 1. ‘시대’의 문맥: 이중혁명의 빛과 그늘 2. ‘사상’의 문맥: 칸트, 피히테, 낭만주의에서의 자아의 발견 3. 헤겔의 ‘문제’ 4. 헤겔의 학문론과 시민사회론 5. 헤겔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9장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 1. ‘시대’의 문맥: 자본주의의 위기 2. ‘사상’의 문맥: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 3. 마르크스의 ‘문제’ 4. 철학 비판: 『경제학·철학 수고』에서 『독일 이데올로기』로 5. 『자본론』의 자본주의 비판 6. 마르크스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10장 J. S. 밀에게서의 문명사회론의 재건 1. ‘시대’의 문맥: 자본주의의 변화와 민주주의의 진전 2. ‘사상’의 문맥: 철학적 급진주의의 재검토 3. 밀의 ‘문제’ 4. 철학과 도덕의 혁신 5. 사회주의의 가능성 6. 밀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11장 서구 문명의 위기와 베버 1. ‘시대’의 문맥: 제국주의와 대중사회 2. ‘사상’의 문맥: 실증주의의 여러 흐름 3. 베버의 ‘문제’ 4. 『직업으로서의 학문』과 근대 합리주의의 기원 5. 『직업으로서의 정치』와 민주주의의 운명 6. 베버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12장 ‘전체주의’ 비판의 사회사상: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케인스, 하이에크 1. ‘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