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책을 내면서 17 프롤로그 혼과의 대화: 치유의 곳에서 27 제1장 샤머니즘과 인간 심리: 나의 탐구, 시작과 과정 33 제2장 샤머니즘과 무속은 다른 것인가 47 1 샤먼과 샤머니즘의 정의 47 1)엘리아데의 관점 48 2)슈뢰더와 슈미트의 관점 50 3)핀트아이젠의 관점 51 4)루이스와 퍼스와 관점 51 5)샤머니즘은 주술인가, 종교인가 52 2 무당의 호칭과 역할 53 1)무 격 미코 53 2)무당 박수 55 3)당골 마신 56 3 명도 구치요세 56 4 빙신체험의 변천 57 5 제주도의 신방 60 6 무속의 한계 62 제3장 입무과정: 샤먼이 되는 길 65 1 입무과정의 특성 66 1)고통의 의미 66 2)고행의 방법: 해체 69 3)골격으로의 환원: 해체(찢김)와 먹힘 74 4)저승으로의 여행 78 5)맺는 말 81 2 입무의 병-무병: 소명인가, 정신병리인가 82 3 강신의 꿈과 그 상징성 90 1)해체와 빙의의 꿈 91 2)신물 획득과 꿈 94 3)꿈에서 신성한 존재가 건네주는 귀중한 것 99 4)저승으로의 여행 101 5)개성화의 상징 103 6)영혼의 인도자, 상처 입은 자와 치유의 주제 108 4 내림굿 118 1)내림굿에 관한 민속조사 사례 119 2)신내림과 말문 열기의 심리역동 132 3)맺는 말 169 제4장 귀령현상과 그 심리학적 상징성 173 1 귀령의 세계 173 2 한국 샤머니즘의 만신전과 신들의 계위 178 1)잊혀진 신 179 2)천상신의 운명 182 3)몸주신과 그 상징성 187 제5장 한국민간의 질병관 및 정신병관 203 1 조사대상 자료 204 2 질병관의 종류 205 1)자연의 순리와 질병 205 2)귀신의 분노 신벌 복수 206 3)귀신의 체내 침입 혹은 빙의 210 4)영혼의 상실 212 3 정신병관 214 1)고대문헌에 나타난 정신병관 214 2)민속조사자료에서 본 민간의 정신병관 216 4 민간 질병관과 분석심리학 225 1)샤머니즘 사회와 원시종족의 질병관 225 2)실혼 탈혼 그리고 빙의의 분석심리학 233 3)시간과 공간에 결부된 귀령학 239 4)저주와 죽은 자의 원한 242 5 요약 및 맺는 말 244 제6장 한국민간의 정신병치료 247 1 대상 자료 249 1 민간 치료 일반 249 1)역사적 문헌에 나타난 주술적 치료 249 2)1930년대 이후에 기술된 주술적 치료 256 2 정신병의 주술적 치료 264 1)허주굿 265 2)복숭아나무 가지로 때리는 법 265 3)꿈과 치병 268 4)두린 굿 269 5)심신질환의 치료: 칠성새남 270 2 고찰 273 1 샤머니즘과 한국민간 치병방식의 비교 273 2 주술적 원시 치병방식과 문화심리학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