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 서로가 서로에게 다정한 이웃이 되어주면 좋겠습니다: 김기수
1. 모음이들이 경계를 넘나들며
김기수
◇ 우연히 아니, 운명처럼 만나다.
◇ 베라와 키오스크 그리고 14살 청소년
◇ 다정한 이웃들과 경계에서 함께 하기
김채원
◇ 첫 만남은 너무 어려워
◇ 나 뭐 된다는 착각
◇ 1년의 기록 아니, 후회
안솔미
◇ 서점에 웬 오리가?
◇ 귤 한 쪽도 나눠 먹는 사이
◇ ‘한국이 좋아? 키르기스스탄이 좋아?’라는 질문 대신
최수지
◇ 아이들은 스스로 잘 자란다.
◇ 아이들이 서 있는 곳, 그곳은 어디쯤일까
양서영
◇ 미래의 건축가와 솔올미술관에 가다.
◇ 깨지지 않는 마음이 닿은 날
◇ 소돌, K-장녀, 우리는 참 비슷해
김수윤
◇ 망한 소개팅이란 이런걸까?
◇ 어떻게든 너희들의 이야기를 듣겠어!
◇ 다르게 공부할 수는 없을까?
◇ 아이들이 그저 살기를 바란다.
이재현
◇ 자음모음 그날그날
2. 자음이들이 삐뚤빼뚤 한글로
◇ 라미스
◇ 에를란벡
◇ 데니스
◇ 사요라
◇ 카밀라
◇ 알리한
◇ 미르베키
◇ 아야나
◇ 사이자나
◇ 바이엘
◇ 알트나이
닫는 글
- 늘 있었던 사람들과 있으나 없는 사람들의 어울림: 최복규 (강릉시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장)
- 기댈 어른이 있다는 것: 이란주(아시아인권문화연대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