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새로운 세상을 꿈꾸었으나 만고역적의 대명사가 된 불우한 영웅
삼봉 정도전의 삶과 죽음에 관한 기록
1997년 초판 출간 당시 ‘정도전에 관한 최고의 책’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대중의 관심과 더불어 정도전 재조명 열풍의 첫 신호탄을 쏘아올린 《정도전을 위한 변명》이 17년 만에 독자들을 찾아왔다. 당시 《말》지 기자였던 저자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세대교체를 이루는 데 주인공 역할을 한 혁명가 정도전에게 마음을 빼앗겨 3년간 그의 삶과 사상을 추적한 끝에 이 책을 출간했다. 탐사 기자 특유의 취재 능력을 바탕으로 정도전에 관한 수많은 사료와 연구 성과를 섭렵해 재구성해낸 이 책은 그간 역사 속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사료 창고 속에 처박혀 있던 정도전을 새롭게 조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삼봉 정도전, 그는 누구인가? 고려 말의 구습을 청산하고 이성계와 더불어 새로운 조선을 건국함으로써 정치적 세대교체를 이룬 주역이 바로 정도전이다. 선비인가 하면 정략가였고, 유교 이론가인가 하면 군사 지휘자였으며, 동북아 정세의 변화를 거시적 안목으로 읽어내고 새로운 유교사상을 받아들인 사상가이자 정치가이자 시대의 혁명가였다. ‘나라는 백성이 근본이고, 백성은 먹을 것이 하늘’이며, ‘정치란 무릇 백성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민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나라 조선의 문물제도를 만들었으며, 경복궁을 비롯한 서울 도심의 기본을 설계했다. 지금도 남아 있는 사대문과 사소문의 이름과 성 안의 동네 이름 모두 그의 손으로 만들어졌다. 시와 음악과 병법에도 능통했으며, 《불씨잡변》, 《경제문감》, 《조선경국전》과 같은 수많은 저술을 남긴 뛰어난 사상가였다. 그러나 태조 이방원에 의해 죽임을 당한 후 500년간 만고역적의 대명사로 낙인찍혀왔다. 그는 왜 역적의 누명을 쓸 수밖에 없었을까? 이 책은 정도전의 파란만장한 삶과 죽음을 집요하게 파고든 기록을 통해 그의 목소리를 대신해 역사의 진실을 들려준다.
이 책의 프롤로그는 영화의 한 장면을 보여주듯 1398년 8월 26일, 정도전이 생을 마감한 날로부터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죽음에 대한 궁금증을 토대로 이어지는 그의 삶의 기록에는 난세를 이끌어간 영웅들의 이야기로 가득하다. 특히 저자의 날카로운 역사 해석과 비평은 고려 말부터 조선 개국의 숨 가쁜 역사 현장을 그대로 재현해놓았을 뿐 아니라 정몽주, 최영, 이성계, 이방원 등 그동안 하나의 이미지로만 다가왔던 역사적 인물들을 정도전의 굴곡 많은 생애와 더불어 살아 숨 쉬는 인물들로 거듭나게 했다. 같은 시대를 살면서 서로 다른 꿈을 꾸었기에 동지에서 적으로 서로의 운명을 달리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속 깊은 이야기가 한 편의 드라마처럼 펼쳐진다.
이 책은 난세의 시대에 민본주의와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 건설을 꿈꾸고 설계한 혁명가 정도전의 생애를 복원함으로써 오늘날의 정치는 무릇 어떠해야 하는지, 철인정치란 무릇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가 숨 쉬는 오늘 이 나라도 이러한 건강한 전통과 잇닿아 있다. 남달리 민주주의가 강하고 배움에 개방성이 강한 우리의 특성은 예로부터 쉼 없이 계발되어온 것이겠지만, 특히 정도전의 혁명에 적잖이 빚지고 있을 것이다. - 4쪽('2판 서문' 중에서)
책은 본연의 목표를 이루어냈다. 정도전은 충분히 변명되었다. 그러나 변명이 이루어졌다고 모두 끝난 게 아니다. 정도전은 더욱더 소개되고 알려져야 할 인물이다. 그가 이루어낸 업적 때문만은 아니다. 세상을 대하는 태도나 인생을 살아가는 자세에서도 그에게 배워야 할 것이 많다. - 박시백 화백(《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저자)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사상가이자 정치가.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峯),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1383년 이성계와의 만남 이후 역성혁명을 꿈꾸었으며, 이후 정몽주, 이성계와 함께 우왕과 창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추대했다. 1392년 조선의 건국을 주도한 일등 공신이자 최고 권력자로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조선 왕조의 기틀을 다져놓았다. 요동정벌 계획을 세워 명과 외교 마찰을 빚던 중 1398년 8월 26일 제1차 왕자의 난 때 살해되었다. 태종 이방원에 의해 만고역적의 대명사로 낙인찍혀오다 고종 때 경복궁 중건과 더불어 복권되었다. 여러 편의 시를 지었으며 《불씨잡변》, 《경제문감》, 《조선경국전》 등의 저술이 《삼봉집》으로 엮여 전한다.
하늘이 백성을 내면서 통치자를 세우는 것은 백성이 잘 살도록 보살펴주고 편안하게 다스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임금의 도리를 잘하고 못하는 데 따라 인심이 따르기도 하고 배반하기도 하는 것으로서 하늘의 의사가 가고 오고 하는 것도 다 여기에 달렸다. 이것이 정상적인 이치인 것이다. - ‘포고문’ 중에서(본문 257~258쪽 참조)
사람의 성품은 다 착한 것이며, 부끄러워할 줄 아는 마음은 사람마다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적이 되는 것이 어찌 인간의 본성이겠는가. 안정된 생업이 없는 사람은 안정된 마음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 춥고 배고픔이 절실해지면 예의를 돌아볼 겨를이 없어 대부분 부득이한 사정에 압박되어 도적이 되는 것일 뿐이다. - 《조선경국전》(본문 305쪽 참조)
◎ 팟캐스트로 만나는《정도전을 위한 변명》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기반으로 박시백 화백과 종회무진 인문학자 남경태, 건국대 사학과 신병주 교수, 휴머니스트 대표 김학원이 만들어가는 최초의 조선사 전문 역사 토크 방송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500년의 조선 역사를 다루는 본편과 더불어 여러 편의 외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7편으로 구성된 ‘정도전을 위한 변명’편에서는 김학원 대표, 박시백 화백과 더불어 이 책의 저자인 조유식 대표가 함께 출연한다. 이 팟캐스트는 팟빵(www.podbbang.com), 아이튠즈 팟캐스트(itunes.apple.com/kr), 네이버 TV캐스트(tvcast.naver.com)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실천적 지식인 정도전 사상의 바탕, ‘민본주의’와 ‘합리주의’
정도전은 《논어》와 《맹자》 같은 유교 경전뿐 아니라 병법서를 비롯한 수많은 경전을 읽고 이를 체화한 사상가였다. 그의 사상은 《불씨잡변》, 《경제문감》, 《조선경국전》을 비롯해 《삼봉집》에 함께 엮이어 있는 다수의 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가장 근간이 되는 민본주의 사상은 일찍이 부모상을 3년 동안 치르면서 정몽주가 보내준 《맹자》를 읽으며 형성되었는데, 《맹자》는 《논어》와 비교해 특히 민본과 민생을 더 강조하고 역성혁명의 정당성을 뚜렷이 밝혀놓았다. 정도전은 공민왕 시해 사건 이후 이인임 세력에 의해 귀양을 떠나 10년 동안, 특히 나주 거평부곡에서 민초들과 부대끼며 이들에게 배운 바가 컸다.
고려 말, 조선 초기에 정도전이 주장한 전제개혁안과 노비 해방 정책은 모두 민본 사상에 바탕한 것들이다. 자질이 일정치 않은 세습 군주가 전권을 행사하는 왕권 중심주의보다 천하 인재 가운데 선발된 재상이 국정의 중심이 되는 재상 중심주의를 주장한 것 또한 유가의 철인 정치 사상을 계승하면서 그 문제의식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며, 대외관계에서도 사대외교의 기초를 만들었으면서 요동정벌과 같은 항쟁을 통한 자주노선을 택한 것 또한 백성과 국가의 보전을 위해서 이 두 정책이 모두 필요하다는 생각에 기반해 있다. 이렇듯 정도전을 이해하는 가장 핵심 키워드는 ‘민본’이라 할 수 있다.
정도전의 핵심 사상 가운데 또 다른 하나는 ‘합리주의’로, 그는 불교의 윤회설에 대해서도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비판했으며, 조선 개국 이후 한양 천도시 풍수설에 입각한 논의에 대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이 우선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책은 민본주의와 합리주의에 입각한 정도전 사상의 핵심뿐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상 사회를 이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