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서머싯 몸이 격찬한 영문학소설 1위 특성 넘치는 인물, 방대한 배경 정곡을 찌르며 쉴 틈 없이 펼쳐지는 인간희극 사람이 추구하는 진실한 행복이란 무엇인가! 영문학의 거장 새커리! 윌리엄 새커리(1811~1863)는 영국문학 황금기인 빅토리아 시대에 활약한 수많은 작가들 가운데 찰스 디킨스와 나란히 칭송받는 문호이다. 새커리는 1847~48년에 《허영의 시장》을 연재물로 출판하면서 명성과 재산을 얻고 대작가로 우뚝 섰다. 《허영의 시장》은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재미있는 소설로 꼽히며, 영어로 쓰인 가장 위대한 소설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새커리는 《허영의 시장》에서 인간의 위선, 은밀한 감정, 사랑의 슬픔, 지난날의 기억,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허영을 주제로 다루며 인간의 속물근성을 파헤치고 비판했다. 또한 그 시대 인간의 삶과 사회 모습을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자기만의 사상을 펼쳐 읽는 이의 도덕적 교화를 꾀했다. 그는 빅토리아 시대 소설가들이 즐겨 쓴 과장된 인물묘사나 멜로드라마식 구성을 피한 채 섬세한 묘사를 썼다. 그 덕에 묘사·대화·해설이 하나로 어우러져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그런 까닭에 독자들이 이야기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어리석고 이기적인 인간 본성에 대한 통렬한 풍자 윌리엄 새커리의 첫 작품《허영의 시장》은 읽는 이에게 더없는 감흥과 살아 있다는 기쁨을 새삼 느끼게 해주는 시대를 뛰어넘는 영국 고전문학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19세기 첫 무렵 영국 사회의 전경을 생동감 있는 사건 전개와 화려한 문체, 섬세한 인물 묘사, 뛰어난 표현력으로 그려낸 새커리는 이 소설의 테마가 “인간은 어리석고 이기적이며 허영을 좇는다는 사실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허영의 시장》은 1820년대를 배경으로 아밀리아 세들리와 레베카 샤프라는 대조적인 두 여자의 얽히고설킨 운명을 그리면서, 인간의 허영과 그 무렵 영국 사회를 통렬하게 풍자한다. 게다가 특정 사회의 묘사나 상상을 통한 분석에 그치지 않고, 독자로 하여금 인간의 본성을 의식하게 함으로써 “아! 헛되고도 헛되도다! 도대체 이 세상에 행복한 사람이 있을까? 바라는 것을 손에 넣은 사람이 있을까? 바라는 것을 손에 넣은들 만족하는 사람이 있을까?”라는 새커리의 결론을 이해하게 한다. 이 비극적인 모순은 인간의 야심과 경험에 대한 지속적이며 통찰력 있는 평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대걸작을 단순한 풍자소설로만 읽어서는 안 된다. 새커리의 소설들은 18세기에 싹튼 문학상의 현실주의를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완성하는 데에 커다란 주춧돌이 되었기 때문이다. 방대한 배경과 개성 넘치는 온갖 인간군상 《허영의 시장》의 시대배경인 19세기는 영국의 대변혁기였다. 철저한 근대화로 상공업의 중심을 이루는 중산계급이 눈에 띄게 성장하던 그때, 도시의 대상인들은 고급주택가에 저택을 짓고, 심지어 돈을 들여서 귀족 집안으로 딸을 시집보내는 상인들도 있었다. 거기에 나폴레옹의 영국에 대한 대륙봉쇄, 연합군과의 전쟁, 엘바 섬 탈출 같은 흥미진진한 격변의 시대상도 작품과 어우러진다. 등장인물들 또한 위로는 국왕에서 아래로는 마부나 하녀에 이르기까지 온갖 신분이 등장한다. 모두 67장으로 구성된 작품의 장마다 여러 주인공이 번갈아 등장하는데 복잡하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수많은 인물이 저마다 배경을 둘러싸고 풍부한 특색을 보여주어, 다음 장에 등장하면 친숙한 사람과 우연히 다시 만난 듯한 정감을 주기 때문이다. 런던을 비롯하여 영국의 곳곳과 유럽 대륙, 희망봉을 돌아 인도까지 누비는 그들의 세계는 그야말로 광대한 인간시장이다. 영웅이 없는 소설 새커리는 이 작품에 ‘영웅이 없는 소설’이라는 부제를 붙이고 있다. 굳이 그렇게 한 것이 오늘날의 시각에서는 무의미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영국 문학사적으로 볼 때 새커리의 소설이 월터 스콧이나 찰스 디킨스 같은 작가에 대한 반동(현실주의로의 복귀)이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그 의미가 가볍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웅이 없는 소설’이란 ‘주인공이 없는 소설’이다. 그러나 이 걸작은 레베카의 뛰어난 수완과 도빈의 신실한 마음이라는 서로 다른 두 이야기가 엮이면서 흥미진진하게 펼쳐지므로, 주로 레베카가 여주인공이고 도빈이 남주인공이라고 해석된다. 특히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신분상승을 노리는 레베카는 작품 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새커리가 창조한 인물 가운데 가장 인상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레베카 말고도 아밀리아와 조지, 로든 등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니 독자들이 마음껏 주인공을 꼽아도 좋을 것이다. 인간은 하나의 희극이다 ‘허영의 시장’이라는 제목은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에서 가져온 것이다. 새커리는 이 단어가 아주 마음에 들었는지, 《허영의 시장》을 쓰기 시작할 무렵부터 〈펀치〉에서 연재하고 있던 《영국의 속물들》에서 이렇게 말했다. “인간은 하나의 희극이다―개개인은 ‘허영의 시장’에 늘어서 있는 임시 건물과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