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채털리 부인의 연인』의 작가 로렌스가 월트 휘트먼적인 자유시를 통해 분출하는
강렬한 감정과 신비로운 교감의 세계
● “자유시는 정신과 육체가 한꺼번에 솟아나는 것이어야 한다.” ―D. H. 로렌스
D. H. 로렌스는 『보라! 우리는 이렇게 이겨 왔다!』, 『새, 짐승, 꽃』, 『팬지 꽃』 등 여섯 권의 시집에 천 편이 넘는 시를 쓴 시인으로서 에드거 앨런 포를 좋아했고, 1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특히 월트 휘트먼의 영향으로 자유롭고 대담한 형식을 지향했다. “소리나 감각에서 타성에 젖은 진부한 결합이나 판에 박은 조합은 걷어내자. 그저 표현한답시고 일그러지게 전달하는 거짓된 경로와 통로들은 엎어 버리자. 그 완고한 버릇을 깨부수자.”
그리고 거짓된 동정심으로 가득 차
일 마일을 걷는 자는 전 인류의 장례식장으로 가느니.
―「휘트먼에게 주는 대답」에서
마치 일기를 써 내려가듯 솔직하게 고백하는 이야기들도 많은데, 자신을 “꼭 쥐고 갖고 싶어요.”라고 말하는 연인에게는 이렇게 따져 묻는다.
(……)
내가 대답했다. “도구도 기구도 아니고 하느님도 없소!
나를 만지고 훌륭하다고 생각하지 마시오.
저속한 짓이오.
족제비가 그 곧고 하얀 목을 쳐들 때
울타리의 족제비를 만지기 전에 두 번 생각하겠지.
당신 손이 그렇게 가볍고 쉽지는 않겠지.
공주처럼 햇볕 따사로운 곳에서 똬리를 튼 채
머리를 어깨에 얹은 채 잠자는 독사도 쉽게 만지지 못하겠지.
독사가 놀라 정교하게 머리를 쳐들었을 때
그 모습이 드물게 아름다워 보여도
또 엄청난 위엄을 갖추고 정교한 몸짓으로 달아난 것이 기적 같아도
당신은 그 독사를 쓰다듬어 주려고 손을 내밀지는 않지.
또 당신은 저 주름지고 슬픈 얼굴을 한 들판의 황소가
일어나면 무서워하지.
황소는 한자리에 박혀 선 돌기둥처럼 생각에 잠겨 슬프지만.
당신을 주저케 하는 것이 나에게는 아무것도 없는 거요?
나에게도 이 모든 것이 다 있소.
어째서 당신은 이런 것을 대수롭게 생각하는 거요?”
―「그녀가 또한 말하기를」에서
한편 대학교 은사의 아내였던 여섯 살 연상의 프리다와 사랑에 빠져 결혼에 성공했는데, 그녀에게 바치는 애가도 여러 편 있다.
그녀가 아침에 일어나면
나는 그녀의 모습을 보기 위해 서성거린다.
그녀가 창문 아래 목욕 수건을 깔면
햇볕이 그녀를 비쳐
어깨 위에 하얗게 반짝인다.
그녀 옆구리에는 원숙한
금빛 그림자가 빛난다.
그녀가 스펀지를 주우러 몸을 굽히면 그녀의 출렁이는 젖가슴이
활짝 핀 노란 장미처럼 출렁인다.
‘디종의 영광’ 장미꽃처럼.
―「디종의 노래」에서
● 자연의 생명력에서 인간다움을 찾아 헤매는 시인의 처절한 목소리
D. H. 로렌스는 자신이 직접 시의 화자가 되어 사상을 펼쳐낸다. “세상이 그토록 많은 거짓으로 뒤덮여 있지 않다면, 나는 작가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급격한 산업혁명으로 돈과 명예를 얻은 부르주아들은 또 하나의 계급을 만들며 가식으로 가득 찬 사회를 탄생시켰고, 이 모든 것에 환멸을 느끼는 예민한 작가는 인위적인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자연이 갖는 본연의 힘을 찾고자 했다. 그리하여 그의 시에는 “저주스러운 인간 교육”에 대한 반발만큼이나 생명력에 대한 종교적인 경외감이 짖게 드러나고 있다.
(……)
나를 가르친 목소리는
그를 죽여야 한다고 속삭인다.
시칠리아에선 까만, 까만 뱀은 해(害)가 없지만 금빛은 독이 있기 때문에.
내 속에서 목소리는 말한다. 네가 만일 사내거든
몽둥이를 들어 지금 그를 쳐서 죽이라고.
그러나 손님처럼 조용히 내 홈통에 와서 물을 마시고는
만족해서 고마운 표정 하나 없이 평화롭게
대지의 이글거리는 창자 속으로 가 버린
그가 몹시도 좋았다고 나는 고백할까?
(……)
맞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미처 구멍 속에 들어가지 않은 꼬리 부분이 갑자기 체통
없이 꿈틀거리며
번개처럼 꿈틀하고는 사라져 버렸다.
까만 구멍, 담 정면의 갈라진 틈 속으로
나는 홀린 듯 그쪽을 지켜보았다. 이 강렬하고 조용한 정오에.
나는 곧 후회스러웠다
얼마나 무가치하고 야비하고 비열한 짓인가!
나를 경멸하고, 저주스런 인간 교육의 목소리를 멸시하였다.
나는 알바트로스를 생각했다.
그리고 내 뱀이 다시 돌아오기를 바랐다.
내게는 그가 왕처럼 보였기에,
추방당한 왕, 지하에서 왕관을 쓰지 못했으나
곧 다시 왕관을 쓸 왕처럼.
이리하여 나는 모처럼의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생명의 왕과의 기회를,
나는 이제 속죄해야 하느니,
나의 비루한 짓을.
―「뱀」에서
영시 문학사에서 형식과 내용 모든 면에서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 작품들은 주로 죽음 같은 진지한 주제를 다룬 시들이다. 로렌스의 시들은 그 자체로도 세계시인선에 들어갈 만큼 의미 있는 작품들이지만, 그의 철학뿐만 아니라 소설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텍스트가 된다.
(……)
지금은 가을, 과일이 떨어진다.
망각을 향해 먼 여행을 떠날 때.
커다란 이슬방울처럼 사과가 떨어진다.
스스로를 깨는 것은 스스로를 떠나는 것.
지금은 떠나야 할 시간. 자신에게
작별을 고하고, 떨어진 자신으로부터
출구를 찾을 시간.
―「죽음의 배」에서
로렌스는 거친 광부의 아버지와 교양 있는 교사 어머니 사이에서 가난과 불화를 겪으며 자라난 예민한 문학소년이었다. 아들을 향한 어머니의 집착과 그로 인한 아들의 방황과 어머니를 향한 아들의 애정이 특히 자전적 소설 『아들과 연인』에 잘 나타나 있다. 「신부」라는 시는 이 소설의 17장 어머니의 죽음과 관련이 있는데,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장의 제목은 ‘해방’이다.
나의 사랑은 오늘 밤 소녀 같다.
그러나 그녀는 늙었다.
베개에 놓인 머리카락은
금빛이 아니고,
섬세한 은빛과 섬뜩한 냉기로
꼬여 있다.
그녀는 젊은 처녀 같다. 눈썹은
부드럽고 아름답다.
뺨이 아주 부드러운데 두 눈을 감아
귀하고 귀여운
잠을 잔다. 조용하고 편안하게.
아니 신부처럼 잠을 잔다.
완전한 것을 꿈꾸며.
내 사랑은 꿈의 형태로, 마침내 누워
그리고 죽은 입이 노래한다.
맑은 저녁의 지빠귀 새 같은 입 모양을 하고.
―「신부」에서
● 한국 시문학의 바탕을 마련한 세계시인선
1970-1980년대에는 시인들뿐만 아니라 한국 독자들도 모더니즘의 세례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때로는 부러움으로, 때로는 경쟁의 대상으로, 때로는 경이에 차서, 우리 독자는 낯선 번역어에도 불구하고 새로움과 언어 실험에 흠뻑 빠져들었다. 이러한 시문학 르네상스에 박차를 가한 것이 바로 세계시인선이다.
민음사는 1966년 창립 이후 한국문학의 힘과 세련된 인문학, 그리고 고전 소설의 깊이를 선보이며 종합출판사로 성장했다. 특히 민음사가 한국 문단에 기여하며 문학 출판사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바로 ‘세계시인선’과 ‘오늘의시인총서’였다. 1973년 12월 이백과 두보의 작품을 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