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들어가며 _논리보다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파리 _우리 행동은 누군가에 의해 유도되고 있다 _사람을 움직이는 집파리 효과와 인지 편향 _행동경제학을 제대로 알기 위한 주의사항 _집파리 효과가 넘치는 도시 라스베이거스 1장 뇌에 쉽게 속아 넘어가는 우리들 _내 얘기인 것 같다고 누구나 생각한다 _우리는 생각만큼 스스로를 잘 알지 못한다 _현대인의 삶에 어울리지 않는 충동성이 유전자에 새겨진 이유 _자신감 과잉은 인간의 본능이다 _무식한 사람보다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자신감을 가질 수 없는 이유 _당신을 착각하게 만드는 뇌의 메커니즘 _인간의 의식은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할 수 없다 _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타인이 있을 때이다 _마음가짐이나 각오보다 환경을 바꾸는 것이 더 중요한 이유 _실패는 네 탓이고 성공은 내 덕분이다 _자기기만의 본질은 자기 자신을 거짓말로 속이는 것이다 _아무 효과도 없는 가짜 약이 진짜 효과를 가져온다 _뇌를 속이는 누름 버튼이 당신을 보호한다 _맛있는 것이 비싼게 아니라 비싼게 맛있다고 느껴진다 _머리로는 알지만 뇌가 속아 넘어간다 _처음 인사할 때는 차가운 손으로 악수하지 말 것 _1장 요약: 뇌는 우릴 끊임없이 속일 것이다 2장 왜 뇌는 본능적으로 나태해지는가 _20달러를 받기 위해 27달러를 지불한다 _광고비 없이 매출을 두 배로 늘리는 간단한 방법 _비즈니스와 공공기관에서 사용되는 넛지 _캐시백 제도는 의도적으로 귀찮게 만들어졌다 _귀찮아서 자살하기도 싫어진다 _의사결정의 95퍼센트는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_폭도로 변한 시민들도 질서를 지켜 순순히 행진하는 이유 _많은 정보보다 알기 쉬운 정보가 더 효과적이다 _왜냐하면이라는 말만 해도 뇌는 설득 당해버린다 _선택지를 없애는 것이 성공적인 판매의 핵심 _선택해야 한다면 밸런스 게임으로 _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다 _나도 모르게 기본값을 선택하고 있다 _어설픈 광고에 속지 않았지만 결국 그 물건을 산다 _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가는 이유 _브랜드 리뉴얼의 실패는 습관과 연관되어 있다 _중간에 그만두는 게 아까워서 새로운 습관을 만든다 _사용자를 매료시키는 훅 모델 4단계 _좋은 습관을 만드는 데 집파리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 _아예 모르는 것보다 조금 알고 있어야 한다 _2장 요약: 간단명료함의 과학 3장 뇌는 상상의 고통에서 도망치고 싶다 _가장 무서운 것은 잃는다는 것 _우리가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하는 이유 _돈을 쓴다는 것은 육체적으로 괴로운 일이다 _우리는 경제적 위안을 위해 음식을 선택한다 _왜 축구 선수들은 낮은 슛을 고집할까 _사람들은 어찌됐건 안전한 것을 택한다 _위험을 피하는 것이 곧 선택이다 _질병에 걸리는 것보다 백신 부작용이 더 무섭다 _결정은 바로바로 _우리는 선택 가능성이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 _창고 정리 세일이 우리의 발목을 붙잡는 이유 _총지출액을 계산하면서 쇼핑해야 좋을까 _무한 리필 음식점에 가는 것은 심리적으로도 좋은 일이다 _불확실성이 고통스러운 것은 당연하다 _정확하지만 불편한 정보는 보고싶지 않다 _3장 요약: 불안을 불안해하지 않기 4장 다른 사람과 같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뇌 _비합리적이더라도 긴 줄 뒤에 줄서고 싶다 _주변과 같은 것을 선택해 위험을 피하고 싶다 _왜 우리는 제한에 취약한가 _베스트셀러는 자동으로 계속 팔린다 _잘못된 행동을 지적해도 개선되지 않는 이유 _집단에 속하고 싶다는 욕구는 매우 강하다 _인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_사회적 규범이 집단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_타인의 생각을 알면 자신의 행동도 달라진다 _○○하기 시작했다고 변화를 강조하면 사람의 행동이 변한다 _사람은 일정한 조건 하에서 서로 협력하는 특성이 있다 _게스트가 리뷰를 정직하게 남길 수 없는 이유 _진정으로 사교적인 사람은 타인을 위해 행동한다 _좋은 말을 하는 사람은 좋은 일을 하지 않는다 _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사람은 행동을 바꾼다 _권위를 앞세우면 논리적 사고를 할 수 없게 된다 _광고는 모든 방식으로 권위화 되고 있다 _여러분도 아시다시피로 권위를 높일 수 있다 _나보다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고 있다 _뛰어난 문학작품을 읽으면 전략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_호혜적 관계가 인류 문명의 기반이 되고 있다 _사람에게 친절을 베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