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프랑수아 줄리앙
17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7(7人)
評価する
3.7
平均評価
(7人)
동서 문화철학의 세계적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이 수십 년간 동서양 사상을 맞대면시킨 작업을 토대로 새로운 문화론을 제시한 책이다. 저자는 문화와 관련해 흔히 혼동하는 보편(universel), 단형(uniforme), 공통(commun)의 개념을 정제함으로써 다양한 문화가 보편의 왜곡된 개념인 단형성을 극복하고 서로간의 간극(間隙)을 비춰보는 공통 작업을 통해 각자의 강도를 높이는 문화적 대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동서양의 간극은 대화를 가로막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화의 조건이며, 문화적 대화의 해법임을 강조한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7(7人)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2

目次

한국어판 서문 서문 1. 보편, 단형, 공통 2. 보편의 유럽적 토대에서: 보편은 시효가 지난 개념인가? 3. 차이 혹은 간극: 동일성 혹은 생산력 4. 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5. 우리는 문화의 자원을 옹호한다 6. 간극에서 공통으로 7. 대-화(DIA-LOGUE) 역자 해제: 프랑수아 줄리앙의 철학 여정 역자 후기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그러나 우리는 문화의 자원을 옹호한다” 현재 유럽을 관통하고 있는 문화적 정체성 논쟁 동서 문화철학의 세계적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에게 듣는다 “문화와 관련된 개념들을 혼동할 경우 우리는 거짓 논쟁, 애초에 출구 자체가 없는 논쟁에 함몰될 것이다.” 이 책은 동서 문화철학의 세계적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이 수십 년간 동서양 사상을 맞대면시킨 작업을 토대로 새로운 문화론을 제시한 것이다. 저자는 문화와 관련해 흔히 혼동하는 보편(universel), 단형(uniforme), 공통(commun)의 개념을 정제함으로써 다양한 문화가 보편의 왜곡된 개념인 단형성을 극복하고 서로간의 간극(間隙)을 비춰보는 공통 작업을 통해 각자의 강도를 높이는 문화적 대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동서양의 간극은 대화를 가로막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화의 조건이며, 문화적 대화의 해법임을 강조한다. 바깥으로부터의 해체 프랑스의 중국학 연구가로 유명한 프랑수아 줄리앙은 이 책에서 중국이라는 바깥을 통해 서양철학을 재조명하고 있다. 이는 그리스를 떠나 서양철학을 제대로 읽기 위함으로, 저자가 중국을 택한 이유는 중국 사유가 텍스트의 전통을 갖춘 동시에 역사, 언어, 개념 등 모든 면에서 서양과 아무 관계없이 정립되어 서양철학의 사유를 새롭게 펼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저자에 따르면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은 남용을 통해 가정된 것으로서, 개인적 차원에서 정신분석학이 규정하는 ‘동일화’ 또는 ‘동일시(identification)’의 원리와 혼동되면서 그 기반이 다져진 것이라고 한다. 프랑수아 줄리앙의 철학은 ‘우회’와 ‘회귀’로 압축할 수 있다. ‘우회’는 서양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존재, 신, 이상, 목적, 자유 등과 같은 철학소(哲學素)들을 중국사상을 통해 동요시킴으로써 사유의 낯섦을 체험하는 데 있다. ‘회귀’는 서구적 이성을 지탱해주는 무언의 선택을 중국이라는 바깥을 통해 재조명하는 작업으로서, 중국을 통해 서구적 편견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서구의 잊힌 가치를 새롭게 사유하는 단계이다. 서양철학을 제대로 읽고 싶다면, 서양사상의 뿌리, 그리스에서 벗어나라! 이 우회와 회귀는 서구적 이성의 고질적이고 유전적인 편견 또는 습벽에 질문을 다시 던지고, 사유되지 않은 문제로 거슬러오르기 위한 전략적 작업이다. 그 속에서 중국은 중국학 자체를 넘어 철학을 재가동시키는 일종의 이론적 뇌관으로 기능한다. 저자는 서양철학을 제대로 읽으려면 그리스에서 벗어나 바깥의 관점을 구성함으로써 서양철학의 범주에서 벗어나 간극을 통해 사유를 조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바깥으로서의 중국은 서양의 사유를 ‘서양의 것’으로 발견하게 해주는 습벽, 즉 서양의 사유를 펼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인 셈이다. 저자는 동서양의 간극은 대화를 가로막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화의 조건이며, 문화적 대화의 해법임을 강조하고 있다. 간극은 문화적 저항인 동시에 윤리적·정치적 저항의 개념으로, 이를 통해서 공통이 생겨난다. 이 공통은 간극에 내재된 긴장을 통해 산출되고, 강요되거나 즉각 주어진 것이 아닌 활성화된 것이다. 우리는 여정의 시작에 있을 뿐이다 우리의 사유와 삶은 자기 습관에 대해 간극을 벌리지 않으면 매몰되고 정체되며 교착상태에 빠지게 된다. 우리는 세계에 속하지만 세계와 우리의 삶을 의식하는 것은 오직 균열과 탈착을 통해서이다. 서양의 철학과 언어 같은 문화에 흡착되었던 자신으로부터 ‘탈착’을 시도한 것이 저자의 동서양 맞대면 작업의 시작이기도 했다. 저자의 문제의식은 서양사상의 뿌리인 그리스로부터 벗어나는 데 있었다. 서양철학은 항상 다르게 사유하고 새로운 형태의 진리를 찾고자 하는 야심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보기에 계속 습관적 질문과 성찰 속에 ‘흡착’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어떻게 하면 지루한 지식의 반복에서 벗어나 사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을지, 철학적 사유가 사유하지 않는 것은 없는지 고민한 끝에 동서양을 맞대면시킴으로써 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다. 이 책은 서구문명을 중심에 놓고 다른 문화를 서구문화의 변주로 간주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 서양철학을 중국이라는 바깥을 통해 해체하는 작업을 오롯이 담고 있다. 이는 저자의 서양철학과 중국철학을 맞대면시켜온 과정을 다시 바라보는 관점이기도 하다. 민족주의의 회귀와 세계화에 대한 반작용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이 세계 곳곳에서 요구되고 있는 오늘날, 이 책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