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32주간 1위 기록
전 세계를 공포에 빠트린 에볼라 바이러스에 관한 최고의 논픽션!
“이처럼 소름끼치는 이야기는 처음이다. 대단한 걸작이 탄생했다.” - 스티븐 킹
이 책은 미국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USAMRID)와 질병관리본부(C.D.C.)가 신경전을 펼치는 대결 구도 속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정체를 파헤치고 진압하는 과정이 자세히 그려져 있다. 미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의 수의병리학자인 낸시 중령은 1989년 발생한 에볼라 레스턴 생물재해 작전의 주역이다. 그녀의 남편 제리 중령은 미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의 수의 부문 책임자다. 그는 레스턴 생물재해 작전에서 특수기동대의 리더로서, 원숭이 하우스에 있는 원숭이들을 모두 살처분하는 임무를 완수한다. 유진 존슨 군무원은 에볼라 바이러스 전문가다. 그는 레스턴 생물재해 작전에서 병참 및 물류 책임을 맡았다. 이 작전의 총 책임자는 피터스 대령이고, 피터 예를링 군무원과 토머스 가이스버트 인턴은 에볼라 레스턴 바이러스를 발견한 사람이다. 미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와 경쟁 관계에 있던 질병관리본부 소속 맥코믹 박사는 특수병원균 부문 책임자로, 그는 수단의 한 오두막에서 에볼라 환자를 치료하다가 피 묻은 바늘에 찔리기까지 한 열정적인 사람이다. 이들은 모두 실재한 인물이다.
이야기는 ‘샤를 모네’라는 가상 인물이 엘곤산 키툼 동굴에 놀라갔다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전염되는 설정으로 시작된다. 그는 나이로비 병원에서 유능한 셈 무소케 의사를 만나지만, 결국 몸의 구멍이란 구멍에서 피를 흘리며 처참히 죽는다. 그리고 그를 치료한 무소케 박사 또한 마르부르크에 감염되지만, 그는 운 좋게 살아남는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1967년에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의 신장 세포를 이용하여 백신을 생산하는 독일 베링 웍스 공장에서 처음 출현했다. 그래서 바이러스 이름에 독일 지명이 붙었다. 이 공장은 우간다에서 원숭이를 정기적으로 수입하는데, 당시 총 5,600마리를 공수하는 과정 어딘가에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가 숨어 독일로 왔다. 기껏 두세 마리의 원숭이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는 이후, 원숭이 사이에서 퍼지다가 종을 건너뛰어 도시 사람들에게서도 갑자기 출현했으리라 추측된다. 마르부르크에 처음 감염된 사람은 클라우스. F. 이름의 남자이며, 베링 웍스 공장에서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고 우리를 청소하는 사람이었다. 감염 증상은 마르부르크에 노출된 지 이레 후부터 두통이 나면서 시작된다. 이후 통증, 엄청난 열, 혈전, 출혈, 말기 쇼크와 함께 머리에서 아래로 내려간다. 최종적으로 31명이 마르부르크에 감염되었고, 7명이 죽었다. 치사율이 25%정도다.
현지 조사, 실제 인물 인터뷰, 방대한 과학데이터 등을 통해
역사적으로 가장 위험한 에볼라 바이러스의 정체를
섬뜩할 만큼 적나라하고 치밀하게 파헤친 논픽션 스릴러!
1976년, 이야기는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으로 본격 시작된다. 장소는 엘곤산에서 북서쪽으로 8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남수단. 이곳에서 솜 공장 창고를 관리하는 유G.가 몸의 구멍이란 구멍에서 피를 흘리며 죽었다. 그가 에볼라 수단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첫 환자, 즉 발단환자다. 에볼라 수단은 은자라와 병원이 있는 마라디라는 소도시를 황폐화시켰지만, 무슨 이유인지 더 이상 퍼지지 않고 사라졌다. 아마 병원에서 더러운 주삿바늘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리라, 바이러스가 숙주가 된 사람을 워낙 빨리 죽여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시간이 없었으리라, 공기가 아닌 피를 통해 전염되었기 때문이리라, 추측한다.
에볼라 수단이 발병한 지 두 달 후인 1976년 9월 초, 벨기에 수녀들이 운영하는 자이르의 얌부쿠 병원에서 에볼라 바이러스가 나타난다. 얌부쿠 병원에서는 하루에 주삿바늘 5개로 조산소와 외래 환자 수백 명에게 주사를 놓았다. 에볼라 자이르의 첫 환자는 확인되지 않지만, 감염 증상은 수단보다 훨씬 더 치명적이었다. 저자는 당시 세계보건기구 국제팀을 총 지휘한 카를 존슨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본다. 카를 존슨은 당시 상황에 대해 “병원은 무덤처럼 고요하고, 황량해 보였다. 침대는 쇠 아니면 나무로 만들어졌는데, 매트리스가 없었다. 잘 닦인 바닥은 깨끗했다. 얼룩도 없었다. 그곳엔 살아남은 수녀 3명, 신부 1명, 헌신적인 아프리카인 간호사 몇 명만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에볼라 자이르는 얌부쿠 병원 인근 마을 55군데에서 동시에 출현했다. 처음에는 주사를 맞은 사람이 죽었다. 그 다음에는 가족들, 특히 여자(아프리카에서는 여자들이 장례를 준비한다)가 많이 죽었다. 이어 얌부쿠 병원의 간호사들을 휩쓸어 갔고, 벨기에 수년들을 강타했다. 그 중에서 M.E.수녀와 수녀를 간호한 마잉가 간호사의 혈액은 지금 벨기에 국립연구소와 영국 국립미생물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라는 이름은 처음 환자가 발생한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강에서 따왔다. 에볼라 바이러스 입자는 서로 다른 단백질 7개, 즉 실 모양의 에볼라 입자가 기다랗게 꼬인 7개의 큰 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단백질 가운데 3개는 조금 알려졌지만, 4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은 수수께끼다. 에볼라 수단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보다 2배 더 치명적이다. 에볼라 수단의 치사율은 50%다. 에볼라 자이르는 가장 위험한 에볼라 바이러스다. 1976년 9월에 처음 출현했지만, 어디서 나온 지 알 수 없었고, 감염된 사람은 열에 아홉은 죽었다. 치사율이 90%에 이르렀다.
에볼라 감염환자, 치료의사, 바이러스 발견자, 연구원, 진압대원 등
실재 주인공이 핫 에이전트와 싸우는 치열한 현장이 사실적으로…
1983년, 미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의 사람들은 에볼라 바이러스를 다루는 일을 꺼렸다. 에볼라의 실험 대상이 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 와중에, 낸시 중령은 에볼라 프로젝트에 자원하고 처음 감염 원숭이와 대면하는 날, 그녀의 생물재해 우주복 장갑이 구멍 난다. 생물재해 우주복은 생물안전도 레벨4인 핫 에이전트를 다룰 때는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아무튼, 그녀는 공황 상태에 빠지면서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의 심정을 헤아리게 된다.
1989년, 필리핀에서 야생원숭이 100마리가 미국의 심장부인 워싱턴 D.C.와 가까운 소도시 레스턴으로 수입되어 왔다. 레스턴에는 수입된 원숭이를 한 달 동안 격리하는 곳이 있다. 레스턴 원숭이 하우스가 그런 곳이다. 그런데 10월 4일, 필리핀 퍼라이트 농장에서 온 원숭이들이 계속해서 죽어나갔다. 수의사 댈가드는 죽은 원숭이를 해부한 후, 미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에 원숭이 비장을 보냈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들은, 사람에겐 감염되지 않는 원숭이 출혈열을 의심한다. 하지만 미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의 인턴인 토머스 가이스버트가 호기심으로 들여다본 원숭이 비장에서 마르부르크와 비슷한 것을 발견한다. 놀란 그는 상사인 피터 예를링에게 보고 한다. 최종 확인 결과 에볼라 바이러스의 아형임이 밝혀지면서 미국은 발칵 뒤집힌다.
미국의 위급상황!
그러나 미 육군전염병연구소와 질병관리본부는 서로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신경전을 벌인다. 결국 미 육군전염병연구소의 러셀 장군이 타협안을 내놓는다. 미 육군은 원숭이 하우스를 관리하고, 질병관리본부는 환자를 맡기로 말이다. 이제 미 육군은 언론을 통제하고, 특수기동대를 만들어 원숭이 하우스의 원숭이를 모두 살처분하고, 그곳을 봉쇄하기로 한다. 까닭은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도, 치료약도 없기 때문이다. 레스턴 생물재해 작전이 수행되는 와중에 원숭이 한 마리가 우리 밖으로 뛰쳐나가는 사고가 발생하고, 연구원이 입은 우주복이 구멍 나기도 하는 위험한 상황이 속출하는데…….
과연, 미국은 에볼라 바이러스의 위기를 어떻게 넘겼을까?
저자는 에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