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큐멘트 3

송호준さん他18人
26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4.5
平均評価
(3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지금 ‘공공’의 삶과 풍경을 ‘기록’하기 위해 만드는 비정기 간행물이다. 3호에서는 지금 제작문화의 최전선에 있는 여러 현상과 조건을 다룬다. 제작문화에 대한 개념과 함께 제작문화의 주체인 제작자, 제작문화 테크놀로지, 정치적 행동으로써 해킹, 해커 스페이스와 3D 프린터기와 같은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제작 도구들을 소개한다. 동시에 제작문화가 전면화되면서 노동의 영역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제작문화와 가장 밀접하게 붙어 있는 예술 행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인터뷰를 통해 일본과 중국의 제작문화 현황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크리티컬 메이킹에 수록된 글들을 통해 지금 제작문화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와 이론가들의 견해도 들을 수 있다. 단순히 제작문화의 유토피아적인 가능성만 검토하기 보다 이러한 문화가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생산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지금 문화적 조건에서 어떤 오해와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지 등을 여러 연구자와 활동가의 입을 통해 들어보고자 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著者/訳者

目次

프롤로그: 다르게 만들기의 시작 최영숙 구로디지털단지(a.k.a. 구로공단) 괴담: 창의도시에서 누락된 생산의 손들 서동진 손의 귀환 혹은 유령화된 손: 경제의 탈물질화, 노동의 심미화 요한 소더버그 노동계급의 다른 형성과 제작자의 부상 고규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계가 가장 투명했던 짧은 시절 ─컴퓨터가 블랙박스로 밀봉되기 직전의 이야기 조동원 제작-놀이이자 노동 조동원 중국의 해커스페이스, 혁신, 노동 ─ 데이비드 리, 실비라 린트너와의 인터뷰 하마다 다다히 제작문화와 일본사회 다이아나 밴드 해커 윤리와 제작 공동체 크리티컬 메이킹 ?가넷 허츠, 알렉스 갤러웨이와의 인터뷰 ?크리스 칙센미하이, 16개의 단편 ?요하네스 그렌츠푸트너 & 프랑크 아푼크트 슈나이더, 공간을 해킹하다 ?미치 알트먼, 기금 출처가 중요한가? 청개구리 제작소 마을 만들기에서 물건 만들기까지: 청년의 일자리 위에 작동하는 사회적 프로그램에 대해 크리스 맨수어 예술의 노동 점유: 줄리아 브라이언?윌슨과의 인터뷰 구정연 피켓을 든 미술가들─1930년대 뉴욕의 미술가조합 류한길 절대적인 것 앞에 선 자주출판의 무력함 임경용 텀블벅, 창작자들을 위한 플랫폼─소원영과의 인터뷰 최빛나 뜨기, 잇기, 꿰기: 강정의 코 ─달군, 구름과의 인터뷰 최빛나 만들자 연구실 ─최태윤과의 인터뷰 송호준 OSSI 설계 부품 리스트 코우너스 리소 매뉴얼 워크스 샌드위치 만들기 에필로그: 제작문화와 예술, 노동에 대한 짧은 푸념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만들기의 시대, 그 다양한 양상에 대한 연구 만들기는 그 대상과 주체에 상관없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온 고유의 활동이다. 손이나 도구를 가지고 필요한 것을 만드는 행위는 한 사회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신성하게 여겨져 왔다. 하지만 산업화 시대 이후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하면서 만들기의 위상은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인간의 손을 기계가 대체하고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에 접어 들면서 인간은 만들기의 주체에서 관리자로 변화하게 된다. 한나 아렌트가 <인간의 조건>에서 구분지었던 노동(labor), 작업(work), 행동(action) 개념 안에서 거칠게 이야기하자면 생존을 위한 노동이 창조적인 작업의 영역을 빠르게 잠식시킨 것이다. 반면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소량생산과 소량소비를 내세우는 포스트 포디즘적 양식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대량생산과 소비의 영역이 위축되기 시작한다. 다양하고 정교해진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기업들은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만들고 유통시키기 시작한다. 동시에 만들기의 영역과 주체 역시 다양해졌다. 3D 프린터와 같은 테크놀로지가 등장하고 웹을 통한 지식을 공유하기 시작하면서 만들기 주체는 소수의 기업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까지 확장되었고 그 결과 적지 않은 사람들이 자신의 취향이나 여러가지 필요에 의해 다양한 물건과 서비스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제작문화의 정치학으로 이 책은 지금 제작문화의 최전선에 있는 여러 현상과 조건을 다룬다. 제작문화에 대한 개념과 함께 제작문화의 주체인 제작자, 제작문화 테크놀로지, 정치적 행동으로써 해킹, 해커 스페이스와 3D 프린터기와 같은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제작 도구들을 소개한다. 동시에 제작문화가 전면화되면서 노동의 영역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제작문화와 가장 밀접하게 붙어 있는 예술 행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인터뷰를 통해 일본과 중국의 제작문화 현황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크리티컬 메이킹에 수록된 글들을 통해 지금 제작문화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와 이론가들의 견해도 들을 수 있다. 단순히 제작문화의 유토피아적인 가능성만 검토하기 보다 이러한 문화가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생산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지금 문화적 조건에서 어떤 오해와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지 등을 여러 연구자와 활동가의 입을 통해 들어보고자 했다. 공공도큐멘트 소개 <공공도큐멘트>는 지금 ‘공공’의 삶과 풍경을 ‘기록’하기 위해 만드는 비정기 간행물이다. 리서치와 아카이브를 활용해 한 권의 책으로 구성한다. 1호는 예술가의 다중적인 움직임을, 2호는 젠트리피케이션을 통해 지금 대도시 풍경의 변화를 기록했다. 주제에 따라 매번 다른 편집자와 함께 책을 완성하고 있다. #1 예술과 다중 / 공동편집 현시원 #2 누가 우리의 이웃을 만드는가 / 공동편집 이성민 #3 다들 만들고 계십니까? / 공동편집 청개구리 제작소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