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간행사 방선주(方善柱) 선생님 약력 방선주(方善柱) 선생님저작목록 제1부 재미한인독립운동·대한민국임시정부 3·1운동과 재미한인 1. 3·1운동 발발에 대한 미주 한인의 역할 (1) 김헌식의 신한회 활동 (2) 안창호 영도하의 국민회 중앙총회의 활동 (3) 박용만과 하와이연합회의 독립운동 (4) 이승만 박사의 활동 (5) 서재필의 활동 2. 미주 한인의 3·1운동 지원활동(1919년 3월 9일~6월 30일) 3. 3·1운동을 통한 미주 한인의 공헌 (1) 경제면 (2) 정치면 1921~22년의 워싱톤회의와 재미한인의 독립청원운동 1. 워싱톤회의의 성격 2. 구미 위원부의 초기활동 3. 서재필과 워싱톤회의 4. 한인들의 호응활동 5. 한인대표들의 활동과 반응 1930년대의 재미한인독립운동 1. 후지무라·덜레스 전쟁종식 교섭극의 의미 2. 이승만의 제네바여행과 독립운동 3. 한길수의 대두 4. 하와이애국단의 비밀독립운동 5. 대한인국민회의 독립운동 6. 기타 1930~40년대 구미(歐美)에서의 독립운동과 열강의 반응 1. 구미인사(歐美人士) 대일관 전개 속의 윤봉길 의사(尹奉吉義士) 2. 윤의사(尹義士) 의거자금(義擧資金)과 미주 교포 3. 미주 한인의 독립운동 4. 구미 잡지논문에서 본 한국문제에 대한 관심 5. 한국독립문제와 열강의 반응 (1) 루즈벨트 대통령의 견해 (2) 미 국무부의 견해 (3) 프랑스의 대응 (4) 영국의 대응 (5) 독일의 경우 6. 맺는말 미주지역에서 한국독립운동의 특성 1.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개관 (1) 머리말 (2) 조국광복운동에 대한 재미한인들의 특별한 영향과 공헌 (3)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특성 (4) 맺음말 2. OSS와 재미한인의 조국침투 NAPKO작전 (1) OSS란 어떤 기관이었나 (2) NAPKO계획 이전의 미국의 한인무장 육성 구상 (3) Napko계획의 구조 (4) 맺음말 아이플러기관과 재미한인의 복국운동(復國運動) 1. 아이플러는 어떤 사람이었나? 2. 장석윤(張錫潤)의 복국운동 3. ‘납코’ 침투작전계획의 성숙화 4. 맺는말 임시정부·광복군 지원 재미한인단체에 대한 미국 정보기관의 사찰 1. 도론(導論) 2. 재미교포의 임정지원(1936~1945) 3. 미국 정보기관 문서를 통하여 본 광복군 지원단체 4. 맺는말 임정의 광복활동과 미주 한인의 독립운동 : 제2차 대전 종반기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1. 머리말 2. 동북아시아를 둘러싼 국제간 절충의 개황 3. 검열통신문을 통하여 본 미국의 독립운동 (1) 자금지원면 (2) 외교면 4. 맺는말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미국 1. 들어가면서 인용하는 장면 2. 미국의 망명·임시정부대책 (1) 유고슬라비아 (2) 체코슬로바키아 (3) 프랑스 (4) 폴란드 3. 한국임시정부의 ‘공전절후적(空前絶後的)’ 특수성격 4. 맺는말: 임정-미국 관계의 경험에서 얻는 교훈 제2부 재미한인독립운동 인물열전 박용만(朴容萬) 평전(評傳) 1. 머리말 2. 도미(渡美) 전의 행적 3. 애국동지대표회의 소집 4. 소년병학교의 역사와 내용 (1) 소년병학교 성립과 생활상 (2) 숭무주의(崇武主義)와 박용만의 소년병학교 시절 (3) 소년병학교 출신 한국청년 (4) 소년병학교의 역사적 의의 5. 상항가정부(桑港假政府) 수립 추진 (1) 망명정부란 무엇인가? (2) 국민회중앙총회(國民會中央總會)의 설치 (3) 박용만의 ??신한민보?? 주필 취임과 그의 ‘가정부(假政府)’ 주장 (4) 중앙총회 제1차 대표원 의회 6. 이승만 박사와의 대결과 패배 7. 3·1운동의 발발과 박용만의 러시아행 8. 군사통일회(軍事統一會)의 실패와 사업가로의 변신 9. 박용만 피살의 의문점 10. 맺는말 이승만(李承晩)과 위임통치안(委任統治案) 1. 머리말 2. 친미반러주의자(親美反露主義者)로서의 면모 3. 교육우선주의자로서의 면모 4. 기독교 전도자로서의 면모 5. 1912~18년간의 활동 6. 파리평화회의와 이승만 7. 맺는말 홍언(洪焉)과 국민회(國民會) 1. 홍언(洪焉, 1880~1951)은 누구인가 2. ??신한민보(新韓民報)?? 주필활동 및 국민회(國民會) 모금여행 3. 홍언(洪焉)의 시(詩)와 문(文) 4. 만년의 행적 김헌식(金憲植)과 3·1운동 1. 김헌식(金憲植, 1869~?)은 누구인가 2. 미국에 건너오게 된 경위 3. 하워드흑인대학(黑人大學) 유학 4. 뉴욕에서의 반일운동 5. 3·1운동 전후의 활동 6. 만년의 행적 7. 맺는말 김호철(金浩哲)과 사회과학연구회(社會科學硏究會) : 경제공황기의 미 유학생 사회주의운동 1. 머리말 2. 김호철(金浩哲)의 ‘이력서’ 3. 스캇트보로 사건과 김호철 4. ‘재미한인사회과학연구소(在美韓人社會科學硏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