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의 기초

브룩 보렐 · 社会科学
330p
新刊ベストセラー · 7位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출처도 알 수 없는 가짜 뉴스가 횡행하고 거짓 정보들이 눈과 귀를 홀리는 이 시대, 우리는 과연 ‘팩트’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까? 인터넷과 SNS에서는 진위여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정보가 쏟아지고, 기존 언론과 미디어 역시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급속히 발전한 AI, 딥페이크 등의 신기술은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소화되지 못한 채 거짓을 생산하는 도구로까지 쓰이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는 팩트를 ‘체크’할 수 있는 정확한 지침이 시급하다. 이 책 『팩트체크의 기초』는 미국의 유수의 언론 매체에서 전문 팩트체커로 일해 온 저자가 팩트체크 작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일목요연하게 담았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팩트를 점검해야할지 등 매체별, 유형별 분류를 통해 팩트체크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다양한 실제 사례를 통해 팩트체크의 필요성과 중요성 역시 제대로 짚어낸다. 모두가 콘텐츠 생산자가 된 뉴미디어의 시대, 팩트체크는 단순히 언론계 종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실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능력은 모두에게 필요하다. 팩트체크를 놓친다면 나도 모르게 잘못된 정보를 누군가에게 전달하기 부지기수다. 수많은 가짜 뉴스 속에서 제대로 된 사실을 판단하기 위해서도, 책임감 있게 ‘나’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도 팩트체크의 기술을 배우는 것은 중요하다. 『팩트체크의 기초』를 통해 “사실을 밝히고 진실을 분별하는” 힘을 길러보기를 권한다.

이동진 평론가 극찬! <브루탈리스트>

2025년 25번째 언택트톡으로 확인

브루탈리스트 · AD

이동진 평론가 극찬! <브루탈리스트>

2025년 25번째 언택트톡으로 확인

브루탈리스트 · AD

著者/訳者

目次

옮긴이의 말 -가짜 뉴스의 시대를 끝낼 팩트체크 핵심 기술 머리말 - 팩트체크에 대해 당신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지식 1장 팩트체크를 하는 이유 2장 팩트체크가 필요한 정보 3장 팩트체크를 하는 방법 -잡지식 -신문식 -혼합식 -기타 매체의 팩트체크: 음성과 영상 / 책(논픽션, 회고록, 픽션) / 리뷰, 비평, 칼럼, 논평 / 기타 -편집자, 기자, 프로듀서와의 관계 -저예산 팩트체크 -내 글 팩트체크하기 -팩트체크 일거리 구하기 4장 유형별 팩트체크 노하우 -단순 사실 -숫자와 측정값 -여론조사 -인용문: 음성 기록, 녹취록, 취재원 확인 -개념 -비유 -이미지: 사진과 영상 / 일러스트와 애니메이션 / 인포그래픽 / 지도 / 저작권 표시 -구체적 묘사 -스포츠 -역사적 사실 -제품 정보 -외국어 -외국 매체의 경우 -‘상식’ -표제와 기사 제목 -익명의 취재원 -민감한 주제 -상충하는 내용 -회색 지대 -법적 위험이 있는 내용 -표절과 날조 5장 자료별 팩트체크 활용법 -취재원: 익명의 취재원 / 단일 취재원 / 출처 표시 / 취재원과의 관계 -인터뷰 녹음과 녹취록 -검색 엔진과 위키 -지도와 도감 -보도 자료 -책 -신문 -기타 출판물 -학술 논문 6장 팩트체크 기록 및 자료 보관 -종이 문서 정리 -디지털 백업 7장 연습 문제 맺음말 감사의 말 부록: 연습 문제 정답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가짜 뉴스와 거짓 정보, 우리에게는 ‘사실’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오늘날처럼 ‘팩트체크’가 시급했던 적이 있을까요? 이 책의 저자인 전문 팩트체커 브룩 보렐은 “팩트체크에 관한 글은 언제나 유효하다”라고 이야기하지만, 지금의 우리 사회를 돌아보면 그 어느 때보다 특히 ‘팩트체크’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주로 전통적인 언론 매체의 오보가 문제시 되었던 과거와 달리, 인터넷과 SNS에서 쏟아지는 수많은 정보들은 출처를 확인할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적극적으로 가짜 뉴스를 생산하는 유튜브 채널부터 순식간에 잘못된 정보가 옮겨 다니는 온라인 환경까지, 많은 이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대가 되었지만 정확한 ‘사실’을 판단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되었습니다. 딥페이크나 AI 등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사실 확인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실정이고요. 심지어 한국에서는 대통령마저 가짜 뉴스에 깊게 감화되어 위헌·위법을 저질렀다는 강한 정황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아무리 사소할지언정 ‘팩트’는 건강하고 건전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초석입니다. 잘못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비판적으로 사실을 점검할 수 있는 힘을 잃는다면, 우리 사회에는 극단적인 주장과 선동과 음모론이 계속될지 모릅니다. 신물 나도록 지긋지긋한 가짜 뉴스 사이에서 우리 모두에게 시급히 ‘팩트체크’의 지침과 방법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하지만 막상 어디서부터 어떻게 ‘팩트체크’에 대해 배워야할지 찾기는 쉽지 않지요. 우리나라 언론 등의 매체에는 전문 ‘팩트체커’가 따로 있지는 않고, 팩트체크 지침도 명확히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팩트체크의 기초』는 미국의 언론 매체에서 오래간 전문 팩트체커로 일해 온 저자가 팩트체크의 세부적인 작업 과정과 지침을 정리한 책입니다. 주로 미국 내 ‘전문 팩트체커’의 작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실제 사례를 통해 실용적인 팩트체크 방법을 다룹니다. 이 책에 담긴 전문가의 지침을 통해 여러 매체에서 활용될 수 있는 팩트체크의 작업의 핵심을 파악하고 든든한 지침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모두가 콘텐츠 생산자가 된 뉴미디어의 시대, 전문 팩트체커에게 배우는 '팩트체크' 기술의 정수 전통적인 언론 매체인 신문이나 방송이 일방적으로 전하는 뉴스를 넘어, 이제 세상의 소식을 전하고 나누는 일은 훨씬 자유롭고 풍부해졌습니다. 유튜브, 뉴스레터 등 새로운 매체가 등장한 미디어 환경 속에서 정보의 양은 이전과 다르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고요. 하지만 이토록 다양하고 복잡해진 정보의 틈에서 오히려 정확하게 ‘팩트’를 판단하기는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또 과거와 달리 지금은 개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 전할 수 있는 시대이지요. 인스타그램이나 블로그 같은 SNS를 통해 자유롭게 많은 이들과 의견을 나눌 수 있고, 유튜브 등의 새로운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이제 모두 ‘콘텐츠 생산자’입니다. 순식간에 소식을 나누는 우리 모두가 하나의 ‘매체’인 것입니다. 이런 틈에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사실을 점검하지 않는다면, 나도 모르게 ‘가짜’ 정보를 전하기 십상입니다. 바로 우리 모두에게 ‘팩트체크’ 능력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팩트체크의 기초』는 미국의 ‘전문 팩트체커’의 업무를 중심으로 팩트체크의 작업 과정과 방법을 담았지만, 이 책에 담긴 실용적인 조언들은 다양한 매체에 모두 적용이 가능합니다. 어떤 정보가 ‘사실’인지 체크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를 비롯해, 일목요연하게 담아낸 내용을 통해 ‘팩트체크’의 기본적인 틀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팩트체크의 정확한 개념부터 실용적인 팩트체크 지침과 팩트체크의 중요성까지, 비판적으로 정보를 점검할 수 있는 힘을 기르기에 좋은 가이드입니다. 책 말미에 수록된 ‘연습문제’를 통해 실제 팩트체크를 연습해 볼 수도 있습니다. 당장 직업적으로 팩트체크가 필요한 언론계 종사자부터, 여러 유형의 콘텐츠를 만드는 분들 모두에게 실용적인 도움이 될 겁니다. 나도 모르게 ‘나의 콘텐츠가 가짜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분에게, 또 비판적인 정보 점검 능력을 기르고 싶은 분에게 『팩트체크의 기초』를 권합니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